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강석

Advisor
정철영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진로준비행동정서지능진로결정자율성진로적응력대학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산업교육과, 2017. 2. 정철영.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모형이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지 검증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의 직접효과를 구명한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2015년 기준 4년제 대학교 총 189개교의 재학생 수는 1,520,850명이었다.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기 위하여 층화군집 및 비율표집을 활용하여 학교소재지, 전공계열 및 성별을 고려하여 총 56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 4가지 영역과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영역을 포함하는 질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하여 모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우편조사 및 온라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고, 총 560부 중 542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96.7%). 이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 응답을 제외한 48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유효 자료율 87.1%).

자료 분석은 SPSS 22.0 for Windows와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의 수준을 구명하기 위한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 기술통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영향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β=.369), 진로결정자율성(β=.166), 진로적응력(β=.324)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B=.058)과 진로적응력(B=.232) 각각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을 이중매개(B=.027)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 자료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며,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력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 각각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을 연속적으로 매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서지능 개발과 함께 진로를 결정하거나 준비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지각하는 자율성의 정도인 진로결정자율성과 현재와 미래에 예상되는 과제, 전환, 심리적 외상에 대처하기 위한 심리사회적 구인으로, 진로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진로적응력을 향상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보다 다양화, 세분화하고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집단 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종단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단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접근을 위해 다양한 동기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활용된 변인들과 더불어 환경·맥락적인 변인인 진로장벽, 사회적지지 등을 포함하여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구명이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준비행동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진로만족 등 진로변인과의 관계 뿐 아니라 주관적 안녕감, 행복 등 개인의 삶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Specific objectiv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were as follows: first, identify the fit indices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second,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ird, identify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520,850 current university students listed on the 2015 recor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560 students from 8 universities were sampled with a stratified, cluster and proportional sampling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region, major, and gender ratio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ail and online surveys from October 5th to 14th 2016 with a target sample population of 560 people from 7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542 people (return rate of 96.7%) of which 488 data were retain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validity of 87.1%)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 non-response, outlier. Windows SPSS 22.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identify descriptive statistic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mong oth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model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concluded the standar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t 0.0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β=.369),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β=.166) and career adaptability(β=.324) of undergraduat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B=0.058), career adaptability(B=0.232) and with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B=0.027).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structural model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set up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analyzing empirical data subjecting for undergraduates, and it predic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asonably. Consequently, the structural model of this study can be developed to a theory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dergraduate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also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A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acceleration and revela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career adaptability takes a cruc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intervention could be made utilizing career adaptability to facilit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First, more diverse sampling is needed for future research that seeks to undertake similar study. Second, longitudinal study may be recommended to identify variables in depth effect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motivation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stud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motiv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Fourth, other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investigated with the recognized factors in this research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emergent proces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addition to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with dependant variables on ones career, the identification of relationships with variables such as lif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done to develop an extended and integrated model.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61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