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지적 장은 식민화되었는가? : Is the Korean Intellectual Field Colonize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현경

Issue Date
2006
Publisher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ol.12 No.1, pp. 111-140
Keywords
지적 식민주의Intellectual colonialism언어적 핸디캡linguistic handicap지적 장의 자율성autonomy of the intellectual field
Abstract
한국의 지적 장이 식민화되어 있다면 어떤 의미에서 그러한 것일까? 그것은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식민화의 종속변수일까? 아니면 단지 식민지적 과거의 잔재로서 한국 지식인들이 은밀히 나누어가지고 있는 정신적 외상 내지는 콤플렉스의 발현일까? 지적 장이란 도대체 식민화될 수 있는 것일까? 서구의 거대이론이 우리의 의식을 식민화한다는 주장은 이론의 보편성을 부정하는 게 아닌가? 그리하여 과학자 공동체의 존립기반 자체를 부정하는 게 아닌가?

지적 식민주의라는 말이 처음 사용되었을 때, 거기에는 분명히 현실의 어떤 측면을 지적하고 환기시키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정치적 효과를 갖는 한에 있어서 이 용어의 모호하고 은유적인 성격은 용서할만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제 이 표현이 하나의 클리셰가 되어버린 지금, 우리는 한번쯤 그것이 개념적인 도구로서 얼마나 유용한 지 검토해보지 않으면 안된다.

이 글은 지적 식민주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글은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절에서 우리는 한국의 지적 장이 식민화되어 있다는 증거로서 원용되곤 하는 일련의 비정상적/병리적 현상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2절에서는 이 현상들을 지적 식민화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할 때 이 식민화 colonized 혹은 식민적 colonial라는 형용사가 가질 수 있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의미를 비교할 것이다. 3절에서는 지적 식민주의 담론을 기각해야 하는 이유를 경험적인 면과 논리적인 면 양편에서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국제적인 지식교류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성을 설명하는 대안적인 시각을 모색해볼 것이다.



This article offers a critic of the discourse on <> which recently had a big impact among Korean intellectuals. This discourse has known several versions, as some developed in the 1980s invoke neocolonialism, whereas more recent ones analyze the situation as postcolonial. But they all converge towards three points.

First, they start from the common idea that the Korean intellectual arena deviates from the original path of the occidental model, because of its colonial legacy. The following facts are often put forward to illustrate this argument : 1) first, student migrati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an indispensable step toward the reproduction of the intellectual field ; 2) intellectuals educated abroad, and especially in Americas prestigious universities, are given an undisputable predominance ; 3) The knowledge of English is overestimated as an index of intellectual competence, so that the scholars educated in english speaking regions are excessively advantaged ; 4) americanization of research and teaching curricula ; 5) blind importation of western debates following the latest American intellectual fashions ; 6) devaluation of intellectual products <>.

Second, they tend to transform any intellectual debate into a power struggle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orces, moreover supposing that those external forces have their own agents within the field.

Third, they deny the universal value of the intellectual products. They are not satisfied to confirm the general propositions on the knowledge‐power relation but they distinguish between indigenous theories and imported theories while giving a political meaning to their consumption.

Each of those points constitute a reason why we should reject the notion of intellectual colonization. This article criticizes each of them both empirically and logically and concludes that the Korean intellectual field is « marginalized » rather than « colonized ». A crucial factor of this marginalization is the fact that the international intellectual exchanges are using very few predominant vernaculars and that Korean intellectuals are generally poor at those languages.
ISSN
1226-056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94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