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ultural Politics in the Gardens of Suzhou: Social Change and the Expansion of Garden Culture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 명말청초(明末淸初) 소주(蘇州) 정원의 문화정치학: 사회계급에 따른 사대부와 상인 및 평민 정원문화 간의 지배와 충돌 양상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윈쟈옌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Issue Date
2018-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opularized garden culturegarden of scholar-official hierarchygarden of merchant hierarchygarden of commoner hierarchysocial hierarchical ideologysocial right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2018. 2. 조경진.
Abstract
The popularization of garden culture in Chinese history occurred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Garden culture, hitherto the exclusive privilege of scholar-officials in Suzhou, was enjoyed by people of all classes of society and a more pluralistic garden culture unfolded. However, within the popularized garden culture, due to the difference in social class between the scholar-official hierarchy and the merchant and commoner hierarchy, two genres of garden culture could be distinguish. This study focused on these two subdivided garden cultures within the popularized garden culture in Suzhou, exploring the subordinate and de-subjug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garden culture of the scholar-official hierarchy and that of the merchant and commoner hierarchy.
In Chapter 2, the Suzhou gardens are reviewed and outlined. First, I explore the aristocratic attributes of Chinese gardens
in the Confucian society of China, it was revealed that gardens were a culture enjoyed by the upper class, such as the king and scholar-officials. This was the same for Suzhou. In the history of Suzhou gardens before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only the scholar-official class owned and enjoyed gardens. During this period, the scholar-official gardens of Suzhou were dominated by agricultural production, but from the late Ming dynasty, the fields in the gardens disappeared and the gardens in Suzhou turned into aesthetic landscapes with various designed facilities.
Then, the reasons why the garden culture was popularized from the late Ming to the early Qing dynasties are addressed. First, from the political point of view, the collapse of the order of feudal society in the late Ming dynasty shoo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social clas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lass and the commoner class was narrowed. The garden culture, originally enjoyed only by the upper classes of the feudal society, was absorbed into each class of society. Second, the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the people was inspired by the universal ideology enacted in the late Ming dynasty. Therefore, garden culture became a cultural right that ordinary people could enjoy. Third, due to the poor land system, the path to gaining land easily by those with the desire to create gardens was opened up and there was prodigious production of gardens. Fourth, the consumption of garden culture was born against the background of social commercialization due to economic development, so that anyone with economic power could construct their own gardens.
Chapter 3 examines the garden culture of the scholar-official class. The scholar-official garden exemplified classical garden culture and was constructed in a small simple design style. The scholar-officials tended to spend an elegant literati life in the garden, engaged in social interaction with scholar-officials of the same class. As the orthodox Confucian ideology of the scholar-official class was reflected in their gardens, the main thrust of their garden culture comprised resistance to commercialized garden culture. The gardens were a place in which their status and class were specified beyond those of the daily life and art of the scholar-official. Therefore, the scholar-officials intended to defend a unique garden culture representing their class, with a critical awareness of the commercialized garden culture,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the orthodox and commercial boundaries and adhering to the authentic domain to which the scholar-official class belonged. Thus, the garden culture of the scholar-official gardens embraced the cultural hegemony of the scholar-official and symbolized support for the order of hierarchical society.
Chapter 4 provides an analysis of the garden culture of the merchant class. The scale of the gardens that the merchant class designed was larger and their gardens were showier than those of the scholar-official. The basic design style followed the shape of the scholar-official garden, adding a splendid design element and introducing a special style to add characteristic scenery. The design of the merchant garden aimed to develop the style of the Chinese traditional scholar-official garden, adding positive aspects but still following the classical style. The plants used in the merchant garden were usually expensive introduced species not often seen in scholar-official gardens. The cultural activities in the merchant garden included not only the elegant enjoyment pursued by the elite class, but also the popular culture enjoyed by the common people, such as traditional opera. After creating their gardens, merchants invited scholar-officials and famous artists belonging to their network to visit. In addition to showing their wealth, they intended to publicize the fact that they had the same garden life as scholar-officials through social interaction in their gardens. For them, the gardens were a means of gaining access to the upper classes of society and elevating their social status and class: the merchant gardens were the vehicle for realizing their ambitions. The emergence of merchant gardens showed that gardens were no longer the privilege of the scholar-official hierarchy and represented the process of dilution of the Confucian property, which was grounded in the concept of Chinese gardens.
