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경향점수를 활용한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Th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scholarship program through propensity scor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진영; 이봉주; 황매향; 김재철

Issue Date
201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pp. 189-221
Keywords
멘토링장학 프로그램교육소외 청소년사회성긍정적 태도자신감진로성숙경향점수잠재평균분석mentoringscholarship programeducational alienation youthsocial abilityaffirmative attitudeself confidencecareer maturitypropensity scorelatent mean analysis
Abstract
본 연구는 한 장학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학생들에게 장학금만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멘토의 교육적 조언과 정서적 지지를 함께 제공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배움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꿈을 찾고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연구설 계는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이 목표로 하고 있는 학생들의 사회성, 긍정적 태도, 자신감, 진로성숙 등이 2007-2009년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이질집단 사후검사 설계였다. 가외변수 벡터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경향점수를 이용한 짝짓기 표집 방법으로 멘토링 장학 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측정의 오차를 통제한 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적용하였다. 두 집단 간 잠재평균 비교분석 결과,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은 사회성, 긍정적 태도, 자신감, 진로성 숙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진로성숙과 자신감 영역에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다른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과 진실험설계를 활용한 효과성 검증에 대한 후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cholarship program, managed by a n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 This program does not just offer a scholarship, further, it provides the mentoring services to improve students'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es such as social ability, affirmative attitude, self confidence, and career maturity. In addition, students are encouraged to aspire to learning and establish positive life goals. In this study, we applied a posttest-only nonequivalent group desig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four variables; social ability, affirmative attitude, self confidence,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ormer group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scholarship program from 2007 to 2009. For the equivalence between two groups, we employed a matched sampling method using propensity scores in order to neutralize background variables. After controlling measurement error, we used latent mean analysis to compare the means. The latent mea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larship program is significant in all the target variables. Especially, career maturity and self confidence rating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s among the four variables. Finally, we suggested future research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other similar mentoring scholarship programs and the effectiveness through a true-experimental design.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2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