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교선택제 도입과 학력격차 변동 추세: 수원시 경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정현

Advisor
김기석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교선택제선지원후추첨제도학력격차일반고등학교평준화 정책대학수학능력시험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2. 8. 김기석.
Abstract
국문초록

이 논문은 지난 17년 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적 분석을 통하여, 고등학교 평준화 지역에서 학교선택제의 도입이후에 학교 간 및 학교 내의 학력격차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변동 추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수원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지역은 1979년부터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을 실시해왔고 1996학년도에 학교선택제가 도입되어 전후의 학력의 비교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준화정책과 수원시 일반고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학교 간 학력변화를 통해 학교선택제 도입 이후에 학교 간 학력변동 추세를 살펴보았다. 셋째, 학교 내 학력변화를 통해 학교선택제 도입 이후에 학교 간 및 학교 내의 학력변동 추세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통계자료 분석 및 문헌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진학수요의 감소 및 일반고 진학수요의 증가로 인해 수원시의 일반고 학력이 점점 낮아지고 있었다. 과거에 전문계고 진학에 해당하는 학력의 학생들이 현재는 일반계고로 진학하면서 일반고 학력 변화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낮은 학력의 학생유입은 학교 내의 학력격차의 증가에도 영향을 끼쳐서 학교 간에 학력격차가 더 뚜렷해졌을 것이다.
둘째, 학교선택제의 도입 이후에 기존에 있던 학교들이 신설된 학교보다 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신설된 학교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지원을 기피해서 기존고와 신설고에 대한 학력 차이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교선택제의 도입 이후에 학교 간의 학력격차는 증가했고 이는 서열화로 이어졌다. 선호학교는 학생들의 지원이 몰리고 비선호학교는 정원 미달로 현상이 나타나면서 학교 간 입학생의 학력 차이가 나타났고 이는 학교의 학력격차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대학입시에 있어서 내신성적이 중요해짐에 따라 학생들은 본인의 성적에 맞게 학교를 지원하면서 학교 서열화 현상을 촉진시켰다.
마지막으로 수원시의 학력이 낮아지는 가운데 학교선택제의 도입이후에 하위권의 학력 하락이 커지면서 학교 내 학력격차의 증가를 야기했다. 학교들은 상위권 학생들의 학력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서 학교 명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학교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일반고에 학력이 낮은 학생들이 유입되는 가운데서 이러한 학교의 차별적인 교육지원은 하위권 학력을 더 하락시켜 학교 내에서 학력격차를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평준화 지역에 학교선택제가 도입된 이후 학교 내 격차와 학교 간 격차가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학교선택제가 도입되고 나서 학교와 학생의 특정한 반응은 학교 간 학력격차를 다시 증가시킨 것이다. 즉 학생은 학력이 높은 학교 혹은 본인의 성적에 맞는 학교를 지원하며 학교는 학생들의 선호학교가 되기 위해서 상위권 학생들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지원을 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게다가 학교의 차별적인 교육지원이 학력이 낮은 학생의 일반고 유입과 맞물려 하위권 학력이 더 하락하게 된다. 그 결과 학교 간 학력격차와 학교 내 학력격차가 동시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평준화 지역 중에서 수원시만 보았기 때문에 학력격차의 변동에 대한 일반화하기 어려울 것이다. 향후 다른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지역 간의 비교를 하면 학교선택제와 학력변동과의 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gap of educational background exists between high schools and within high schools after introducing the school choice system in the high school affected by th equalization policy. This study is also to clarify if there are fluctuant trends through the grade analysi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ver the past 17 yea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Suwon-City because it is easy to compare the educational background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school choice for this particular city. Suwon-City implemented the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 in 1979 and has conducted it since
the school choice system was introduced in 1996.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examining steps are set up. First, research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 and that of general high schools in Suwon-City. Second, the study examines fluctuant trends of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schools after introducing the school choice system. Thi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such trends within schools based on the change of them. Based on these studying issues, the study deals with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reference study, and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high schools in Suwon-City was increasingly dropping due to the decrease in demand for the enroll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n increase in enrollment at general high schools. Students whose academic achievement was equivalent to the enroll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past, now enter general high schools, affecting academic change of general schools. In particular, the influx of student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low influences the increase in the academic gap, which highlights the gap among schools more.

Secondly, after the introduction of school choice system, existing schools turn out to have higher academic background than newly established ones. It is because students who have less information of newly built schools tend to evade application to such schools, and thus students with high academic background are less likely to be assigned to the schools. This result in the academic gap of fresh students among schools. Such difference is likely to lead to the gap.

Thirdly, the introduction of school choice system increased the academic gap among schools, which resulted in a school ranking phenomenon. With students flocking to preferred schools, those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likely to be assigned to those schools
on the other hand, all other applicants are assigned to non-preferred schools. Because of the difference, an academic gap among new students results. In the aspect of college entrance, moreover, with academic records becoming more crucial for college entrance, students apply to schools suitable to their records, which caused the school ranking phenomenon.

Finally, with academic background in Suwon-City becoming lower, the decrease of academic background at lower rankings led to widening of the academic gap within schools after the introduction of school choice system. Schools try to manage academic background of students with higher rankings in order to heighten the application rate of students and to become preferred schools. Therefore, with students that have lower records entering general schools, such discriminatory educational supports brought down academic achievement of lower rankings, which widened the academic gap within schoo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gaps within schools increase after the introduction of school choice system. Following responses of schools and students after the introduction of school choice system raise the academic gap among schools. It means that students apply to school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r ones most befitting to their records, and schools provide intensive educational supports for high ranking students in order to enter preferred schools. Due to such supports, academic gaps among schools occur, and discriminatory educational supports bring down lower academic achievement in line with the influx of students with low rankings into general schools, which leads to widening academic gaps within schools. However, it seems to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luctuation of academic gaps because this study focuses on Suwon-City among all areas of the equalization policy.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rison with areas through additional studies on other areas will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school choice system and fluctuations in academic achievemen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