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은유로서의 분위기 : Atmosphere as a Metaphor -Metaphor and Verbal imagination picturing Atmosphere-
분위기를 그리는 언어적 상상력과 은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건일

Advisor
백진
Major
공과대학 건축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9. 2. 백진.
Abstract
분위기(atmosphere)는 우리의 주변을 둘러싸는 사이 혹은 관계들이 정서적인 형태로 체감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분위기의 경험은 주지적인 시선으로 미적 대상을 탐구하는 것에서 벗어나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종류의 주변적이며 정서적인 인지들을 포괄하는 탐구가 된다. 독일의 미학자 게르노트 뵈메(Gernot Böhme, 1937~)는 위와 같이 주장하며 그 예술론적 기획의 중심에 분위기라는 개념을 끌고 들어온다. 이때의 분위기는 대상의 내재된 본질이 아닌 밖으로 드러나 있는바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분위기는 물질이나 사람이나 그것들 간의 관계가 세계를 향해 나와있고, 우리의 신체가 그것과 함께함으로 경험되는 정서적 체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건축에 있어서 분위기라는 개념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인가? 뵈메는 이때 무대 디자인을 핵심적 패러다임으로 내세우며 오늘날의 디자인과 건축과 같은 작업이 무대화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에 건축은 그 속성들이 전달하는 정서적 효과들을 마치 연극의 무대를 만들 듯이 연출되어야 하는 것이 된다. 이 연출을 위해 그는 대상을 넘어서서 대상 밖으로 나가서는 속성들을 강조하는데, 이에는 오늘날의 무대와 같이 빛과 소리, 색과 재료 등이 주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그의 주장이 담고 있는 신체감의 강조와 그것을 다루기 위한 재료성, 빛과 소리, 냄새, 색 등의 방법적 연출의 문제가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임은 틀림없다. 그러나, 여기에는 형식주의적 함정이 숨어있음을 짚어낼 필요가 있다. 분위기를 그저 분위기적 요소로서 바라볼 때, 건축가는 종종 미학적 작업으로서 분위기적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사고에 빠지기 쉬운 것이다. 알베르토 페레즈-고메즈는 이러한 분위기에 대한 미학적 이해들이 그저 떠다니는 감각과 인상들에 대한 논의에 그치며, 소위 건축이 수행해야하는 정서적 조율(attunement)의 역할을 가린다고 지적한다. 그는 특이하게도 선반성적이며 즉각적인 신체감의 영역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언어적 상상력과 그 핵심인 은유와 이야기를 내세운다. 이에 본 논문은 언어를 배제하는 시도로 보이는 분위기적 작업과 페레즈 고메즈가 말하는 언어적 상상력을 통한 조율로서의 분위기적 작업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분위기에 대한 순수 감각적 이해가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건축을 포괄하는 사고에서 분위기 개념이 가지는 위치를 짚어내어, 분위기를 사고하는 건축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위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와 은유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짚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분위기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이끈다고 할 수 있는 뵈메의 주장에서 분위기는 반성적이며, 작위적인 기호-언어가 아닌 즉각적인 신체감으로 이미 세계 내에 나가서며 존재하는 것 자체일 뿐이다. 반면, 페레즈-고메즈는 옥타비오 파스, 모리스 메를로-퐁티, 폴 리쾨르 등과 최근의 인지언어학에서 등장한 언어의 체화됨을 주장하며, 언어를 언어학적 기호의 관계로 보는 것을 부정한다. 이때 그가 상정하는 언어는 반성적이며 논리적인 언어가 아니라 선반성적인 이미지 자체를 담고 있는 시의 언어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은유와 이야기는 시의 언어를 만드는 창조적 상상력의 대표적 양상일 뿐만 아니라, 삶의 상황에 붙어있는 정서를 끌어낼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위의 뵈메와 페레즈-고메즈의 언어관에 대한 차이를 바탕으로 건축에서의 언어-은유-이야기의 이해의 차이를 유추해볼 수 있다. 실상, 뵈메가 비판하는 은유적 건축, 혹은 기표들 간의 의미 놀음은 개념적이거나 형상적인 은유의 수준에 그친다. 반면, 페레즈-고메즈가 폴 리쾨르와 인지언어학을 들어 서술하는 은유 이해는 은유 이전의 체화된 이야기들을 파헤치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관점에서의 은유 이해를 이야기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은유로 살피고, 이에 이야기를 내재하는 은유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인간의 행위를 위한 정서적 조율을 수행한 루돌프 슈바르츠의 예배당에 대한 서술을 예시로 들 수 있다. 그의 건축 작업은 은유적 상상력으로 한 공동체의 체화된 의미를 새롭게 연결함으로, 익숙한 신성함의 분위기가 아닌 신성함을 예배당을 향해 제시했다.
