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상의 요소를 이용한 촉각주의집중과제의 개발 : Development of Focused Tactile Attention Task using Meditation Compon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우승

Advisor
권석만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19. 2. 권석만.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명상 기법에서 공통되는 요소들을 검증하고자 촉각주의집중과제(Focused Tactile Attention Task, FTAT)를 개발하였다. FTAT는 최초로 촉각 자극을 사용한 주의지속과제로서, 참여자는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촉각 자극의 강도가 변화하는 순간을 알아차리고 반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중 부위에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설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FTAT가 해당 설정 하에서 명상의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와 FTAT 측정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명상의 특유의 효과로서 주의 조절을 통해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박변이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FTAT 수행 집단은 1) 자극이 연속으로 제시되는 집단, 2) 자극이 비연속적으로 제시되는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3) 휴식 통제 집단까지 총 세 집단에 사전 명상 경험이 없는 참여자를 무선 할당하였다. 다음 기저선이 되는 휴식 단계와 이후의 과제 수행 단계 동안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에서 통제 집단과 비연속적으로 자극이 제시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극이 연속적으로 제시된 집단에서는 기저선인 휴식상태에 비해, 그리고 휴식을 취한 통제 집단에 비해 심박변이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인중의 감각에 주의를 유지하는 것이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 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의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FTAT 측정치가 자율신경계의 변화 및 자기 보고로 측정한 마음챙김 성향, 그리고 정서적 특징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극이 연속으로 제시되는 조건에서 자극의 변화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할수록 부교감 신경의 활성화가 커졌으며, 부정적 정서는 과제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극이 연속으로 제시되는 조건에서의 수행은 마음챙김 성향의 관찰, 기술 측면과 부적인 관계를, 비연속적으로 제시될 때의 수행은 비자동성 측면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연구 2에서는 FTAT가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사전 명상 경험이 없는 참여자를 FTAT를 수행하는 실험집단과 휴식을 취하는 통제집단에 할당한 후, 과제 수행 전후로 부정 자극 블록과 중립 자극 블록을 번갈아 제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과제 수행 후 부정적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이 약화되었고, 통제 집단은 부정적 자극 이후에 제시된 첫 번째 중립 자극을 규준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한 반면, 실험 집단은 규준에 해당되는 반응을 보였다. 아울러 연구 2에서도 심박변이도를 측정함으로써 연구 1의 자율신경계 반응이 반복검증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TAT를 활용하여 인중 부위에 안정적으로 주의를 유지하였을 때, 명상과 일관된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요소가 명상의 유의미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의 지속적 주의 과제와 명상에서의 주의 조절 방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명상의 형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 명상의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ed focused tactile attention task(FTAT) to verify common components of various meditations. FTAT is the first sustained attention task which uses tactile stimuli. FTAT is configured to give focused and sustained attention to sensation of philtrum which is given by external tactile stimulus(air) for this study. Whenever intensity of stimulus changes, one must recognize and respond by pressing keyboard arrow keys.

In Study 1, the author investigated whether FTAT has effect of medi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TAT indices. The author set parasympathetic activation through attention regulation as the specific effect of meditation, and assessed heart rate variability to examine the effect. Participants with no prior meditation experience are assigned randomly to three groups which are consisted of 1) continuous stimuli group, 2) discontinuous stimuli group, 3) control resting group. And then, heart rate variability were assessed during baseline and task phase. Analysis revealed that heart rate variability for continuous stimuli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baseline and control resting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for discontinuous group and control resting group. The results imply focused and sustained attention to sensation of philtrum can activat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that sustained and stable attention is important. The relationship between FTAT results and change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dispositional mindfulness assessed by self-report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e activation of parasympathetic nerve increased when stimuli are presented continuously, and is correlated with fast and accurate responding. Some of FTAT result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 FTAT performanc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on-react facet of FFMQ in discontinuous stimuli group,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Observe and Describe facets in continuous stimuli group.

Study 2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FTAT in emotional response in detailed way. Participants with no prior meditation experience are assigned randomly to FTAT group and control resting group, and are presented negative emotion block and neutral emotional block alternately before and after FTAT task phase. Emotional response to negative stimuli were decreased after the task phase for both groups. Control group respond positively to the first neutral stimuli after negative emotional block, but FTAT group showed neutral responses to the same neutral stimuli. And heart rate variability was assessed again to check if the result of study 1 can be replicated.

The present thesis showed sustained and stable attention to philtrum is important component of meditation and can produce the effect of meditation. It also suggest that the way of attention regulation may be different between sustained attention task and meditation, and propose possibility that components of meditation can be applied without keeping traditional form of medit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4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