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Socio-economic Networks and Social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a Natural Disaster : 자연재해에 대한 사회경제적 네트워크의 시공간 역동성과 사회적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스리랑카 홍수재해를 사례로
A case study of floods in Sri Lank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Yakahatuge Ananda Karunarathne

Advisor
이건학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2020. 2. 이건학.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네트워크에 대한 주요 견해와 스리랑카 농촌 및 도시 지역에서 홍수 범람의 취약성을 개선에 대한 영향을 다루고 있다. 남아사이 중산층 개발도상국에 속하는 스리랑카는 수십 년 전부터 폭우와 이로 인한 홍수로 인해 여러 부작용을 겪어 왔다. 이에 스리랑카 사회에서는 강력한 사회경제적 네트워크와 상호 호혜적인 인력 동원 및 협력과 이타적 성격으로 홍수로 인한 여러 부작용을 이겨 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스리랑카의 홍수 범람에 대한 사회경제적 네트워크의 지리와 관련된 사회적 자본 행위자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스리랑카의 21개의 행정 단위(Grama Niladhari Division, GND)에서 거주하고 있는 405개의 침수 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은 크게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농촌 지역의 경우 15개 GND에 소속된 327 가구, 도시 지역의 경우 6개 GND에 속한 78가구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을 위해 13개월에 걸친 가계 설문 조사, 비공식 인터뷰, 포커스 그룹 토론, 현장 관찰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기법, 사회적 취약성 다변량 지수를 사용하였으며, 일부 질적 연구 방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네트워크의 성격과 이에 대한 측정치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 및 크기로 변화 하였으며, 시간과 지리적 공간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의 진화적 변화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모든 시골 지역 GND와 관련하여 밀도, 근접성, 중심성과 같은 주요 네트워크 측정치들은 홍수 발생 전 단계 및 발생 단계에서는 감소세를 보이다가, 홍수 발생 이후에는 증가세를 보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시에서는 홍수 발생 이전과 발생 단계에서는 주요 네트워크 측정치가 증가세를 보였지만, 발생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네트워크 클러스터는 시골 및 도시 지역 모두 홍수 발생 이전 시점과 발생 시점에서 보여지고 있으며 발생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구조는 대부분의 시골 지역에서 홍수 발생 이후에 지원 네트워크의 조직화가 더욱 짜임새 있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반대로 모든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변화는 상호 지원 유대의 행동과 특징에만 기초하고 있다. 사회적 네트워크는 홍수 발생의 이전과 밣생 및 이후의 시기에 있어 홍수에 대응하는데 중심 역할을 해왔다. 특히 정보, 음식, 물 및 기타 생필품의 제공, 살림살이에 대한 청소와 이동, 대피소 제공, 살림살이를 다시 집으로 옮기는 과정, 오염된 주거 환경과 공공 장소에 대한 청소, 각종 재정적 지원의 경우 홍수로 입은 피해를 복구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지원 네트워크 행동에 있어 주요한 차이점이 도시와 지방 그리고 작은 규모의 시골 지역들 사이에서 관찰된다는 점이다. 즉, 홍수 사건에서의 지역 지원 네트워크 행동은 도시 네트워크 행동이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화되는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즉, 도시에 비해 농촌에서 더 깊은 유대를 바탕으로 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마을 주민들이 홍수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회경제적 네트워크를 강하게 구축하였고, 이에 대한 사회자본의 역사적 배경이 매우 깊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홍수 범람에 대한 사회적 취약성 점수는 매우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Kuruwita의 가구 표본은 Elapatha, Colombo의 가구 표본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수준의 취약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Kuruwita, Elapatha, Colombo DSD에서 평균 취약성 점수는 0.39(최소: 0.01, 최대: 0.875), 0.48(최소: 0.113, 최대: 0.996). 0.56(최소: 0.211, 최대: 0.9999)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또한 취약성 점수에 대한 지역적 다양성도 관찰된다. 취약성 분포의 공간적 패턴에 대한 차이 또한 취약성 지도(가구 및 GND 수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coupled together with the considering dominating ideas of socio-economic networks, related social capital and their influences on the ameliorating social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in rural and urban areas of Sri Lanka. Sri Lanka as a South Asian middle-income developing country has been experiencing adverse effects and consequences from torrential rains and related flood disasters since decades. In particular, in Sri Lankan society, strong socioeconomic networks and reciprocal resource sharing and mobilizations, their collaborations, and altruistic nature of helping others (this is such a de-facto tradition) have affectively been forestalled the adverse effects and consequences of mass flooding events. On this context,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key research puzzle of What are the roles, efficacies and the Geographies of socioeconomic networks and related social capital behaviors in the ameliorating social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in Sri Lankan soil? For the empirical study, 405 flood-inundated households were selected prior to their consent for household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21 local