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주민 성인문해교실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와 그 대응양식 : A Study on Dilemmas experienced by Teachers in Adult Literacy Classroom for Immigrants and their Coping Metho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정유

Advisor
한숭희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Issue Date
2018-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18. 8. 한숭희.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 맥락에서 새롭게 등장한 비문해 집단을 위한 문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의 양상과 그에 대한 대응양식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이주민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교육 활동을 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新)비문해집단을 위한 문해교육은 학령기에 교육을 받지 못한 비문해 성인을 위한 문해교육과는 내용과 목적 측면에서 다른 차원의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들의 정착 초입단계의 문해교육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는 한국어 교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이 공존하는 교실에서 교육 활동을 하게 된다. 한국어 교사들은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 반성하는 과정에서 수업 내,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곤란한 문제들을 마주하게 된다. 일종의 긴장과 갈등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언가 선택을 내려야 하는 상황 속에서 교사들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사가 포착한 이주민 성인문해교실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둘째, 이주민 성인문해교실에서 한국어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어 교사의 딜레마 대응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이에 본 연구는 일정 자격을 소지하여 학문목적 학습자인 유학생들을 제외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교육 활동을 하고 있고,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10명의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한국어 교사가 되기까지는 이(異)문화의 직간접적인 접촉, 새로운 교육경험에 대한 욕구, 일터로의 복귀와 전환, 주변으로부터의 권유라는 크게 네 가지 범주의 맥락이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들은 한국어 교실이 단순히 언어만을 습득하는 것의 차원을 넘어 학습자들에게 사회적 정보를 공유하고 정서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장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이 목표문화 내에서 삶을 지속하기 위한 사회적응의 수단으로 기능한다고 보며, 한국어 습득을 통해 다른 학습으로의 확장과 더불어 보편적인 권리를 찾을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 상황에 대한 한국어 교사들의 해석은 실제 수업이 이루어지는 상황과는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하였다.

이주민 성인문해교실에서 한국어 교사가 경험하는 수업 딜레마는 상호적 차원, 교수적 차원, 존재적 차원, 실제적 차원의 4가지 차원에서 나타났다. 상호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딜레마는 이주민 성인문해교실이 다양한 문화 정체성이 공존하는 곳이라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한국어 교사는 이러한 문화적 교차상황에서 이질적인 모(母)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 간의 문화적 긴장 속에 위치하며, 이를 어떻게 해소해나가야 할지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과 교사 사이의 문화 간 인식 차이로 인해 소통이 엇갈리는 상황으로 곤란함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교수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딜레마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한국어 교사가 겪는 딜레마를 의미한다. 이는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두 가지 차원에서 각각 효율적인 학습방향을 설정하는 것, 목표문화 학습이 학습자들의 생활과는 이질적으로 행해지는 것에서 겪는 딜레마로 나타났다. 존재적 차원에서는 한국어 교사로서 스스로의 역할을 규정하고 정체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의 갈등이 드러났다. 이는 교육자와 봉사자 사이에서 경계를 설정하는 상황에서의 딜레마와 언어를 가르치는 자신의 역할 범주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딜레마로 나타났다. 실제적 차원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 혹은 학습자의 배경 요인으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경험하는 딜레마를 탐색하였다. 이에 한국어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학습이 확장될 수 없는 제한적인 학습 환경의 작용과 한국의 현실 생활에 노출된 학습자의 학습 지속의 한계로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한국어 교사들은 각자가 경험하는 딜레마 상황에 대하여 대응하고 있었다. 이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실천전략과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기존에 스스로 가지고 있던 관점을 변화시키는 반추적 관점 재구성의 두 가지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실천전략은 갈등 상황을 예방하는 차원의 예방적 중재, 학습자들의 생활 세계와 더 밀접한 학습을 위한 학습 경험의 재조직화, 여러 선택지 중에서 타협하는 선택, 상황을 일반화시키는 전략, 마지막으로 스스로 학습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실천전략 외에도 한국어 교사들은 딜레마 상황을 마주하고 이에 대한 대응의 과정을 거치면서 그 결과로서 자신의 인식이 변화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 과정은 교사 자신이 일련의 딜레마 상황들을 반추하면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관점을 재구성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업 딜레마의 사태를 바라보는 하나의 프레임을 제공해주며, 성인교육자의 딜레마 경험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사들의 딜레마 경험은 단순히 해결해야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이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관점을 해체하고, 이를 재구성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딜레마는 교사의 긴장과 갈등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변화의 추동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수업 딜레마 연구에서 다루었던 수업 지식, 교수법에 대한 딜레마보다는 학습자와의 관계와 감정과 같은 주관적 요인이 이들의 딜레마 경험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문해교육의 의미를 담지하지 못하고 있는 현재 한국어 교육에 보다 확장된 문해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한국어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한글교육을 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것보다 더 중요한 부분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은 학습자들이 주어진 한국어 교육 과정을 소화해내는 동시에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실제 생활 세계에서 요구되는 능력들을 습득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부분들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어 교사들은 언어 교육자를 넘어선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갈등, 학습자의 생활과 분리된 교육 내용들, 문화 교육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 등이 딜레마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기초 문해교육으로서 한국어 교육이 작동하기 위한 학습 여건들이 구조적인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것을 목도하면서 딜레마에 빠지기도 하였다. 이처럼 교사들은 한국어 교육이 내재된 상황적 조건들로 인해 다른 학습으로까지 쉽게 확장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한국어 교사들이 교실에서 경험하는 딜레마는 이들이 교육 현장을 기존의 한국어 교육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문해교육적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언어를 기능적으로 교육하는 차원을 넘어 문해교육의 맥락에서 실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et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lemma type experien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for the newly emerging illiterate grou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ping method. This study, in particular, focused on th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targeting 'migrant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who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immigrants.

