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색상이 정서유발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different colors on inducing emotional respons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라

Advisor
민경환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색상색상정서정서유발표상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2015. 2. 민경환.
Abstract
인간이 살아가는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요인 중 하나인 색상은 여러 가지 정서를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왔다. 각각의 색상들이 어떤 정서들을 유발시키는가에 대해서, 몇몇 색-정서 관계(예: 빨강-분노)들은 발달 과정이나 문화권과 무관하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가 통념으로 알고 있는 색-정서 관계가 과연 실재하는 것 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여지가 있으며, 그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선행연구들에서 색상을 표상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색의 표상 방식은 크게 색 그 자체를 제시하는 것과 색의 이름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지각적 과정을 통해 색에 대한 직감(gut feeling) 자체를 일으키는 한편, 후자는 그러한 과정 없이 개념적․명제적 수준에서 저장된 정보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실제로 유발되는 정서가 아니라 고 정관념적 색-정서 관계가 기존 지식으로서 관여할 여지가 커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색-정서 간의 유발 관계가 실재하는 것인지를 색 표상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Munsell의 20색상환에서 원색 및 명확하게 명명될 수 있는 1차 혼합색들을 이용하여, 연구 2에서는 명확하게 명명되기 힘든 애매한 색상들을 이용하여 색 자극과 색이름 자극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평정된 정서 유발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에서의 결과가 복잡한 자극에서도 실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6개의 회화 자극과 6개의 TAT자극의 전반적 색감을 3원색으로 조정하여, 유발되는 정서에 대해 응답을 받아 비교하였다.
Color is one of main factors that compose the physical environment human beings live in, and its importance as a cause of various kinds of emotion has been acknowledged. On the issue of how each different color causes some types of emotion, certain color-emotion relationships (e.g. red-anger) are regarded to be universal phenomena that are not influenced by developmental process or culture.
However, questions have not been raised on whether or not such color-emotion relationships, which we assume to be common notion, actually exist
this is because previous studies on this matter used different methodologies in signifying color. Methods of signifying colors can be divided generally into two categories: one presents the color itself, and the other presents the name of the color. The former induces 'gut feeling' in response to the color through perception, and the latter activates stored information on a conceptual/propositional level without perception. Therefore, in this latter method, the emotion is not actually induced in a physical manner, instead, it is more likely that stereotypical color-emotion relationship, based on pre-existing knowledge, participates in its process.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verify the actuality of color-and-emotion's relation of induction by changing the method of signifying colors. In Study 1, I used primary colors and primary mixed colors that can be clearly named from Munsell's 20 color system. In Study 2, I used colors that cannot be clearly named, and suggested color stimulus and color name. On these basis, I compared degree of standard emotional induction. In Study 3, in order to verify the actuality of Study 1's result in complex stimulation, I modified various kinds of picture stimuli's(6 Paintings and 6 TAT) overall color scheme, and compared the induced emotional reponses to that of Study 1's data.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3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