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동체 미술의 미학을 위하여: 장-뤽 낭시의 공동-내-존재 개념을 중심으로 : For the aesthetics of Community art : based on Jean-Luc Nancy's Being-in-comm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현수

Advisor
김진엽
Major
인문대학 미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장-뤽 낭시공공미술공동체 미술공동-내-존재소통공동체 없는 공동체접촉토마스 허쉬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학과, 2016. 8. 김진엽.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공동체 미술의 미학을 공동체 없는 공동체의 예술적 실천이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미학을 통해 공동체 미술에게 기대되었던 본래의 지향점을 성취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장-뤽 낭시의 공동-내-존재 개념을 통해 공동체를 새롭게 사유함으로써 기존의 공동체 미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공동체 미술을 제시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동시대 미술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공동체 미술(Community art)을 공공미술의 새로운 모델로서 파악한다. 공동체 미술은 미술가와 공동체가 협업함으로써 미술가와 관객 사이에 존재했던 전통적인 대립을 타파할 뿐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차별 없이 주어져야 할 공공의 영역에서 소외되어 온 주변부 공동체의 쟁점을 공론화한다는 점에서 미술의 사회적 책임을 도모한다. 하지만 이러한 공동체 미술은 그것의 비판적 실천에도 불구하고, 공동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서는 비판적 성찰이 부재하였기에 한계를 갖는다. 공동체 미술에서 공동체는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하는 집단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한 공동체 미술은 미술가와 참여자 모두가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해야만 지배 담론에 저항하는 비판적 실천으로서의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지배 담론이 구축한 구조 안에 스스로를 주변부 공동체로서 확고하게 고립시키는 양상이 되었고, 공동체 미술은 미적 실천이라기보다 윤리적 실천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고는 프랑스 철학자 장-뤽 낭시(Jean-Luc Nancy, 1940-)의 공동체론을 공동체를 새롭게 사유하는 방법론으로서 도입한다. 낭시는 공동체를 내재적 원리에 의해 완결된 실체가 아닌, 나와 타인이 존재의 유한성을 매개로 실존하는 상태인 공동-내-존재로서 파악한다. 이는 자아를 고립된 절대적 개인으로서 파악하여 바깥의 타인과의 관계를 규명하지 못했던 기존의 이성철학을 거부하고, 나의 존재는 언제나 이미 타인의 존재로부터 규명된다는 사실을 실존론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공동체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하여 존재의 문제로 귀결된 낭시의 사유는, 그리하여 영원불변한 진리 대신 우리는 매순간 세계에 공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존재론적 사실로서 제시한다. 그리고 낭시는 자신의 예술론에서 이러한 존재론적 사실을 예술이 감각적으로 현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우리가 세계에 공동으로 실존한다는 사실은 보편성을 추구하는 철학적 언어로 개념 규정될 수 없으며, 공동체를 하나의 의미로 고정시키고자 하는 의미화 작용의 굴레를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낭시는 공동체를 현시하는 역할을 예술에게 요청한다. 예술은 감각을 매개로 우리에게 전달되는데 이 때 우리는 예술작품을 통해 나 바깥의 외부에 가 닿는 경험을 하게 되고,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지 않고 매순간 지연되고 유보되는 미완의 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낭시적 의미의 공동체를 경험하게 해주는 동시대 미술의 전략들, 곧 비-장소, 협업의 과정, 기념비의 해체 등의 전략을 기반으로 공동체 미술의 미학을 공동체 없는 공동체의 예술적 실천으로 규정하고, 이로써 도출되는 새로운 공동체 미술의 한 사례로 현대 미술가 토마스 허쉬혼(Thomas Hirschhorn, 1957-)의 와 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동체 미술은 하나의 공유된 정체성이라는 중심으로 집결되어 나와 남을 가르는 폐쇄적 실천이라기보다, 나의 가장자리에서 그 바깥의 타인에게로 계속해서 접촉하는 열린 실천으로서 공공미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define the aesthetics of community art as The artistic practice of community without community, and also aims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ommunity art. Specifically, this essay proposes a new community art which overcomes the existing community art by re-thinking the concept of community through Jean-Luc Nancys Being-in-common.
First of all, this essay understands community art which takes an important location in the contemporary art as the new model of public art. Community art not only breaks down the traditional separation between artist and audience by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but also promotes social responsibility in taking notice of issues of the marginalized people whom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public realm, while it should be should be offered to everyone. However, despite the critical practice of such community art, community art faces limitations due to the lack of critical thinking on the concept of community. A community in community art indicates people who share the same identity. Community art based on such concept can be recognized as a critical practice which resists a predominant discourse only by sharing the same identity between the artist and participant. However, this also made community itself isolated as the marginalized group in the structure which a predominant discourse built, so that community art was evaluated as an ethical practice rather than an aesthetical practice.
This essay, focusing on such perspective, introduces French philosopher Jean-Luc Nancy(1940-)s theory of community as a methodology to re-think community. Nancy understands community not as a completed substance under the immanent principle, but as Being-in-common which is an existential state mediated finitude of Being between I and the other. It refuses the rational philosophy which cannot reveal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who is outside of I by it regards ego as the isolated and the absolute individual. Also it existentially examines that Being of I is always already due to Being of the other. Therefore, Nancy's thought which starts from a question of community and is concluded as a question of Being suggests we com-appears in the world each time as an ontological truth instead of an eternal truth.
Nancy also regards that art can present this ontological truth sensuously in his art theory because this truth that we exist in the world in common cannot be defined by philosophical words which seek universality, so it escapes restraints of signification that intend to fix community as a single meaning. Therefore, Nancy requests the role of presenting community to art. When art comes to us by sense, we can experience being outside of ourselves by art works, as well as we can experience an incomplete community which is not defined in one meaning and is deferred and suspended each time.
So this essay defines the aesthetics of community art as the artistic practice of community without community based on contemporary artistic strategies, such as non-place, collaboration, destruction of monument which can give us an experience of Nancy's community, and proposes contemporary artist Thomas Hirschhorn(1959-)'s art works, , as an example of the new community art. In conclusion, Community art can be a new paradigm of public art not as an exclusive practice which divides I and the other by concentrating oncenter which is one shared identity, but as an opened practice which continuously touches the other outside of I at the limit of Being.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