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근린환경요소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용진

Advisor
안건혁
Major
건설환경공학부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는 그 나라의 복지 정도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의 하나이다. 이는 노인의 경우에는 삶의 질이 낮아질수록, 노인우울증에 취약하며 노인우울증 환자들 중 마침내 자살에 이르는 둥, 이로 인해 건강한 가정의 행복이 위협받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 일로에 있기 때문이다.
노인의 삶의 질은 신체적 질병, 건강 악화, 경제적 문제, 사회적 지지의 약화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중 노인의 경제적 문제 외에 건강과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활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활발한 사회활동을 통해 제고될 수 있다. 그리고 노인의 건강은 단순한 신체적 질병의 유·무 못지않게 자립적 생활능력이 중요하며, 이는 일상생활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리고 노인의 일상생활이 대부분 근린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근린 환경은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사회적 지지의 형성과 제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제고를 위한 도시의 근린환경요소를 도출하고 나아가 고령사회를 대비한 도시계획 및 설계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5개 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 총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지역들은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 예정된 지역으로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제고에 중요한 근린환경요소의 분석 이후, 분석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업 전·후 비교 연구를 함께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설문조사에서는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특성, 사회활동 특성, 자립적 생활능력(IADL), 사회관계망 및 사회적 지지, 주요 시설의 이용 거리 등이 측정되었으며, 각 개인의 주소를 중심으로 반경 500m의 물리적 환경 자료를 GIS를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들을 통해,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노인의 활동·사회활동 및 자립적 생활능력·사회적 지지의 관계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5개 지역의 물리적 환경 개선 사업 전·후의 노인 변화의 관찰을 위해 유사실험 방법 중 하나인 비동일 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시설별 노인의 이용권(보행권)을 도출에는 누적분포모형을 활용하였다.

첫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인의 자립적 일상생활능력 증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근린환경요소는 보행환경으로 나타났다. 즉, 보행환경이 양호할수록 노인의 보행활동이 장려될 뿐만 아니라, 보행환경만족도, 대중환경만족도, 상업환경만족도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모두 높아져, 결과적으로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이 제고되었다. 즉, 노인의 실외활동이 편리하고 안전할수록,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외출하고, 장을 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에 부담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대중교통 시설이 잘 갖춰진 곳에 사는 노인이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대중교통 이용이 많은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의 사회적 지지의 경우, 노인들의 주요 사회활동의 특성별로 각기 다른 환경들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경로당 활동은 보행환경이 양호하고, 경로당이 잘 갖춰진 곳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복지관 활동은 보행환경이 열악해서 노인들의 실외 활동이 불편한 곳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웃과의 교류는 보행환경이 양호한 곳에서 활발한 반면, 각종 친목 모임은 대중교통이 양호해서 장거리 외출이 편리한 곳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활동은 노인의 사회관계망 형성과 사회적지지 형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노인의 친목 모임은 사회관계망의 크기를, 복지관 활동과 종교활동, 이웃교류 활동, 종교활동은 사회관계망의 다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 밖에도 노인의 경로당 활동과 종교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의 제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 개선에 따른 노인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행환경개선사업, 근린공원조성사업, 복합쇼핑몰건설, 노인복지관건설 모두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 사회활동, 개인-환경 적합성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환경개선사업과 복합쇼핑몰건설사업이 이뤄진 지역의 노인들은 자립적 생활능력도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였으며, 노인복지관이 건설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대표적인 근린의 물리적 환경 개선 사업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사회활동을 장려하고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관계망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앞선 근린환경과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에 대한 횡단면 분석 결과의 인과관계를 보완하는 의미를 지닌다.