administrative divisions (e.g. GNDs) in Sri Lanka. The study areas comprised 21 Grama Niladhari Divisions (GNDs) which are belonged to rural (15 GNDs covering 327 households) and urban (6 GNDs covering 78 households) geographical settings. For empirical data collection, household questionnaire survey, informal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and fiel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during 13 months (from January, 2018 to January, 2019). The study mainly used Social Networks Analysis (SNA) methods, quantification of social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by applying Multi Facets Composite Social Vulnerability Index (MFCSVI), and some of qualitative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mixed research method approach. The empirical findings revealed that network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have changed over time (at before, during, and after phases) in different magnitudes and also observed evolutionary changes of network ties over time and among different geographical settings. In particular, related to all the rural GNDs, the key network measures (e.g. degree density,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ies) are decreased from before flood inundation phase to during phase and then increased at after phase. On the contrary, in urban networks, those measures have increased from before phase to during phase and then decreased at the after phase. And also, network clusters are observed at both before and during phases similarly in rural and urban areas. Network structures are became more distributed forms at after phase in almost all the rural support networks. By contrast, all the structural changes of networks solely depend on the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reciprocal support ties and their resource mobilizations. Social networks have been played a pivotal role in flood disaster responding at before, during, and after flooding events. Particularly, provision of information, food, water and other basic needs; evacuation and moving out belongings; provision of shelters; moving in belongings back; cleaning up contaminated households and public places; provisions of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are strongly helped and mattered for securing and reviving flood-affected livelihoods. More importantly, major differences of support networks behaviors are observed in related to the urban-rural dichotomy and also among rural areas at lesser magnitudes. In other words, the regional support network behaviors in the flooding events are in stark contrast to the urban networks behaviors is diversified a plenty of ways. Much dense support ties are exemplified in rural areas compared to the urban context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villagers have very strong historical background of socio-economic networks and social capital in response to flooding events by the ways in which identified it as Traditional Social Capital (TSC) in this study. The scores of social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are varied between sectors as well as within sectors. Kuruwita sampled households exemplified with fairly low scores of vulnerability compared to Elapatha and Colombo sampled households. For examples, in Kuruwita, Elapatha, and Colombo DSDs, the average vulnerability scores observed as 0.39 (with Min 0.01 and Max 0.875), 0.48 (with Min 0.113 and Max 0.996), and 0.56 (with Min 0.211 and Max 0.999) respectively. Regional diversities of vulnerability scores also are identified. Vulnerability mapping (household level and GND level) also revealed the different spatial patterns of social vulnerability distribution. Results show that MFCSVI is a suitable and sophisticated empirical application for regional level social vulnerability assessment in reference to the key vulnerability components. Most notably, this study made some of contribution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to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s of related disciplines, for instances, analyzing of spatiotemporal dynamics of socio-economic networks of different flood-inundated geographical settings, the examining of the traditional social capital perspective of affected villages, and the empirical application of MFCSVI approach for social vulnerability quantificati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91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2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