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and a meaningfulness enhancement progra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선영

Advisor
권석만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삶의 의미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의미감 증진 프로그램심리적 건강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임상·상담심리학전공, 2013. 8. 권석만.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의미를 측정하는 새로운 척도를 개발하여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삶의 의미에 기반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삶의 의미는 인간의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삶의 의미라는 개념이 모호하고 추상적일 뿐 아니라 여러 유형과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구성 개념이라는 점에서 삶의 의미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삶의 의미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삶의 의미의 원천과 구조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2) 삶의 의미의 다양한 차원들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탐색하며, (3) 삶의 의미에 기반한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의미감 증진 과정에서 희망의 역할을 살펴보고, (4) 우울한 사람들을 위한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개인이 경험하는 삶의 의미를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MMLS)를 개발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삶의 의미의 원천 및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 1-1에서 대학생 409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를 타당화한 결과, 총 48문항이 선정되었고 삶의 의미의 원천은 8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1-2에서는 성인 407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를 타당화한 결과, 총 60문항이 선정되었고 삶의 의미의 원천은 10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삶의 의미는 자기 관련 요인, 타인과의 관계 요인, 자기 초월 요인 등의 세 가지 상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위계적 구조임이 시사되었다. 연구 1-3에서 연령에 따른 삶의 의미의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본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가족과의 좋은 관계를 삶의 의미의 중요한 원천으로 경험하였고, 각 연령대에 따라 고유한 삶의 의미의 원천이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2-1에서 대학생 308명, 성인 267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삶의 의미의 다양한 차원과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삶의 의미의 다양한 차원들과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련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중년 집단에서는 자기 초월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의미의 인지적 요소보다는 행동적 요소가 심리적 건강과의 관련성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2에서는 삶의 의미의 수준 및 원천들 간의 균형 정도가 주관적 안녕 및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안녕의 경우에는 삶의 의미의 수준과 균형 정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의 경우에는 삶의 의미의 균형 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수준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삶의 의미와 희망,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삶의 의미에 기반한 치료 프로그램를 구성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대학생 210명(연구 3-1)과 성인 181명(연구 3-2)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삶의 의미의 중요도는 희망과 삶의 의미의 일치도의 매개를 통해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한 이중매개모형이 확인되었다. 연구 3의 결과는 의미감 증진 과정에서 희망을 강화하는 것이 심리적 건강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 4에서는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울한 사람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총 8회기 16시간으로 구성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우울을 호소하는 11명의 성인에게 실시하고 통제 집단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처치 집단에서는 치료적 기제로 가정했던 의미감과 희망이 증가했고, 치료적 결과 변인인 우울이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치료 종료 한 달 후까지 지속되었다. 다만 주관적 안녕의 증진과 관련해서는 삶의 만족도와 부정 정서에서 치료 효과의 가능성이 일부 시사되었다. 연구 4의 결과는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한 점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을 통해 확인된 삶의 의미의 치료적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해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The two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designed to enhance a sense of meaning in life. It has been consistently argued that having a sense of meaning in lif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conceptual ambiguity have made it difficult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the subject of meaning in life. This study specifically aims to (1) identify the sources and the structure of meaning in life using a new scale, (2)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dimensions of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3) examine the role of hope in improving ones sense of meaning in life, and (4) develop and evaluate a meaningfulness enhancement program.
Four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research. In study 1, the author developed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MMLS) to measure meaning in life that each individual experiences and conducted a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sources and the structure of meaning in life. In study 1-1, as the results of validation of the MMLS by using a sample of 409 college students, 48 questions were selected and 8 factors of the source of meaning in life were identified. In study 1-2, 60 questions were selected and 10 factors were identified from the validation of the MMLS using a sample of 407 adult participants. In add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hierarchical structure comprised three superordinate factors, which are named self rel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 transcendence factors. In study 1-3 the author also examined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among various age groups and foun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nes family is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s sense of meaning in life across all age groups. Some of the sources for meaning in life were unique to certain age groups.
In study 2, the author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A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using a sample of 308 college students and 267 adults, study 2-1 found that some of the dimensions of meaning in life were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transcendence factor and psychological health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the middle-age group. Results also showed that behavioral variables of meaning in life rather than the cognitive ones were mo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health. In study 2-2, the author found that the level and the balance of meaning in life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 level of meaning in life moderated the effects of the balance of meaning in life on depression.
In study 3, the author attempte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meaning in life, hope, and psychological health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program based on meaning in lif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the samples of 210 college students (Study 3-1) and 181 adult participants (Study 3-2). The results supported dual mediation model that the effect of importance of meaning in life on psychological health is mediated by hope and consistency of meaning in life. Theses results of study 3 suggested that instilling hope is an effective element in the process of a program enhancing meaning in life for psychological health.
The purpose of study 4 was to develop a therapeutic program to enhance a sense of meaning in life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for people with depression. 11 depressed individuals participated in an eight two-hour session treatment program and their depression scor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group. Results found that the treatment increased participants' sense of meaning in life and hope, both of which were hypothesized as main therapeutic mechanisms. Also, therapeutic effects were found in depression, and these changes were maintained at the one-month follow-up. It is concluded that this program c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symptoms of depression.
Lastly, it was discussed how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iv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what therapeutic implications meaning in life might have.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4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