In Chapter 5, the garden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is considered. The gardens of the commoner class were spaces filled with representations of their repetitive daily life. In the design of their gardens practicality w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reasons for common people establishing gardens were not related to utilitarianism purposes, as in the merchants gardens, but rather catered purely to the leisure time of the individual. Social interaction in the commoners gardens was among only those of the same class. Their garden design did not have to conform to certain norms or rules, such as the scholar-official hierarchy or the gardens of the merchant classes. Thus, the form of the commoner gardens vari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taste and they had greater authority over the design of their own gardens than scholar-officials or merchants. The Confucian class redefined the elitist hegemonic Chinese garden culture in the traditional sense, separating the concept of garden from Confucian hegemony and giving it a new social meaning as the social rights of all commoners.
Chapter 6 analyses the subordinate and conflicting d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cholar-official and merchant-commoner garden cultures. The garden culture of merchants and commoners began by imitating the scholar-official garden culture. The merchant class, which was the main force behind the peoples garden culture, formed a social interaction relationship with the scholar-official class of Suzhou in their own gardens, derived from the secular purpose of using the profound local authority of the scholar-official to elevate their status. In terms of design form, both the merchant and commoner gardens followed the scholar-official garden as an example, but the merchant gardens applied colourful elements on a large scale and the commoner gardens placed scholar-official gardening styles, preferred by the owners, in small gardens. Cultural activities within the peoples gardens were also derived from the cultural form in the scholar-official garden. Such imitation and transplantation were self-imposed by the merchant and commoner and this cultural subordination was implemented within the social structure imposed by hierarchical ideology.
There are also contradictory aspects within the relationship of subordination between the garden culture of the scholar-official and that of the merchant-commoner. All the garden landscape elements of the merchant class were derived from the scholar-official garden, but were enriched by the grand scale and magnificence of the masters wealth and taste. Moreover, merchants imitated the cultural activities of the scholar-official garden, but they also enjoyed the traditional opera and songs and dances of popular culture, far removed from the elite attributes of the scholar-official class. The scholar-official garden constituted a landscape from an ecological viewpoint, whereas the merchant garden created a large artificial landscape, regardles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Merchants and commoners transformed the property of the garden from a private space into a public space and turned the spiritual cultivation originally aimed at in the scholar-official garden into something related to secular daily life. In other words, the garden was no longer a symbol of the scholar-officials identity, but a social right enjoyed by all social classes. The socially elite scholar-official criticized these changes because they represented the vulgarization of culture and differences in these cultures based on class were inevitable.
The concept of the Chinese Garden included the intention to preserve the order of the Confucian hierarchical society. However, this traditional meaning began to be challenged in the process of popularizing garden culture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in Suzhou. At that time, the various classes of society enjoyed garden culture and aspects of the pluralistic garden culture spread. However, the Confucian class ideology, which was still the operating mechanism of society, rendered the garden culture of the emerging class dependent on the culture of the ruling class. In the process, however, the popular culture of the people was infused into the gardens and a new identity began to emerge in garden culture. As the culture of the peoples gardens spread, the elite scholar-officials strengthened the legitimacy of their gardens, but the new concept that gardens represented an expression of peoples social rights was spreading to the public. Therefore, the Chinese Garden of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was not only an implementation of high garden design arts, but rather an opportunity
namely, the people of each class in society pursued the right to enjoy the culture.
중국 정원 역사에서 명말청초는 정원문화의 대중화가 도래했던 시기였다. 사대부의 독점적 특권이었던 정원문화를 대중도 향유하게 되면서 더욱 다원적인 정원문화가 펼쳐졌다. 이 현상은 크게 사회 엘리트 계급인 사대부가 계승해왔던 고유의 정원문화와 상인 및 평민계층이 새롭게 조성한 신흥 정원문화로 양분되어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원문화 대중화의 이면에는 유교적 계급사회의 계층적 차이에 따른 문화적 종속 및 탈 종속의 관계가 내재해 있었다. 본 연구는 사대부 정원문화와 상인 및 평민 정원문화 간에 얽혀 있던 이들 관계를 문화정치학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소주 정원을 개괄하였다. 먼저 중국 정원이 지니는 귀족적인 속성을 도출하고, 중국 유교사회에서는 정원이 군왕과 사대부 등 사회 상류계층이 누리는 문화였음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소주도 마찬가지였다. 명말청초 전 소주의 정원 역사를 보면 오직 사대부만이 정원을 소유하고 즐겼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명말청초 이전의 사대부 정원에는 농업 생산 위주의 경관이 주를 이루었으나 명말 이후 이들 논밭이 사라지고 조경 시설물 위주의 심미적인 경관으로 변천한다.
