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예림

Advisor
백순근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빅데이터 분석2015 개정 교육과정언론보도 분석토픽 모델링잠재 디리클레 할당교육정책 평가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7. 2. 백순근.
Abstract
각종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유통되는 빅데이터(big data) 시대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등 교육정책의 핵심 중 하나인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을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 매체의 관심도는 정책의 형성·결정·집행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가?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뉴스 기사의 주제어는 무엇이며, 이는 정책의 형성·결정·집행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가?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주요 쟁점은 무엇이며, 이는 정책의 형성·결정·집행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국내 여론 영향력 점유율이 가장 높은 네이버 뉴스 홈페이지를 통해 보도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 관련 뉴스 기사 총 1,598건을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Python) 기반의 웹 스크래핑(web-scraping) 기법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수집하였다. 그리고 분석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기사를 제외한 총 1,512건의 최종 분석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preprocessing)와 형태소 분석(morphologic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후 빅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automated text analysis) 기법인 버즈(buzz) 분석과 주제어(keyword) 빈도 분석,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의 대표적 기법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국내 언론 매체의 관심도는 정책의 형성·결정·집행 단계에 따라 변화하였다. 즉,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형성 단계에서는 관련 보도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고, 해당 정책이 결정되고 집행되기 직전과 국가적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극대화된 시점에서만 관련 내용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국내 언론 매체의 뉴스 기사에 등장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주제어는 전체 분석 기간 동안 단순 단어 빈도(Term Frequency: TF)를 기준으로 분석한 경우 교과서, 교육부, 역사, 학생, 국정, 교과, 고등학교, 교원, 초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최상위 빈도를 나타냈다. 반면, 모든 뉴스 기사에서 자주 출현하는 상투어의 중요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어 빈도-역문서 빈도(TF-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를 기준으로 분석한 경우에는 역사, 국정, 한자, 소프트웨어, 수학, 정부, 과학, 수업, 수능, 교육청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셋째, 국내 언론 매체의 뉴스 기사에 등장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주제어는 정책의 형성·결정·집행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15 개정 교육정책의 형성 단계에서는 주제어의 빈도(TF-IDF 기준)가 소프트웨어, 수능, 과학, 기술, 이수단위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정책의 결정 단계에서는 한자, 국정, 브리핑, 정부, 수학이, 정책의 집행 단계에서는 역사, 국정, 소프트웨어, 교육청, 한글이 최상위 빈도를 나타냈다.
넷째, 국내 언론 매체를 통해 나타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주요 쟁점은 전체 분석 기간 동안 ① 고교 공통 과목 운영, ②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③ 현장교원 의견 수렴, ④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⑤ 수능·대입제도 개선, ⑥ 역사교육 세부 내용, ⑦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⑧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정치적 대립, ⑨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반 논란, ⑩ 역사교과서 집필진 구성, ⑪ 교수·학습 방법 개선, ⑫ 체험·인성교육 강화, ⑬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⑭ 안전교육 강화, ⑮ 교육과정 지원체제 구축, ⑯ 자유학기제 운영(이상 문서수 기준 정렬)의 16개로 나타났다.
다섯 째, 국내 언론 매체의 뉴스 기사에서 나타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주요 쟁점은 정책의 형성·결정·집행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의 형성 단계에서는 과학교육 축소 우려, 고교 공통 과목 도입, 수능·대입제도 개선, 소프트웨어 교육 확대 등의 5개 주요 쟁점이 나타난 반면, 정책의 결정 단계에서는 고교 공통 과목 운영,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반 논란 등의 11개 주요 쟁점이, 정책의 집행 단계에서는 교원의 전문성 개발, 공교육 정상화,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등의 9개 쟁점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분석을 새롭게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은 새로운 교육정책 평가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육정책들로 분석 대상을 확대하고 관련 분석 기법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7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