The literacy education for the 'new illiterate group' requires a different approach in terms of contents and purpose from those for illiterate adults who are not educated in school ag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actually responsible for the literacy education at the initial stage of their settlement perform educational activities in a classroom where learner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coexist. This condition makes the teachers to face with challenging problems, in the course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lesson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o experience a kind of tension and conflict situations. In other words, they fall into a 'dilemma'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decide someth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ccordingly,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adult literacy class perceiv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dilemma types faced by the Korean language teacher in the immigrant adult literacy classroom?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coping method?

The subjects were ten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two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ith educating 'migrant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except for foreign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m.

The motive by which the teachers to decide to become Korean language teacher included four categories of direct and indirect contacts with other culture, desire for new educational experience, return to work and conversion, and suggestion by others. They thought that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is not just for language acquisition but for being a forum for students to share social information and enable emotional exchange. In addition, they hope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to function as a means of social adaptation for the immigrants to sustain life in the destination culture, and them, through Korean language learning, to obtain universal rights in addition to expanding to other learning. Korean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se educational situations conflicted with actual one in which real classes were held.

The teaching dilemmas experien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immigrant adult literacy classroom were identified in four dimensions of mutual, pedagogical, existential, and practical ones. The dilemma that occurs at the mutual dimens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adult literacy classroom is a place where various cultural identities coexist.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located in cultural tensions among learners who have heterogeneous cultural backgrounds in the context of these cross-cultural situations and experience a dilemma in deciding how to resolve them. They, in addition,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the fail in communication occurring b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between cultures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dilemma in pedagogical dimension implies one experienced by Korean teachers in the process of leading learners to learning. This was found to come from establishing an effective learning direction for each of the two levels of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learning of destination culture done in heterogeneous way to the real lives of learners. On the existential dimension, the a dilemma of conflicting in defining the role of and setting identity as the Korean language teacher was revealed. This included a dilemma in the context of setting boundaries between educators and volunteers and one fac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ir role categories from teaching language to other categories. At the practical dimension, we explored the dilemma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classroom due to learning environments or background factors of learners. Korean language teachers, therefore, experienced a dilemma due to limited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learning is unlikely to be extended and continuous limitations due to learners' continuous exposure to real life in Korea.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oping with to the dilemma situation they experienced. This appears as action strategies leading to concrete actions and as reflectional reorganization of perspective in which they change their previous perspective through these processes. The action strategies used by teachers include preventive intervention to prevent conflict situations, re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for closer learning to learners' real life, negotiated choice among various options, and acting the learning by themselves.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 result of facing a dilemma situation and coping with them, experience change of their perception. The process of these changing in perception is considered to be the reconstruction of their previous viewpoint while reflecting the dilemma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a frame to view the teaching dilemmas and has value of focusing on the dilemma experience of the adult educators. The teachers' dilemma experience is not just something to solved, but ascts as an opportunity to dismantle the previous perspectives and reconstruct them. The 'dilemma' in this study is a cause of the tension and the conflict experienced by the teacher, but also acts as the driving force of the change. Also, rather than the dilemmas about class knowledge and pedagogy that we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dilemmas, subjective factors such as 'relationship' with learners and 'emotions'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part of their dilemma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xtended literacy education approach is needed for the 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which does not carry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s teach Korean language and Han-gul to learner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thinks that more important exists. They wanted the students to sand the giv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 and to acquire the skills required in the real world of life. Recognizing these points,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ience conflicts over their roles beyond language educators, educational contents separated from learners' lives, and difficulties and worries related cultural education and these appears as a form of dilemmas. In addition, they face dilemma after finding the fact that the learning condition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restricted by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e teachers believe, accordingl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likely to expand easily to other learning because of the contextual conditions inherent in it. These show that the dilemma experien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classroom arises because they view educational field in the context of literacy education rather than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should be performed not only for mechanical teaching of language but only in the context of literacy educ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446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