그 다음에 명 말엽부터 시작되어 청 초엽까지 정원문화가 대중화 되었던 원인은 다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정치적인 측면에서 볼 때 명 말엽의 봉건사회의 질서 붕괴는 기존의 각 사회적 계층 간의 관계를 흔들었고, 상류계층과 일반 평민계층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 본래 봉건사회 상류계층만 향유할 수 있었던 정원문화가 사회 각 계층으로 흡수되었다. 둘째, 명 말엽에 성행한 만인평등 사상의 심학(心學)으로 대중들의 인권 의식이 고무되었고, 이로 인해 본래 사회 상류 계층에게만 전속(專屬)되었던 정원문화가 보통 평민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권리가 되었다. 셋째, 허술한 토지 제도로 인해 정원을 조성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사람이 손쉽게 땅을 얻을 수 있는 경로가 열려 정원의 과생산(過生産)이 조성되었다. 넷째, 경제 수준의 발달로 인한 사회 상업화의 배경 아래에서 소비성(消費性) 정원문화가 탄생하여 경제력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정원을 가꿀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정원문화의 대중화 현상이 대두하였다.
3장에서는 사대부계층의 정원문화를 살펴보았다. 사대부 정원은 예스러운 고전 정원문화를 추앙하였고 소박한 스타일로 구성되었다. 정원에서의 문화 활동은 주로 문인의 우아한 일상인 차를 마시거나 시문이나 그림 작품을 창작하는 것으로 채워져 있었다. 정원에서 교제를 나누는 사람들은 대부분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사대부계층에 속해있었다. 사대부 계층의 정통적 유학사상이 정원문화에 반영되면서 상업화된 정원문화에 저항하는 사대부의 의지가 그들의 정원문화를 주도하게 된다. 정원은 단지 사대부의 일상과 예술을 담은 장소를 넘어 그들의 신분과 계급이 명시되는 장소였다. 따라서 사대부는 상업화된 정원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의식과 함께 그들 계층을 대표하는 고유한 정원문화를 자신의 정원에 담고자 했으며, 정통과 상업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분하여 사대부 계층이 속하는 정통의 영역을 고수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사대부의 정원에서 나타나는 정원 문화는 사대부의 문화적 패권의식을 내포하고 있으며 유교적인 계급질서를 옹호하는 상징하였다.
4장에서 상인계층의 정원을 분석하였다. 상인계층이 설계하는 정원의 스케일은 대부분 사대부 정원보다 크고 화려하다. 기본적인 설계 양식은 사대부 정원의 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화려한 설계 요소를 더하고, 특징적 경관을 더하기 위해 특별한 양식을 도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인정원의 설계 방식은 고전의 답습에 머물러있던 중국 전통의 사대부 정원의 양식을 발전시키는 긍정적인 면도 있었다. 상인정원의 조경 식재는 보통 사대부 정원에서 사용하지 않는 값비싼 외래종 식물을 많이 썼다. 상인들의 정원 향유는 엘리트 계층이 추구한 아雅문화만이 아니라 희극처럼 보통 평민들이 즐기는 대중화된 통속 문화도 함께 망라하였다. 정원을 조성한 후에 그들의 인맥에 속한 사대부와 유명한 예술가들을 초청하여 자신의 정원을 구경시켰는데, 이는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목적 외에도 자신이 사대부와 같은 정원 생활을 한다는 사실을 교제를 통해 널리 알리고자 하려는 의도였다. 그들에게 정원은 사회 상류계층 속으로 파고들어 자신의 사회적인 신분과 계급을 상승시키는 수단이었으며, 상인 정원은 그들의 세속적 욕망을 실현하는 매개체였다. 상인 정원의 출현은 정원이 더 이상 사대부계층의 특권이 아님을 보여주었고 중국 정원의 개념에 고착화되어 있던 유교적 속성이 희석되는 과정이었다.
