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편재(遍在)하는 도쿄 혹은 비(非)도쿄 : '지방'을 상상하는 어떤 방법 : Ubiquitous Tokyo or Non-Tokyo: How to Imagine Loca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정명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16, pp. 136-157
Keywords
지방지방도시오사카야마우치 마리코마키에 마나부Osakalocalitylocal cityYamauchi MarikoMakime Manabu
Abstract
이 글에서는 특히 인구 절벽과 극점(極点) 사회라는 위기의식을 거치며 근래 빈번히 논의되고 있는 지방이라는 공간을, 이러한 문제의식과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접속하며 그려내는 일본어 소설을 통해 가시화하고자 한다. 여기서 중요한 축이 되는 것은 바로 도쿄라는 공간이다. 먼저, 야마우치 마리코의 『여기는 지루해, 데리러 와줘』(ここは退屈迎えにきて)는 전국이 어느 정도 균질적인 소비 공간이 된 이른바 패스트 풍토 시대의 지방도시를 그린다. 공간적 배경을 특정할 수 없는 이 소설의 지방도시에서 도쿄는 부재하는 것으로 그려지지만, 기실 이것은 어디에나 편재하는 도쿄라는 준거점을 강하게 암시한다. 고유한 지방색이 탈각되고 어디나 비슷비슷해진 지방도시와는 달리 강한 지역성을 내세우는 소설이 마키메 마나부의 『프린세스 도요토미』(プリンセス·トヨトミ)다. 종종 도쿄와 대치되는 공간으로 표상되곤 하는 오사카의 생생한 이미지들이 가득한 이 소설은 일본이라는 국가 속에서도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고유한 역사와 경계를 갖는 오사카국을 상상해낸다. 복수의 중심은 심화되는 일극 집중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도 있겠지만, 이 소설은 오사카의 통합을 강조하기 위해 오사카 안에 존재하는 오사카 바깥의 존재를 지워버리고 만다. 비슷비슷하게 도쿄화된 지역에서 사실상 이동이라는 제한된 가능성을 바탕으로 바깥을 꿈꾸는가, 도쿄가 아닌 새로운 중심들을 계속해서 만들어갈 것인가? 지방을 단순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으로서 보기 위해서는 장소의 바깥까지 끌어안는 지방 서사가 어떻게 가능할지에 대한 물음이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the problems of demographic cliff and polar society have been frequently discussed, and local(地方) has become an important problem to solve as books like Chihiu Shoumetsu(Local Extinctions) have clearly presented. This article reads Yamauchi Marikos Koko wa Taikutsu Mukae ni Kite(Its Boring Here, Pick Me Up) and Makime Manabus Princess Toyotomi as novels that draw attention to such contemporary issues and that imagine the local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in connection with these issue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non)existence of Tokyo. The first novel, Koko wa Taikutsu Mukae ni Kite is about a local city where people can buy almost the same things as they can in Tokyo. This homogeneous consumer society portrays Tokyo as no more than an object of yearning. In fact, characters are waiting for something or someone to deliver them to somewhere, and this place is thought to be Tokyo through the reference points of similar culture and products. On the contrary, Princess Toyotomi describes its background Osaka as a place with specific locality based on unique history and life. This novel, filled with images of Osaka made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imagines Osaka Country as an independent entity within Japan. It might seem like the novel suggets multiple centers as a solution for todays Tokyo-ization, but this novel deletes various identities that make up Osaka in order to emphasize its singular locality in the name of people of Osaka. So, there remains questions of whether to dream outside with a limited mobility or to make new centers that are not Tokyo. In any case, we need to ask what kinds of local narratives are possible in order to see these regions as places where various people actually live.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097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