셋째,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적 지지에 중요한 것으로 도출된 근린환경요소를 바탕으로 노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근린시설들의 이용권을 도출한 결과,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주요 근린시설의 한계거리는 약 350~450m 사이로 나타났다. 또한, 3가지 이상의 신체적 제약을 지니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용권을 도출한 결과, 약 250~400m의 한계거리를 보여 일반적인 보행권으로 알려진 500m보다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게 적합한 근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요 시설들의 밀도 중심의 설치 기준에서 나아가 거리를 바탕으로 한 설치 기준이 수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사회에 대비한 도시 환경의 조성을 위해서는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특히,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의 조성은 노인의 활동 반경을 넓히는 역할을 하며, 도시환경의 유니버셜 디자인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노인시설 주변에 노인의 일상생활동선을 고려한 보행자전용도로 설치 및 별도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보도폭의 확충, 보차 분리, 경사도의 개선 노력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시설로의 접근성을 제고하여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이용권을 고려한 시설 확충이 필요하며, 따라서 기존 인구밀도 및 가구밀도 중심의 설치 기준에서 나아가 생활권 계획과 연계된 설치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지지 형성에 중요한 노인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공급과 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노인복지시설 장·단기 공급계획이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즉, 지역사회복지계획에서 지역별 복지시설의 수요와 공급계획을 수립하면, 이를 도시기본계획 내용에 반영하고 주요 노인복지시설을 계획시설로 정하여 입지 선정에서 공급까지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복지시설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서는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의 도시계획조례에 의한 노인복지시설의 보전녹지지역 내 건축 허용을 본법에 의거하여 건축할 수 있도록 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민센터 및 관공서 이전적지 등 기존 시설 및 유휴지에 노인복지관, 의료시설, 상업 지원시설 등을 복합화하여 설치하고 이 복합시설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경로당을 연계하여 다양한 사회활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대비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초점을 둔 도시계획 및 설계의 방향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개념적 연구 틀로만 제시되던 신체건강·정신건강·사회적지지 등에 대한 총체적 건강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그 동안 보건·복지 측면에서 개인 단위의 장기간, 집중적인 훈련을 통해야만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오던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과 사회적 지지에 대해 도시 환경의 근린효과(neighborhood effect)를 실증하여, 노인 보건·복지에 있어서 도시계획의 역할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he quality of life(QoL)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for the life of the elderly. This is because of that the elderly with lower QoL is to be weak for a depressive disorder. Therefore encouraging the QoL of the elderly is an essential for a successful later life, and the QoL is affected by physical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Besides economic status, the physical health status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are related with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another words,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ould be encouraged with much social activity. From an independent living perspective, the physical health status would be encouraged with much daily life activity. Considering most of the living territory of the elderly is limited to neighborhood, neighborhood environments would affect to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the independent living ability(IADL) and the social support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and propose the proper direction of urban design and planning for an aging society.
For this, we surveyed five hundred elderly people of 5 region in Seoul, which was to be improve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 with each improvement project of environment. In this survey, daily living activity, social activity, IADL, social support, physic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status were measured. And with the address of those questioned, we calculated each neighborhood environment factors.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activity, social activity, IADL, and social support, we performed SEM analysis. Second, we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find out the effects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on the elderly's activity, IADL, and social support. Third, for the analysis on the elderly's catchment area of major facilities, we performed a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model and MANOVA.
First, the results from a SEM show that walking environmen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not only the elderly's activity and their personal competence for their environment but also their IADL. Also, the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important to independent living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neighborhood environments would be affect to social activity,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Second, the results fro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how that every neighborhood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lderly's life. For example, the elderly people who live in the region with a new mall has more activity and better IADL. And the elderly people who live in the region with a new senior welfare center has more social activity and better social network.
Thir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catchment area show that most of the catchment area is formed between 350 to 450 meter. Also, the catchment area of whom has more than three physical problems is formed between 250 to 400 meter. This means that the walkable distanc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much narrower than other age group.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o build a proper urban environment for aging society, the walkable environment is most important. Especially, a broader pathway, better segreg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and lower slope could be effective means to enhance the elderly population's QoL.
Second, to encourage an independent living of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various facilities. Therefore a new standard for installation of neighborhood facility considering the elderly's catchment area should be established.
Third, for effective supply and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he aged, applying the union of the community welfare plan to the urban comprehensive plan should be considered.
Forth, to simplify the process of building a facility for the aged, the government ease the restriction on the building in a preserved green spa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171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1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