5장에서 평민계층의 정원문화를 고찰하였다. 평민계층의 정원은 그들의 반복적 일상생활을 담은 공간이다. 그들 정원의 설계는 실용성이 중요했다. 평민이 정원을 조성하는 이유는 상인정원처럼 공리적 목적과 관계가 없었고, 오히려 순수하게 개인의 여유로운 일상을 위한 것이었다. 평민의 정원 교제는 같은 계층 사이에서만 일어났다. 그들의 정원 설계는 사대부계층이나 상인계층의 정원처럼 일정한 규범이나 규칙에 따라야 할 필요가 없었다. 따라서 평민 정원의 형식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했고, 자기 정원에 대해 사대부나 상인보다 더욱 강한 권한이 있었다. 평민계층은 전통적 의미의 엘리트 패권주의적 중국 정원문화를 재 정의하여 정원의 개념을 유교적 헤게모니에서 분리시켜 모든 평민의 사회적 권리로서 새로운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6장에서는 문화정치학의 관점으로 명말청초에 사대부계층의 고유 정원문화와 상인 및 평민계층의 신흥 정원문화 간의 종속적이고도 대립적인 이중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신흥 정원문화는 고유 정원문화를 모방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신흥 정원문화의 주체세력이었던 상인계층은 그들의 정원에서 소주의 사대부계층과 적극적으로 정원 교제 관계를 형성했는데, 이것은 사대부의 뿌리깊은 지역적 권세를 자신의 신분상승에 활용하려는 세속적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설계양식 측면에서 상인과 평민의 정원 모두 사대부 정원을 모범으로 따랐지만, 상인정원은 큰 규모에 화려한 요소를 적용했고 평민정원은 주인이 선호하는 몇 개의 사대부 정원 양식을 작은 정원에 배치하였다. 상인 및 평민의 정원 내 문화 활동 역시 사대부 정원에서의 문화 형식에서 파생된 것이었다. 이같은 모방과 이식은 상인 및 평민 스스로 자처한 것이었으며, 유교적 이념에 의해 계급화된 당시의 사회구조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종속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엘리트적 고유 정원문화와 상인 및 평민으로 조성된 신흥 정원문화 간의 종속 관계 내에는 서로 대비되는 지점도 보인다. 상인계층의 정원 조경 요소는 모두 사대부 정원에서 유래된 것이었지만, 주인의 재력과 취향에 의해 거대한 스케일로 화려하게 연출되었다. 또한 상인은 사대부 정원의 문화 활동을 모방했지만 상인 및 평민의 통속적인 문화를 끌어와 사대부의 소박함과 거리가 먼 희극과 가무를 정원에서 즐겼다. 사대부 정원은 생태적인 관점으로 경관을 구성했지만 상인의 정원은 지역의 생태적 특성과 관계없이 주인이 원하는 바대로 대량의 인공적 경관을 조성하였다. 상인과 평민은 사대부 정원의 사적인 공간으로서의 속성을 공적 공간으로 변모시켰으며, 원래 사대부 정원이 지향했던 정신 수양으로서의 장소적 의미를 세속적이고 사사로운 일상을 위한 곳으로 변환시켰다. 즉, 정원을 더 이상 사대부 정체성의 상징이 아니라 모든 이가 누리는 사회적 권리로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엘리트 상류층은 이러한 변화를 문화의 저속화라는 이유를 들어 통렬하게 비난했고, 계급성에 기초한 이들 문화의 차이는 서로 점점 벌어질 수밖에 없었다.
중국 정원이라는 개념 속에서는 항상 유교 사회 질서를 지키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의미는 명말청초 소주 정원문화가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도전 받기 시작한다. 당시 사회의 다양한 계층이 정원문화를 향유하면서 다원적인 정원문화의 양상을 펼쳐졌지만, 여전히 사회의 작동 기제였던 계급적 유교 이념은 신흥 계층의 정원문화를 지배계급의 문화에 종속하게끔 만들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인 및 평민 계층의 통속적인 문화가 정원에 융합되었고, 이에 따라 그들의 정원문화에 새로운 정체성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신흥 정원문화가 확산되면서 사대부는 자신들의 정원의 정통성을 더욱 공고히 하였으나, 이미 정원이 상인 및 평민의 사회적 권리의 표현이라는 새로운 개념은 대중에게 퍼져나가고 있었다. 따라서 명말청초의 중국 정원은 단지 높은 조원예술의 구현만은 아니었으며, 오히려 하나의 계기로서, 사회 각 계층의 사람들이 자신이 문화 활동을 향유할 권리를 추구했던 실제 생산물이었던 것이다.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412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