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의 인과적 관계 :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Career Attitude Maturity,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of Undergraduat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지연

Advisor
정철영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진로의식성숙부모애착심리적 독립자아탄력성자아존중감대학생구조방정식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산업교육과, 2013. 2. 정철영.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가설적 인과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인과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은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의식성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의식성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의식성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4년제 일반 대학의 대학생으로 2011년 우리나라의 4년제 대학교는 총 183개교에 재학생 수는 남학생 754,816명, 여학생 682,242명으로 총 1,437,058명이다. 또한 자연·이공계열 전공 재학생수와 인문·사회계열 전공 재학생 수는 각각 513,042명과 689,202명이다. 이에 따라 모집단을 대표하기 위한 표본으로는 학교소재와 전공계열을 고려한 유층화 군집 및 비율 표집을 활용하였으며 수도권 3개 대학에서 240명 비수도권 5개 대학에서 400명을 선정 하여 총 64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10월 17일부터 11월 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이 중 570부가 회수되어 89.1%의 회수율을 보였고 무응답,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 응답 등을 제외한 518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어 유효 자료율은 80.9%를 보였다.
조사 도구는 진로의식성숙,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치로는 대학생의 일반 특성과 진로의식성숙,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변인의 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가 사용되었다. 또한 변인간의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와 영향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와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고, 모든 결과는 유의수준 5%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 간의 가설적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인과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진로의식성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 그리고 자아탄력성은 진로의식성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애착과 진로의식성숙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애착과 진로의식성숙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과 진로의식성숙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 간의 인과적 모형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의식성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기반으로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이 함께 강화되어야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 수준이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의식성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독립 수준과 자아존중감을 함께 형성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돼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의식성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자신을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노력과 전략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다양하게 탐색 및 고려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진로의식성숙 측정도구의 특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연구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국내 상황을 반영한 자아탄력성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을 동시에 고려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attitude maturity,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of undergraduate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o identify the moderat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o identify the moderate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dentify the moderate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ego-resilie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he 1,437,058 students attending four-year colleges according to the 2011 recor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The research carried out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considering the ratio of the location of the school, grade, and major of the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Through this process it was sampled 640 students, 80 students from 8 different universiti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d of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parental attachment scale, psychological separation scale, ego-resilience scale, and self-esteem scale, and demographic items. In this study, the existing scales were used and modified to measure career attitude maturity,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and e-mail from October 17th to November 3th 2012. A total of 570 out of 64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518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Win statistics package, and AMOS 18.0 version. A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ix indexed of causal model among career attitude maturity,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factor loading of self-esteem to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ignificant however the factors loading of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not significant. Third, parental attachment has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Forth, psychological separation has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self-esteem. Fifth, ego-resilience has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self-esteem.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su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self-esteem of undergraduates have 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However, parental attachmen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of undergraduates have no 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parental attachment has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ith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Forth, psychological separation has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ith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Fifth, ego-resilience has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ith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it is recommended for further researches to consider other possible variables which ca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dergraduates. Second, further researches need to choos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more carefully because the structural concep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s variou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of ego-resilience measurement scale which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Fourth, further research should consider both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60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