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직 내 신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rust in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현혜

Advisor
이수영
Major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직 내 신뢰조직 내 관계유형조직효과성직무만족이직의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3. 8. 이수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준정부기관 임직원이 인식하는 조직 내 신뢰가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여, 공기업 조직 내에 형성된 다양한 유형의 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신뢰 형성을 통해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종속변수를 조직효과성으로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로 선정하였으며, 독립변수인 조직 내 신뢰는 조직구성원 개인 간 수평적 관계에 대한 신뢰, 조직 내 부서 간 수평적 관계에 대한 신뢰, 부서 간 수직적 관계에 대한 신뢰, 구성원 개인 간 수직적 관계에 대한 신뢰로 구분하였다. 그 외에 성별, 연령, 근속기간, 직급, 급여에 대한 만족도를 통제변수로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한지적공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기업내부고객만족도조사(PESI)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18.0을 통해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별 조직 내 신뢰의 수준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직 내 구성원 개인 간 수평적 관계(동료신뢰), 조직 내 구성원 개인 간 수직적 관계(상사 및 부하신뢰), 부서 간 수직적 관계(상위기관-하위기관 신뢰)에 대한 신뢰의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효과성으로서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 조직 내 신뢰의 수준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직 내 구성원 개인 간 수평적 관계(동료신뢰)만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나머지 3가지 유형의 관계에 대한 조직 내 신뢰는 조직효과성으로서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선정한 조직 내에 존재하는 4가지 유형의 관계에 대해 인식하는 신뢰의 수준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를 보완하여 조직 내 신뢰와 조직효과성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유효설문을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다룬 직무만족, 이직의도 외의 조직몰입도, 경영성과 등의 다양한 조직 효과성의 변수를 검토하는 등 보다 발전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s which can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desirable trust building about the relationship of various types created in organizations of public enterpris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rust in organizations that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of quasi-government agencies recognize as the public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As for dependent variables for empirical analysi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elected 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rust in organizations which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classified into trust about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s, trust about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departments in organizations, trust about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departments in organizations, and trust about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s. And satisfaction with gender, age, working period, position, and wages was analyzed by including it in them as control variables. For the study, public enterprises satisfaction investigation (PESI) carried out targeting the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was utiliz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by conducting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rust level in organizations by type will hav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analytical result has found that the higher trust level of trust about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s (trust between colleagues), trust about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s (trust between superiors and subordinates), and trust about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departments (trust between higher and lower organs) is, the more it has th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rust level in organizations by type will have th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analytical result has found that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s (trust between colleagues) just has the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rust in organiz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rest three types doesn'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analytical results have found that trust level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the 4 types which exist in the organizations selected in the study has th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ore developed studies including development of various valid surveys to measure trust in organizations and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supplementing the limits shown in the study and review of variou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inclu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besid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reated in it should be arranged in follow-up studi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5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