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김해삼정걸립치기 농악의 음악적 특성과 전승 의의 :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nal Significance of Gimhae Samjung Gulripchigh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옥경

Issue Date
2017-06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41, pp. 181-211
Keywords
민요의식요고사소리고사굿농악걸립농악경남농악김해농악삼정걸립치기FolksongRitual songGosasoriGosagutNongakGulrip NongakGyeongnam NongakGimhae NongakakSamjung Gulripchighy
Abstract
본 고는 김해시 삼정동에 위치한 삼정걸립치기보존회에서 전승하고 있는 삼정걸립치기의 음악 적 특성을 규명하고, 아울러 이 민속예능의 전승 의의를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농악의 예능을 구성하는 대요소들이 음악 이외에도 춤, 놀이, 연극적 요소 등이 있고, 그들의 상호 결합형태들을 종합적으로 살필 때 특정 농악의 예술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논할 수 있겠지만 본 고에서는 음악을 중심으로 삼정걸립치기의 보존가치를 조망하는데 집중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음악적 성격은 농악 기 쇠가락과 고사소리를 채보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삼정걸립치기는 비교적 지역성을 잘 담지한 고형에 가까운 안택고사굿을 전승하고 있는 것으 로 귀추가 주목된다. 그 음악적 전거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어름가락을 절굿가락으로 쓰고 있다. 어름가락을 절굿가락으로 쓰는 양상은 전국에 분포 하는 마을굿(제사굿) 양식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혼소박형 길굿가락을 행악(行樂)으로 연주한다. 단, 경기지역의 길군악 칠채나 호남우도 농악의 오채질굿 등과 같이 4겹장단이나 5겹장단이 모인 긴 길이의 리듬형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장단형의 두 장단이 가락 한 짝을 이룬 상대적으로 단형의 질굿가락을 쓰고 있다. 여러 사회문화 적 맥락에 따라 음악적 면모가 매우 발전한 지역농악들을 제외하고, 마을굿의 소박함이 그대로 전승되는 지역의 길굿은 대체로 두 겹 장단구조로 이뤄진 질굿가락을 많이 연행한다는 점에서 고형의 질굿가락을 보유, 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삼정걸립치기에서는 대동판굿이나 전문걸립형 판굿과 같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그것 이 아닌, 안택고사굿 안에 하나의 거리로 구성되는, 고형의 마당판굿 형태를 볼 수 있다. 넷째, 삼정걸립치기 고사소리는 음악 문화지리적으로 메나리권역에 속하는 음조직과 선율진행 상의 관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라를 기음으로 하여 미-라-도 세 음을 주요 구성음으로 사용하고, 하강 선율에서 라솔미로 솔을 거쳐서 음계 최저음으로 떨어지는 관습, 악구 종지와 최종종지 모두 라로 마치는 점이 그것이다. 여기에 추성과 퇴성의 출현 양상도 특징적인 면인데, 모두 자진 속도의 장단구조로 된 음악에서 나타난다. 추성은 라에서 도로 진행할 때, 퇴성은 라음이 시가가 길 때 나타나는 규범을 보인다. 삼정걸립치기는 한 공간에서 오랜 시간동안 전통사회와 현대사회 를 잇는 긴 시간적 축적을 보유한 농악으로서, 마을공동체에 의해 형성되고 전승되어 온 역사성이 뚜렷하다. 특별히 경상도를 비롯하여 현재 대한민국에서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농악 대부분은 판굿이라는 공연양식과, 전문걸 립패에 의해 전승, 전파 되어 온 전문 걸립양식에 집중되어 있다 는 점에서 마을 제사굿 성격의 농악 공연양식을 고스란히 전승하고 있는 삼정걸립치기의 상대적 보전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삼정걸립치기는 농악의 기악과 성악이라는 농악의 음악적 두 중요 요소 중에서 성악적 요소를 매우 풍부하고, 온전하게 보유하고 있어서, 한국 농악의 문화 적, 예술적 다양성을 입증하는데 있어서도 삼정걸립치기는 매우 중요한 근거자료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jeong Gulripchighy which is handed down at the Samjeong Gulripchighy Preservation Society located in Samjeong - dong, Gimhae city, and to find the meaning of the tradition of this folk entertainment. In addition to music, dance, play, and theatrical elements are the major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performing arts of Nongak music. While collectively examining their mutual combination forms,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artistic character of a specific Nongak music comprehensively, Focused on the preservation value perspective. The musical personality of this study was discussed by analyzing percussive music and Gosagut song melodies. It is noted that the Samjeong Gulripchighy is handed down to prototypical shape of Antaegosagut, which carries a comparatively local character. The Music Featur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rumgarak is used as a god worship rhythm. It is common thing in the form of the village ritual Nongak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Secondly, they play the Gilgut Garak(a rhythmic pattern) as a Hangak(gonggak), which is a mixed irregular length of beats. However, it is not a long rhythm type of 4-ply or 5-ply rhythm such as Gilgunak Chilchae Garak in Gyeonggi province or Ohchae Gilgut Garak in Honam Udo area, but rather a rhythm type with a relatively short shape. Local Nongak have been developed their musical aspect according to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Samjung Gulripchighy can be seen that they are handed down the simple village Gut(Nongak). Third, Samjeong Gulripchighy show the yard pangut play form which of as an part in whole Antaekgosagut. This for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form commonly known as Daedongpangut or the professional entertainment Pangut. Fourth, Samjung Gulripchighy ritual songs take the form of music geography belonging to the Menari area and shows the custom of progressing the melody. In other words, it is a custom to use the Mi-La-Do three sounds as the main compositional root sound of La, to fall from the descending melody to the lowest sound through the brush with La- Sol-Mi. Here, the aspect of appearance of Chuseong and Degradation is also a characteristic aspect and all 'Ra-Mode' of which appear in the music is of the volitional structure. Chusung is seen when on the raising road from La to Do' and Degradation is seen on the long length of La sound at the edge of music period.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48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