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rictional property comparisons of conventional and self-ligating lingual brackets according to tooth displacement during initial leveling and alignment : 초기 레벨링 단계에서 치아 변위에 따른 일반 설측 브라켓과 자가결찰 설측 브라켓의 마찰력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도윤

Advisor
백승학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마찰력설측브라켓초기레벨링치아 변위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과, 2016. 8. 백승학.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설측 브라켓 (7th Generation, Ormco, Orange, CA, USA), 브라켓 폭을 줄인 일반 설측 브라켓 (STb, Ormco)과 자가결찰 설측 브라켓 (In-Ovation L, Dentsply GAC International, NY, USA) 에서 레벨링과 배열용 나이타이 호선을 사용하였을 때 치아변위가 마찰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브라켓은 7th Generation 결찰 설측 브라켓, STb 결찰 설측 브라켓과 In-Ovation L 자가결찰 설측 브라켓을 사용하였다. 치아의 변위는 상악 우측 측절치의 2 mm 구개측 변위 (palatal displacement), 상악 우측 견치의 2 mm 치은측 변위 (gingival displacement), 비변위 (대조군, control) 로 하여 총 9군으로 구성하였다. 치아의 치관, 치근, 치주인대의 형태를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공법으로 재현한 타이포돈트를 인스트론 (Model 4466, Instron, Canton, MA, USA) 에 고정시켰다. 브라켓 슬롯에 인공타액을 분사하고 0.013 inch Cu-NiTi호선을 삽입한 후 36.5°C 에서 호선을 0.5 mm/min의 속도로 5 분간 당기면서 정지마찰력 (static frictional force, SFF) 과 운동마찰력 (kinetic frictional force, KFF) 을 측정하였다. 정규성검정을 위해 Shapiro-Wilk 검정을 사용하였다. 치아 변위와 브라켓간의 상관관계를 위해 이원배치분석을 사용하였다. 치아변위와 브라켓 각각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evene 의 등분산 가정이 성립되면 일원배치분석 및 사후검정으로 Tukey`s HSD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를 사용하고 등분산 가정이 성립이 되지 않으면 Welch 일원배치분석 및 사후검정으로 Dunnetts T3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결과: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n-Ovation L은 7th Generation 과 STb에 비해 비변위시 가장 낮은 정지마찰력이 보였으며 변위시에서도 가장 낮은 운동마찰력을 보였다. (P<0.001)
(2) 상악 측절치 2mm 구개측 변위와 상악 견치 2mm 치은측 변위시 In-Ovation L과 STb의 정지마찰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01)
(3) 7th Generation, STb와 In-Ovation L은 상악 측절치 2mm 구개측 변위보다 상악 견치 2mm치은측 변위에서 높은 정지마찰력과 운동마찰력이 나타났다. (P<0.001)

결론: STb는 치아 변위시 In-Ovation L과 비슷한 정지마찰력을 나타내고 높은 운동마찰력을 나타내므로 초기 레벨링과 배열 단계에서 정지마찰력과 운동마찰력이 자가결찰 설측 브라켓 수준으로 낮아지도록 일반 설측 브라켓과 결찰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ooth displacement on frictional properties when conventional ligating lingual brackets (7th Generation), conventional ligating lingual brackets with a narrow bracket width (STb), and self-ligating lingual brackets (In-Ovation L) were used with initial leveling and alignment wires.

Materials and methods: 7th Generation brackets, STb brackets, and In-Ovation L brackets were tested under three tooth displacement conditions: no displacement (control)
a 2-mm palatal displacement (PD) of the maxillary right lateral incisor (MXLI)
and a 2-mm gingival displacement (GD) of the maxillary right canine (MXC) (nine groups, n = 7 per group). A stereolithographic typodont system and artificial saliva were used. Static and kinetic frictional forces (SFF and KFF, respectively) were measured while drawing a 0.013-inch copper-nickel-titanium archwire through brackets at 0.5 mm/min for 5 minutes at 36.5°C.

Results: The In-Ovation L group exhibited lower SFF under control conditions and lower KFF under all displacement conditions than the 7th Generation and STb groups (all P < 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FF existed between the In-Ovation L and STb groups for a 2-mm gingival displacement of the MXC and 2-mm palatal displacement of the MXLI. A 2-mm gingival displacement of the MXC produced higher SFF and KFF than a 2-mm palatal displacement of the MXLI in all brackets (all P < 0.001).

Conclusion: STb brackets exhibited similar SFF and higher KFF than In-Ovation L brackets under tooth displacement conditions. Conventional ligating lingual brackets and lig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produce SFF and KFF as low as those in self-ligating lingual brackets during the initial and leveling stage.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50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