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장암환자 배우자의 성별에 따른 돌봄 부담감, 부부 친밀감과 성생활 정보요구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슬아

Advisor
서은영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9. 2. 서은영.
Abstract
Patients with colon cancer experience physical and emotional distress due to the symptoms of cancer. As cancer treatment continues, the spouse of the cancer patient receives more stress than the patient, and endures difficulty in caregiving ever since diagnosis of colon cancer. The caregiver burden of the spouse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adaptation of the patient. Therefore, systematic attention and intervention are needed. In the case of colon cancer,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an cause changes in sex life and affect the intimacy of the coupl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pouse, caregiver burden, marital intimacy, and sexuality information needs are different when caregiving the colon cancer pati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caregiver burden, marital intimacy, and sexuality information need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pouses of colon cancer patients, an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31 spouses of colon cancer patients, who were either hospitalized or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in the oncology day care center at the tertiary care medical institution, 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65 of the spouses were male and 66 of the spouses were female.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from the period of January 2018 to September 2018. The study used were the caregiver burden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Seo & Oh (1993), the marital intimac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ee (1998) and sexual information needs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im et al. (2015).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5.0 Window program through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ANC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 (p <. 001) between the group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ous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For caregiver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givers (p= .001) who will act on behalf of the spouses. For sexuality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ferred consultation counselor (p= .001) in the case of sex-related problems. For caregiver burden, the female spouse (3.07±0.07)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ale spouse (2.84±0.07), and the physical domain (p= .004) and emotional domain (p = .02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female spouses than male spouses. Marital intim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 .001) for male spouses (3.60±0.07) than female spouses (3.24 ±0.07), and for the sub-domain of emotional intimacy (p< .001) and sexual intimacy (p= .008), male spou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pouses. For sexual information need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027) between male spouses (2.96 ±0.08) and female spouses (2.75 ±0.08). For the sub-domain of sexual satisfaction (p= .038), male spou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pouse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aregiver burden, marital intimacy, and sexual information needs, male spouse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r=-.408, p=. 001) with caregiver burden and marital intimacy, female spouse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r=-.351, p=. 004) with caregiver burden and marital intimacy an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r=.315, p=.01) with marital intimacy and sexual information needs.
In conclusion, female spouses had a higher caregiver burden than male spouses in the physical domain and emotional dom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emale spouses to receive nursing intervention to share the caregiving role and to reduce physical and emotional distress, and to be provided practical systems, such as voluntary worker implementation or voucher system. Marital intimacy was high for male spouses and sexual information need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sub-domain, sexual satisfaction, was higher for male spouses. Based on this,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develop sex education and sexual communication program for the spouses of colon cancer patients, and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marital intimacy.
대장암 환자는 암으로 인한 증상으로 신체적, 정서적 고통을 경험한다. 암 치료가 지속될수록 대장암 환자보다 배우자가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대장암 진단 시부터 돌봄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한다. 배우자의 돌봄 부담은 환자의 삶의 질과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체계적인 관심과 중재가 필요하다. 대장암의 경우, 수술, 항암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은 성생활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이며 이는 부부 친밀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대장암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 배우자는 성별에 따라 돌봄 부담감, 부부 친밀감, 성생활 정보요구도가 차이가 있으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장암 환자 배우자의 성별에 따른 돌봄 부담감, 부부 친밀감과 성생활 정보요구도를 비교하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3차 의료기관 S 대학병원에서 입원 중이거나 항암 낮병동에서 통원 치료 중인 대장암환자의 배우자로 총 131명 중 남성 배우자가 65명, 여성 배우자가 66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8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편의표집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서미혜와 오가실(1993)이 개발한 돌봄 부담감 측정도구, 이경희 (1998)가 개발한 부부 친밀감 측정 도구와 김연희 등(2015)이 개발한 성생활 정보요구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에 따른 배우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직업 (p <. 001)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환자 관련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돌봄 관련 특성에서는 배우자를 대신할 돌봄 제공자(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 관련 특성에서는 성 관련 문제 발생 시 선호하는 상담 대상(p= .001)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돌봄 부담감은 여성 배우자(3.07±0.07)가 남성 배우자(2.84±0.0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p= .029), 하부 영역인 신체적 영역(p= .004)과 정서적 영역(p = .025)에서 여성 배우자가 남성 배우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부부 친밀감은 남성 배우자(3.60±0.07)가 여성 배우자(3.24 ±0.0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 .001), 하부 영역인 정서적 요인(p< .001) 성적 요인(p= .008)에서 남성 배우자가 여성 배우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성생활 정보요구도는 남성 배우자(2.96 ±0.08)와 여성 배우자(2.75 ±0.08)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27). 하부 영역에서는 성생활 만족(p= .038)에서 남성 배우자가 여성배우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돌봄 부담감, 부부 친밀감, 성생활 정보요구도의 상관관계에서 남성 배우자는 돌봄 부담감과 부부 친밀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08, p=. 001)를 나타냈고, 여성 배우자는 돌봄 부담감과 부부 친밀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351, p=. 004)를 나타냈고, 부부 친밀감과 성생활 정보요구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r= .315, p= .01)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여성 배우자는 남성 배우자보다 신체적 영역과 정서적 영역에서 돌봄 부담감이 높았다. 그러므로 돌봄의 역할을 분담하고 신체적, 정서적인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간호 중재를 적용해야 하며, 자원봉사자 활용 및 바우처 제도 등의 현실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부부 친밀감은 남성 배우자가 높았고, 성생활 정보요구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하부 영역인 성생활 만족에서 남성 배우자가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장암 환자 배우자에 대한 성 교육과 성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부부 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마련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5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