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의 질병 말기 통보 요구 및 관련 요인 : Preference of disclosing terminal illness among the elderl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혜영

Advisor
고진강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인생의 말기질병 통보질병 말기 통보노인의 정보 요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3. 8. 고진강.
Abstract
질병 말기 통보는 환자의 알 권리와 생의 말기 자기 결정권 보장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질병의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 질병의 통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질병 말기 통보는 대상자에게 있어서 생을 정리하고 자신의 의지대로 생을 마감할 수 있게 하는 시작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대상자가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는지를 파악하고 그 뜻을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질병 말기 통보 요구와 각각의 이유를 파악하고 노인의 일반적 특성, 가족 기능도 지수, 정보 추구도에 따른 질병 말기 통보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며, 노인의 질병 말기 통보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설문방식을 사용한 횡단면적 서술 조사 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복지관에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 182명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가족 기능을 측정하는 도구로 가족 기능도 지수(Family APGAR Score)를 사용하였고, 정보 추구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정보 추구 선호 지수(Information Seeking Preference Index)를 사용하였다. 질병 말기 통보 요구는 회복이 불가능하고 살 날이 1년 이내로 예상되는 질병의 상태라면 그 사실을 사실대로 듣기를 원하는 지의 질문에 예, 아니오로 답한 결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중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는 대상자는 101명(58.4%)이었고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지 않는 대상자는 72명(42.6%)이었다.
2) 연령이 높을수록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지 않았고(p= .036)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였다(p= .005)
3) 가족 기능도 지수가 높을수록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였고(p= .007) 정보 추구도 점수가 높을수록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였다(p< .001).
4)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질병 말기 통보에는 정보 추구도만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R² = .352, p< .001).

본 연구 결과 절반 이상의 한국 노인이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기능도 지수가 높을수록, 그리고 정보 추구도 점수가 높을수록 질병 말기 통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병 말기 통보 요구의 영향 요인은 정보 추구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질병의 말기 상황에서도 대상자의 통보 요구를 적극 사정하여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 가족, 의료진간의 신뢰에 바탕을 둔 적극적인 의사소통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disclosure of a terminal illness is a significant issue in terms of protecting the patients autonomy and right to know at the end of life. However, in Korea, families are informed of the patients condition instead of the patients, and they make medical decisions for the patients as their proxy.
It is vital to know patientspreferences regarding the disclosure of a terminal illness because they only have the remaining time to organize the affairs of their lives and to reach the end of their lives as they see fit.
This study investigated disclosure preferences regarding terminal illnesses among the elderly and described their reasons behind their choices.
Moreover, factors related to disclosure preferences were examined.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utilizing a surve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83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ho visited a community welfare center in Seoul, Korea. Disclosure preference regarding terminal illness was measured by a questionnaire specifically,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also incorporated the Family APGAR score and the Information Seeking Preference Index.
This study found that 101 participants (58.4%) would want to be told of their terminal illness, whereas 72 participants (42.6%) would not want to be told. Moreover, an older age (p = .036) and more education (p = .005) were associated with a desire to be informed. A higher Family APGAR score (p = .007) and a higher Information Seeking Preference Index score (p < .001) were also related to the preference to be inform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formation Seeking Preference Index scor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even after controlling for age, education, and the Family APGAR score (R^2 =.352, p < .001).
In conclusion, health providers should assess their patients preferences to be told medical information even if it includes bad news such as a terminal illness and shoul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based on each patients individual preference in this matter.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7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