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선형적 표현에 의한 화면의 맥동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lsation of the Picture Plane by Nonlinear Expres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영훈

Advisor
윤동천
Major
미술대학 미술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상적 공간맥동성비선형적 표현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학과, 2012. 8. 윤동천.
Abstract
물질적 관점에서 캔버스의 화면은 표면에 불과하다. 따라서 화면에 공간적 이미지가 그려지더라도 화면은 그 상태를 벗어나지 않는다. 모더니즘은 캔버스가 물질적 토대에서 평면이라는 것에 관점을 두고 그러한 물질성에 부합하는 평면적 상태를 유지하도록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캔버스는 평면성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아무것도 칠해지지 않은 빈 캔버스를 바라보면 측정할 수 없는 공간성이 있는 것처럼 감지된다. 이것은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을 바라보았을 때와 비슷하다. 빈 하늘과 캔버스의 화면이 다른 점은 허공은 신체의 운동에 의해 그 공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캔버스의 화면은 계량적이거나 촉각적 방법으로 검증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캔버스의 화면은 물질성 이외에 다른 양태의 공간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로지 시각적인 측면에서만 캔버스의 그 공간성은 성립한다. 이것은 재현적 공간성과는 다르다. 왜냐하면 르네상스 회화에서 보여지는 것 같은 재현적 공간성은 화면에 그려진 공간과 비교할 수 있는 외부의 공간이 있는데 반해 화면에 내재된 공간성은 자체적으로 성립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간의 모습을 가상적 공간이라고 부를 수 있다.
화면의 가상적 공간은 오래 전부터 화가가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면서 빈번히 만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가들은 재현적인 표현을 위한 것이든 주제적 표현을 위한 것이든 자신들의 표현의도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 상수적으로 존재하는 화면의 독립적 가상공간성을 억제하거나 화면에서 배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래적으로 갖고 있는 속성은 외면한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림은 평면적 이미지의 조합일 수도 있지만 표현에 의해 가상적 공간성을 은연중 드러낸다. 따라서 표현은 물질적 평면과 가상적 공간을 아우르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을 확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본 연구자는 경험에서 비롯된 자료들과 미술사, 철학, 조형심리학, 양자물리학 등을 위시하는 다양한 문헌적 자료들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그것을 통해 화면의 이중적 공간은 불연속한 상태에 있으며 서로가 엇갈리면서 움직인다는 것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자는 비선형적인 표현에 의해 화면이 그 모습과 연계되어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조성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실제적 작업을 통해 그것을 현시화하기 위하여 네 가지 방향이 설정되었다.
첫 번째는 모순적 공간관계에 의한 표현이다. 이 작업들에서 선형적 공간의 위치관계를 전복되어 모순적 공간관계가 조성됨으로써 인식론적인 측면에서 뫼비우스 띠와 같이 꼬이는 공간이 화면에 만들어져 역동적 맥동성이 파생되었다.
두 번째에서는 선적인 경계를 이용하였다. 이런 유형의 작업들에서 면과 면은 강한 대비적 상태로 조성되어 화면의 물질적 평면과 가상적 공간은 그 경계선 이쪽저쪽에서 엇갈린다. 그것은 교차적 운동의 양상을 만들어 화면 전체는 파동적으로 출렁인다.
세 번째에서는 여백을 표현적 요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물질적 평면성과 가상적 공간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여백을 다양한 양상에서 가시적 형태들과 결합시킴으로써 시간적 부등성을 화면에서 유발시켰다. 이를 통해 화면에서 형태와 여백이 연계되어 움직이는 맥동성이 표출된다.
네 번째에서는 색채를 갈등적으로 결합시켰다. 본 연구자는 각각의 색채들의 생리적 공간성과 형태들의 위치적 공간성을 불일치하게 만나도록 표현함으로써 화면에서 다층적 공간이 파생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통해 화면의 요동적 맥동성은 화면공간을 넘어 감상자의 공간에서도 펼쳐진다.
이 논문에서 본 연구자는 화면에 혼재하고 있는 물질적 평면과 가상적 공간이 조형요소들을 비선형적으로 결합시키는 표현을 통해 파생되는 다층적 움직임들과 어우러져 다양한 맥동적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In the viewpoint of material, the picture plane of canvas is a kind of surface. So, even when an image of space is drawn in a picture plane, a picture plane is remained in the condition of surface. Modernism insisted to have to preserve the planar condition corresponding with materiality of canvas in any case according to the viewpoint that canvas is a plane in the aspect of material. But canvas is not only based on flatness. We feel infinite space when we see a empty canvas. It is similar to see sky without cloud. The difference between empty sky and a picture plane is that empty space could be identified with action of body but the picture plane of canvas couldn't be testified by metric or tactual method. Then, canvas may has a different kind of spatiality. The spatiality is built in only the visual domain. Hence, it differs from representational spatiality. Because the spatiality involved in a picture plane exists itself while representational spatiality similar to be shown in Renaissance painting has outer space to be able to be compare with a picture drawn on canvas. We could call the former as virtual space.
The virtual space of canvas is space that a painter has met frequently in a process drawing on canvas since long before. Although the aspect, a painter tried to suppress or exclude the dependent virtual space of canvas existing naturally to secure an expressional intention of his own whether representational or subjective expression. Inherent character, however, does not disappear by with turn one's face intentionally. A picture is not only the combination of planar images, but also reveals virtual space behind the scenes by expression. So, expression has to be made joining both material plane and virtual space. For developing it extensionally, this researcher reviewed and analyzed data derived from my experience and various documental data included history of Art, philosophy, Quantum physics, and so on. Through the study, the double spatiality of a picture plane was reveled to be intermittent and move crossing each other. Besides, this researcher cognized that a picture plane pulsates voluntarily with the spatiality of canvas by nonlinear expression. And, four directions is made to visualize the possibility through work.
The first direction is of expression using contradictional relation of space. In the kind of works, dynamic pulsation was derived from the picture plane that space twisted like Mobius strip was made by
to be formed conflicting relation of space through the reverse of linear positions.
The second direction is of expression using edge. In the kind of works, material planes and virtual spaces crossed on the edge by a face meet a face with strong contrast. The picture plane undulates whole by interweaving of two factors.
The third direction is of expression using blank space. This researcher generated uneven feature of time by combination of forms and blank spaces with material flatness and virtual spatiality in various aspect. By that, pulsative motion linked with forms and blank spaces is emerged in canvas.
The fourth direction is of expression using colors in conflicting relation. This researcher made to be derived multiple strata from the picture plane by expression which the physiological spatiality of each color and the positional spatiality of each form met with discordance. Hence, the fluctuating pulsation of canvas is deployed also in space of viewer by the aspect.
In this dissertation, this researcher aimed to show that the material plane and virtual space involved in canvas is evolved various pulsations with motions derived from expression combining plastic factors in nonlinear way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9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