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명사구 동격 구성 연구 : A Study on Noun Phrase Appositional Construction of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반석

Advisor
장소원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명사구동격 구성지시의의즉흥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8. 장소원.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명사구 동격 구성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의 동격 구성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어왔지만 그 정의와 범위가 명확하지 않았다. 그래서 명사구와 명사구의 결합, 관형사절과 표제어의 결합, 인용 구문 등 연관성을 거의 찾을 수 없는 다양한 문법 현상들이 동격이라는 단일한 용어 아래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이에 본고는 2장에서 동격 구성의 개념과 범위를 명시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우선 논의의 범위를 NP(체언 상당 요소)에 한정하고, 동격 구성을 동일한 지시를 가진 NP들의 연쇄로 1차적인 정의를 내렸다. 그리고 각 NP는 동일한 격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하고, 이들이 이룬 구성도 한 문장에서 각 요소들과 동일한 격 기능을 보여야 함을 명시했다. 또한 의의 개념을 도입하여 동격 구성의 요소들이 동일한 지시와 함께 서로 다른 의의를 가짐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동격 구성의 통사적인 성질은 동일한 격을 갖는 병렬 구성과 비슷하지만 기능적인 측면은 관형 구성과 비슷한 수식 기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각 요소들 사이에 개입하여 그 구성이 동격 구성임을 확인시켜주는 요소들, 즉 동격 확인 요소의 존재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동격 구성이 문체에 따라 기능적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고 즉흥성 유무를 기준으로 구어체와 문어체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문어체 동격 구성은 한국어의 일반적인 수식 방향과 동일한 순행 수식과 그 반대인 역행 수식, 한 NP에 나열된 요소를 다른 NP가 아우르는 아우름의 기능을 나타냄을 보았다. 그리고 구어체 동격 구성은 문어체 동격 구성의 기능들뿐 아니라 발화 수정 기능, 대명사에 의한 강조 기능을 더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형태적 특성에 따라 동격 구성을 분류하였다. 이에 NP에 해당되는 요소들을 보통명사구, 고유명사구, 의존명사구, 대명사구로 분류하여 이들이 각각 선‧후행할 경우에 동격 구성이 어떤 기능들을 보이는지 말뭉치의 실례를 통해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론에서 다루었던 내용들을 정리하고 본고의 한계와 남은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동격 구성에 대한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보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scope of 'noun phrase appositional construction' of Korean, and to frame its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Although much literature has been presented on this construction so far, it is still hard to say its definition and scope have been clearly established. Various grammatical phenomena, hardly sharing common grammatical features, such as combinations of noun phrases or adnominal phrases, have erroneously been dealt with under single terms, ie, 'apposition.'
This paper starts with focusing on NP substantive elements, and then redefines the appositional construction as 'a chain of co-referential NPs'. Here the NPs are supposed to have different senses. Each NP represents the same case, and the constructions that consist of these NPs have to represent the same case as well.
It is interesting that NP appositional construction is found syntactically similar to coordinative noun phrases, which is thought to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ir elements have the same case. But functionally, this construction resembles the modificative noun phrase, because one element(of NP) is supposed to modify another. This study has also found the elements that intervene and confirm appositional relations between NPs. This study calls these elements 'apposition-confirming elements.'
Differences in style - literaly style, colloquial style- are found to give different functions to NP appositional constructions. In literary style, which has low level of spontaneousness, NP appositional constructions have functions of progressive modification, retrogressive modification, and integration. In colloquial style, they show more functions
progressive modification, retrogressive modification, integration, and additionally, speech modification, highlighting by pronoun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morphological features are also explored. NP substantive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common noun phrases, proper noun phrases, dependent noun phrases, and pronoun phrases.
In the end, this study notes the remaining problems of the NP appositional construction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