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東南方言 聲調의 地域的 分化 硏究 :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of Tones in Southeastern Korean Dialec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토 다카요시

Advisor
이승재
Major
인문대학 언어학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동남방언성조지역적 분화변화 기제전파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어학과, 2015. 8. 이승재.
Abstract
본 연구는 동남방언에서 지역적 분화를 가져온 성조 변화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들 변화의 발생 기제를 밝히는 역사언어학적인 관점과 개신파의 지리적 전파 과정을 밝히는 언어지리학적인 관점에서 동남방언의 성조 변화를 분석한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필자가 현지에서 직접 조사한 江陵, 寧越, 丹陽, 盈德, 奉化, 義城, 慶州, 高靈, 尙州, 梁山, 咸安, 統營, 山淸, 南海 방언의 자료를 주로 사용하되, 선행연구에서 공개된 자료 또한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동남방언에서 일어난 성조 변화의 기제는 음성학적,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의미론적 기제로 나눌 수 있다.
음성학적인 기제로 일어난 성조 변화로는 [??M0], [?ː?M0], [HM1] 회피를 들 수 있다. 이등이 회피되는 이유는 조음할 때에 비교적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음운론적인 기제로 일어난 성조 변화로는 Pen.型(Penultimate 위치에 고조를 가지는 평성형) 지향, 尾高型+仄聲型→平聲型(고조는 선행성분의 마지막 음절) 규칙 회피를 들 수 있다. 경북 서부, 경남 중서부 방언에서는 중·미고형이 Pen.형으로 합류하였다. 그리고 경남 방언에서는 부정부사+용언, 의문사+용언, 체언+용언의 결합이 가지는 성조형이 일반적인 성조 결합 규칙을 통해 예상되는 성조에서 Pen.형으로 변하였다. 동남방언에서 Pen.형이 선호되는 이유는 Pen.형이 음운론적으로 무표적인 성조형이기 때문이다. 尾高型+仄聲型→平聲型 규칙이 회피되는 이유는 결합 전에는 없었던 내림 [-HM-]이 결합 후에 생긴다는 점에서 이 규칙이 음운론적으로 부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규칙성은 중세어식 성조체계가 현대 동남방언식 성조체계로 바뀌는 성조추이 과정에서 생겼다.
형태론적인 기제로 일어난 변화는 유추적 수평화와 유추적 확대로 나눌 수 있다. 유추적 수평화로 인해 일어난 변화로는 서다類(Class4) 용언의 패러다임 수평화를 들 수 있다. 서다類는 서다, 사다, 이다, 지다가 포함되는 용언 클래스이며, 이 수평화는 동남방언의 거의 모든 방언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유추적 확대에 해당하는 변화로는, 미고형 곡용 패러다임이 중고형의 패러다임으로 합류한 현상(江陵·南海·統營山陽), 중고형의 곡용 패러다임이 거성형의 패러다임으로 합류한 현상(東海·三陟), 듣다類(Class7) 활용 패러다임이 먹다類(Class1)의 패러다임으로 합류하는 현상(강원도, 충청도, 경북 북부·남부·서부, 경남 동부)을 들 수 있다. 서로 닮은 두 패러다임이 합류할 때에는 소속 어휘의 수가 적은 패러다임이 많은 패러다임으로 합류하거나, 비수평적인 패러다임이 수평적인 패러다임으로 합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사·의미론적인 기제로 일어난 변화로는 동일한 문법범주를 나타내는 성조구가 동일한 성조를 가지게 되는 유추적 변화를 들 수 있다. 경남 중서부에서는 모든 부정부사+용언과 의문사+용언의 성조형이 Pen.형으로 바뀌었다. 변화의 초기 단계에서는 안+측성형 용언, 頭高型 의문사+용언이라는 조건에서만 Pen.화가 일어났는데, 이후 , 이라는 문법범주에 이끌려서 모든 부정부사+용언과 설명의문+용언이 Pen.형을 가지게 된 것이다.
성조 변화의 진원지로서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던 방언은 安東을 중심으로 한 경북 북부 방언이다. 경북 북부에서 일어난 변화는 낙동강을 따라 북쪽으로는 江陵, 남쪽으로는 金海까지 널리 전파되었지만, 인근 지역에서 일어난 변화는 경북 북부에 쉽게 전파되지 않았다. 이러한 전파의 일방향성의 원인은 安東 방언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위세에서 찾을 수 있다. 반대로 동남방언에서 가장 고립적인 방언은 경북 동해안 방언이다. 경북 동해안 방언은 태백산맥으로 외부와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일어난 변화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내부에서 일어난 변화가 외부에 전파되지 않는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16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