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후 미국의 한국 교육원조, 1956-1962: 피바디프로젝트 사례 분석 : Post-war U.S. International Education Cooperation in Korea, 1956-1962: a case of Peabody Projec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연

Advisor
김기석
Major
교육학과(교육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2. 2. 김기석.
Abstract
이 연구는 전후 미국의 한국 교육원조의 대표 사례인 조지 피바디 사범대학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의 코리안프로젝트 (Korean Project: 이하, 피바디프로젝트)의 성립과 전개 그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피바디프로젝트는 1956년 3월 사전타당성 조사를 바탕으로, 1956년 08월 ICA와 피바디 사범대학간 계약 체결로 시작되었다. 사업 기간은 1956년 08월-1962년 08월까지 총 6년간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총 39명의 피바디 사범대학에서 파견한 사절단원(이하, 피바디사절단)이 미국에서 파견되었으며 한국인 담당자 총 17명이 참여하였다. 주요 활동은 초·중등교원양성, 현직교원교육, 교육대학개편, 교육과정개발, 교과서편찬, 중앙교육연구소 연구활동지원, 교육행정연수원 운영지원, 교사양성 외 대학프로그램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 연세대학교 사서교육, 서울대학교 영어교육, 유학생파견프로그램 등 기술원조와 학교 건축, 기자재 도입 등 시설원조이다.

피바디사절단의 활동은 국가수준, 기관수준, 개인수준의 역량강화 측면에서 분석해 볼 수 있다. 국가수준의 역량강화활동은 초·중등교원양성제도 개선, 문교부 정책자문활동이 대표적이다. 정책 자문활동은 교육대학 개편과 문교부 편수국에서 진행된 교과서 편찬, 교육과정개발 등이 포함된다. 기관수준의 역량강화활동은 현직교원을 대상으로 강습회와 워크샵개최, 중앙교육연구소 연구역량강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행정연수원 리더쉽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교사양성 외 대학 교육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어학훈련소, 연세대학교 사서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이 포함된다. 시설원조는 피바디 건축계획에 따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도서관 등교육시설 건축과 교구재 구입이 진행되었다. 개인수준의 역량강화활동은 유학생 파견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이 프로그램으로 총 82명의 교장, 교사, 자문과, 장학사 등이 미국 피바디 사범대학에서 1년간 연수 경험을 하였다. 이들은 연수 후 교수, 교육부 장관, 연구원 등으로 교육학계와 행정기관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피바디프로젝트의 원조효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 번째는 피바디프로젝트 집행 전 후 예상문제점과 제한점을 분석하였다. 원조기관 간 미흡한 연락체계, 문교부의 원조에 대한 의존성, 인프라 부족과 지방 지역에 대한 낮은 접근성이 예상문제점이었다. 집행 중 당면 문제점은 다양한 활동에 비해 부족한 사절단원 수, 언어소통 문제, 시설원조에 대한 마찰, 계획 확대에 대한 반대의견, 예산의 부족이었다. 두 번째는 OECD 원조효과성 관점으로 주요 활동을 분석하였다. 특히 주인의식, 원조일치, 원조조화, 결과지향적 관리, 공동책임에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한국의 주인의식이 대체로 반영되었다. 문교부등 교육당국은 교원양성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교육제도를 강화하며 원조의 조율을 주도하였다. 단, 미국사조의 민주주의교육이념을 상호협의간 수용하였다. 둘째, 피바디 프로젝트는 교육재건의 우선순위를 교원양성이라는 한국의 의견을 토대로 원조를 제공하였으며, 문교부 정책과 제도를 활용하고자 노력했다. 셋째, 1950년대 후반은 한국 내 원조사업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의 각 대학들도 교육재건에 필요한 재원 확보를 위해 중복 원조 지원을 신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에는 기술원조와 물자원조가 이원적으로 진행되다가 통합되는 전환기로서, 한 기관에 다른원조기관이 중복지원 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이는 오히려 원조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넷째, 한국과 피바디사절단은 교원양성이라는 원조성과를 달성 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원조효과를 이끌어 내고자 상호협조하였다. 다섯째, 상호 책임성에 따라 한국과 피바디사절단은 원조 성과에 대해 상호책임을 지려고 노력하였다.
After the Korean War in 1950s, Korean education suffered from the total loss of education facility and faculty. As a part of post-war reconstruction work, Korea received foreign aid mostly in military, economy, technology and education sectors. Korea now turned into one of strong economies in the world with more than one trillion U.S. dollars in annual cross-border trade transaction in 2011.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y often finds education as the critical factor that led Koreas fast development and thus growing attention on Korean development experience persists in sharing particular knowledge and know-how that transformed Korea from a recipient to donor country in less than fifty years. Yet, no empirical research on the aid to education in Korea has done despite it is often assumed to be the cornerstone of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Project that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 (hereafter, Peabody Project) initiated as a part of post-war U.S. international education cooperation in Korea and evaluated its aid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aid effectiveness principles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he Peabody Project was operated from August 1956 to August 1962 for six years. Before the project, the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in March 1956 and five months later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 agreed a contract with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in August 1956.

In this study, the capacity building project by the Peabody delegation was analyzed in individual, organization and state level.
In state level,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system, consultancy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national capacity building. In organizational level, teacher training, consultancy for institutions and colleges, technical assistances were conducted for the 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In individual level, overseas training program was organized for school principals, teachers, consultants and supervisors.
The results of aid effectiveness evaluation on the Peabody Project are as below. Aid effectiveness is consist of five components. First, Ownership: Peabody team supporte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building up their capacity to exercise leadership in education experts, institutions and system. Second, Alignment: Peabody team associated their aid project along the priorities outlined in 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ies. Third, Harmonization: Peabody team coordinated their development work with other aid agency to avoid duplication and high transaction costs. Fourth, Managing for results: All parties in the aid relationship placed particular focus on the tangible difference it makes as the result of aid. They tried to develop better tools and systems to measure this impact. Fifth, Mutual accountability: Peabody team and the Ministry took account for transparency on the use of aid fund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Peabody Project,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irst, between the aid donor and recipients based on the principal of trust sufficient communication process required. Second, A series of courses including pre-feasibility study, project and evaluation should be followed for the successful program. Third, the aid project should be culture-sensitivity. Fourth, adequat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given the characteristic and the principal donor to deal with the risk occurred during implement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0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5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