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교 영어 쓰기 수행평가의 실제와 교육과정 및 수업과의 연계성 : The Practice of English Writing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미선

Advisor
소영순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19. 2. 소영순.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 첫 해를 맞이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쓰기 수행평가 실시 현황을 조사하고 영어 쓰기 수행평가와 교육과정 및 수업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10개 고등학교의 영어 쓰기 수행평가 문항지 27개와 평가기준 20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네 명의 교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영어 쓰기 수행평가 과업 종류는 주제 글쓰기(논술형), 독서감상문(논술형), 영어독서일지, 수업활동지, 도표 설명하기, 어휘평가로 구분되었다. 영어 쓰기 수행평가 과업 분석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모든 학교가 공통적으로 에세이 형식의 논술형 쓰기 과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영어 쓰기 수행평가에 적용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은〔10영04-03〕자신의 의견이나 감정 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해당 성취기준이 모든 학교에 공통적으로 있는 논술형 쓰기 평가 과업의 성취기준이기 때문이었다. 쓰기 성취기준 중〔10영04-02〕간단히 요약하기,〔10영04-04〕대상이나 상황 묘사하기,〔10영04-05〕서식·이메일·메모 작성하기,〔10영04-06〕그림이나 도표 설명하기는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았으며, 전체적으로 영어 쓰기 수행평가 과업들은 성취기준〔10영04-01〕세부정보 기록하기와〔10영04-03〕자신의 의견이나 감정 쓰기 중심으로 개발․사용되고 있었다. 영어 쓰기 수행평가 평가기준은 NEAT 쓰기 채점기준의 영향을 받아 과제완성, 내용, 구성, 언어사용이 주요 평가요소로 사용되었고, 일회성 평가 과업에서는 분석적 채점 방식이, 상시 평가 과업에서는 총체적 채점 방식이 선호되었다. 교사들은 영어 쓰기 수행평가 문항은 주로 교과서 학습 내용에 근거하여, 채점기준은 NEAT 쓰기 채점기준이나 교육과정 평가기준 자료집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영어 쓰기 수행평가가 교육과정 및 수업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 지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평소 교수학습계획을 세울 때 교육과정을 잘 참고하지 않았고, 실제 학교의 영어 쓰기 수업과 평가에서 쓰기 성취기준〔10영04-04∼06〕대상이나 상황 묘사하기, 서식·이메일·메모 작성하기, 그림이나 도표 설명하기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영어 쓰기 수업 및 평가를 위해 교육과정을 직접 참고하기보다는 교육과정에 근거해 개발되었다고 생각하는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었다. 영어 쓰기 수업과 수행평가와의 연계성 측면에서, 영어 쓰기 수업은 주로 수행평가 준비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그 외의 영어 쓰기 지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영어 쓰기 지도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개선책이 필요했다. 영어 쓰기 수업에서 개별 피드백은 거의 제공되지 않았고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한 공동 피드백 중심이었으며, 영어 쓰기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개별 피드백을 제공했으나 성적 확인을 위해 채점 내용을 설명해 주려는 목적이었으며 다시 쓰기를 위한 것은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쓰기 수행평가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 교사들은 영어 쓰기 수행평가가 일회성 평가 중심이어서 학생들의 실질적 쓰기 능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도모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며 개선방안으로 수업밀착형 평가와 과정중심평가를 제안하였다.
It has been twenty years since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troduced in the field of secondary English classrooms in Korea and the year 2018 is the first year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English writing assessment in high school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 present study analyzed 27 English writing assessment sheets and 20 evaluation standards of 10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our high school teachers.
Overall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writing assessment tasks used in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opic writing (essay), book review (essay), reading log, learning worksheet, graph explanation, and vocabulary test. It was remarkable that all the 10 schools used the type of essay writing as their English writing assessment task. The English writing achievement standard 'write one's opinion or feelings' was used the most for English writing assessment, and tasks were usually devo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write down detailed information' and 'write one's opinion or feelings'. Second,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shows that the English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describe objects and situations, write forms, e-mails, or memos, explain pictures or graphs' were neglected in English wri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and teachers usually relied on textbooks more tha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ir instruction and assessment. Besides, English writing instruction was carried out mostly for the purpose of the preparation for writing assessment, and individual feedback for revision was not provided to students in both instruction and assessment. Lastly, as a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writing assessment in high schools, teachers claimed that English writing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converted to instruction-accompanying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