정리하자면, 페레즈-고메즈는 특정한 감각 이미지가 아닌 언어와 그 상상력의 핵심이 되는 은유와 이야기를 창조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생각에는 감각적 요소를 다룰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의 미학이 아닌, 건축 작업에서의 분위기적 사고가 가지는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함축 돼있다. 그가 말하는 분위기는 기분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사고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그 기분을 담는 행위를 포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곧, 그것이 무엇을 위한 공간이 되고자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 없이, 그저 시크하거나, 편안하거나, 긴장되거나, 위엄 있는 느낌을 주는 감각적 요소들을 추구하는 태도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분위기는 삶의 행위들을 담을 수 있는 건축의 기본범주인 시설의 상상력과 연결된 사고일 때에 의미를 갖춘 형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형식이 형식 그 자체로 설 때 자폐적인 한계가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분위기를 분위기적 속성 자체로 이해하는 것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 아닐까? 페레즈-고메즈로부터 끌어낸 분위기 밖에서의 분위기 이해는 그 개념을 미학적 범주에서 주변적으로 인지되는 정서감의 수준을 넘어서 외연을 확장하는 이해이다. 신체감을 향한 분위기 자체를 만들기 위한 분위기 논의가 아닌 삶의 행위를 담는 배경적 건축을 위한 분위기 논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어떤 건축가는 감각적 속성과 인상, 신체감, 공감각 등을 사고하며, 재료를 실험하고 구축해 몸으로 살피는 것을 현상학적 건축이라 주장하며 이를 위한 탐구를 이어가는 태도를 가지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분위기로 하여금 은유와 이야기의 상상력을 끌어안을 것을 요구하는 것은 건축가로 하여금 즉각적 감각 탐구를 잠시 미뤄두고, 그 행위를 담는 무대를 만들고자 하는 공동체의 몸을, 그 몸이 발화하는 이야기들을 해석하는 태도를 갖도록 주장하는 것이다.
Atmosphere is between or relational phenomenon of human surroundings, experienced as an emotional mode. This experience of the atmosphere deviates from exploring aesthetic objects with rational perspective and serves to encompass the different types of peripheral and emotional perceptions we experience in our daily lives. German philosopher Gernot Böhme (1937~), who asserts the above, draws the concept of "atmosphere" at the center of his aesthetic project. In this point of view, atmosphere is not about the intrinsic idea of the subject, rather its about the concept of what radiates out of things.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can be described as an emotional experience of a body inside 'object' or 'subject' or 'relationship between them'.
So, what role can the concept of atmosphere play in the realm of architecture? Böhme claims stage design as the main paradigm of his aesthetic concept and describes contemporary design and architecture by the staging features of theatric scenography. In this way, the architect should produce the architecture of emotional effects as if they were creating a stage for a play. For this staging value, he emphasizes ecstasis(quality that emanates from~ to outside), which includes light and sound and color and material like contemporary theatre.
The emphasis on the Corporeal Feeling that he claims and the problems of elementary approach such as materiality, light and sound, smell and color must be the key factors creating the atmosphe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there is a formalistic trap, hidden here. Looking at the atmosphere as just an atmospheric elements, architects are prone to fall into creating so-called 'atmospheric artworks', as an aesthetic work. In this situation, Alberto Perez-Gomez(1949~) points out that the aesthetic understanding of atmosphere is only a discussion of floating sensations and impressions, and that it conceals the emotional attunement that architecture should perform. In particular, he presents verbal imagination, that seems far from the realm of pre-reflective and immediate physical feeling, as a key vehicle which brings atmosphere to presence. For this reason, this paper tries to point out the limitation of a pure sensory-corporeal understanding of the atmosphere, through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work, which excludes language for its reflective nature, and atmospheric work as an attunement, which embraces verbal imagination for its fundamental capacity of drawing our emotional existence. In the end, we should point out where the place of atmospheric approach is, in the process of conceiving architecture, and find the meaning of atmospheric thinking'.
In order to proceed, it is essential to first point out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language and metaphor between two theorists. In Böhme's, who seems to lead common understandings, the atmosphere is not about the introspective nature of linguistics, but of the immediate physical sense in the world itself. Perez-Gomez, on the other hand, contends that the embodied language in recent cognitive science or theorist and philosophers such as Octavio Paz, Maurice Merleau Ponty, Paul Ricoeur, is the main vehicle of atmospheric approach, denying linguistics approach. At this time, the language he proposes is not an introspective and logical language, but a poetic language that contains the image in itself. In this regard, metaphor and narratives are not only representative aspects of creative imagination that constitute 'the language of poetry' but also a means to elicit emotions attached to our life situations.
Based on the difference above, we can extrapolate it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metaphor. In fact, Böhme's understanding of metaphorical architecture, or the play of meaning amongst the signifiers, is only a conceptual or formal level of metaphor. On the other hand, Perez-Gomez's understanding of metaphors, following Paul Ricoeur and cognitive science, opens the possibility to delve into narratives, pre-metaphor. An example of this could be Rudolph Schwarz's book, ,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n emotional coordination for human behavior based on metaphorical imagination that resonates with embodied fictional narratives, described for each ceremony. Indeed, his work of fictional architecture renewed the embodied meaning of Christian community, presenting sacred atmosphere to the chapel, not just a typical sacredness of manipulating holy light from above.
To sum up, Perez-Gomez rejects particular sensory images, but instead pursues metaphor and narrative way, as the core of architectural imagination, and also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creative atmosphere. Furthermore, his contention connotates the consideration of where the location of atmospheric thinking is, in architectural process, not just an aesthetic ambiance that only requires corporeal feelings. The atmosphere he claims is about attuning ones mood. For this, its impossible to deny or eliminate the situational action behind our moods. Indeed, without talking about what it wants to be, we can't just pursue sensory factors of how, which make you feel chic, comfortable, tense, or dignified.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can only be a meaningful form in a link with an imagination of institution, the architectures basic category of narrative imagination, capturing our life activities.
If it's true that the formalism in itself has autistic limits when it comes to form in itself, doesn't it have the same problem to understand the atmosphere as a mere atmospheric quality? An understanding of the 'atmosphere' outside the 'atmosphere' drawn from Perez-Gomez is extending the concept beyond the level of aesthetic 'corporeal feelings. Of course, it would also be possible for an architect to fully dedicate himself on 'corporeal impressions and synesthetic effects' and to continue his quest, testing his own feelings on specific models. However, requiring an atmosphere to embrace the imagination of metaphor and narrative, asserts architects to have an attitude of hermeneutic mind, who wants to put off an immediate search for sensual richness and step back for interpretation on implied narratives of craving commun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6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