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적 텍스트 변형을 통한 한국어 어감 이해 교육 연구 : Study on Korean Nuance Comprehension Education via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지혜

Advisor
윤여탁
Major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이 연구는 학습자의 한국어 인식을 고양시키고자 시적 텍스트의 변형을 통한 한국어 어감 이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고급 단계의 학습자로 갈수록 한국어 능력에서 언어인식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언어인식은 언어적, 실천적,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각각 언어에 대한 감수성, 언어 운용에 있어서의 메타언어 능력, 언어 활동을 위한 언어문화 능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인식은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언어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까지 한국어 교육은 언어학적 관점으로부터 기능(function) 또는 기술(skill) 지향적인, 주제 혹은 내용 중심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자료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으로부터의 교육적 효과 역시 간과할 수 없겠지만, 학습자의 지속적인 한국어 발달에 있어서는 교육적 효과를 크게 거둘 수 없다고 본다. 이는 단편적인 언어 지식, 기술적인 언어 수행, 비영속적인 언어 경험으로 인해 언어 그 자체와 언어 운용 측면에서 학습자의 인식이 충분하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교육자료의 경우, 텍스트의 장르와 유형은 정보 전달적, 설득적 텍스트에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자료만이 지닌 교육적 효과가 있겠지만, 고급 단계의 수업으로 갈수록 이들 자료를 통한 기능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기계적이고, 전형적인 활동만을 유도하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교육적 현실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끼고, 이 연구에서는 교육내용과 교육자료의 측면에서, 어학과 문학의 통합적 관점에서 맥락 기반, 내용 중심의 시적 텍스트(poetic text)의 활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는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언어 학습 및 활동을 유도하는 자기 조정적인 읽기-쓰기 통합 활동을 기반으로 한다.
이상의 교육적 관점을 전제로 하여, 이 연구에서는 시적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자율적인 변형을 통해 한국어 어감을 이해하도록 하는 교육내용, 교육자료, 교육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시적 텍스트를 해석한 결과가 아닌 이해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적 텍스트의 이해 과정은 어휘, 형태, 통사, 담화 차원에서 원 텍스트와 변형 텍스트가 지닌 의미상 어감을 조율하는 양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시적 텍스트의 변형을 통한 어감 이해 양상은 크게 어휘, 형태, 통사, 담화 차원에서 나타난다. 이는 시적 텍스트가 지닌 독특한 언어 체계인 시적 문법(poetic grammar)을 토대로 하고, 선택의 축과 결합의 축에서 언어 형식과 의미상 일탈 장치인 문채(文彩)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어감상 느낌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어휘를 대체하고, 어조의 차이성과 비교하여 형태를 변환하며, 의도를 초점화하여 통사적으로 결속시키고, 담화 차원에서 어감을 총체적으로 조직하는 변형 양상을 보인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느낌을 대체, 어조를 전환, 의도를 결속, 어감을 통합적으로 조직함으로써 어감을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어감 이해 양상을 통해, 이론적 틀과 실제적 방안을 귀납적으로 설계하였다. 어감 이해는 크게 어감 인식하기, 어감 전환하기, 어감 통합하기의 과정으로 단계화할 수 있다. 이는 원 텍스트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원 텍스트와 변형 텍스트가 지닌 어감을 비교․대조하여 맥락적, 조직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IV장에서는 이렇게 설계된 교육 모형에 따라 교육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시적 텍스트 변형을 통한 어감 이해 교육 원리로 어감 주목하기, 어감 조정하기, 어감 수용하기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각각 텍스트 내 일탈적 표현 장치 발견하기, 텍스트 변형하기, 텍스트 맥락적 의미 해석하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학습자들은 일탈 장치로서 형태상 문채, 구문상 문채, 의미의 문채(전의), 사유의 문채를 텍스트 내에서 발견함으로써 시적 텍스트의 언어 형식과 의미 측면에서 어감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어휘, 형태, 통사, 담화 차원에서 텍스트를 변형함으로써 어감상 느낌, 어조, 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언어적, 심리적, 상황적 맥락을 고려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비로소 어감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시적 텍스트의 변형을 통한 어감 이해 과정은 학습자의 자율적인 어감 조율의 연속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어감 조율은 어감의 유사성 및 인접성, 차이성을 토대로 하며, 이때 어감은 느낌, 어조, 의도가 맥락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생성된다. 시적 텍스트 변형을 통한 한국어 어감 이해 교육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에 대한 감수성을 고양시킬 수 있고, 실제 한국어를 구사하는 데 있어서 언어 처리 및 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언어문화에 적절한 한국어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본다.
Abstract

With the aim of raising learners' awarenes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howcases the method of Korean nuance comprehension education via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A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more advanced learners become, the more their Korean ability depend on linguistic awareness. Language awareness can be defined as linguistic sensibility from linguistic, practic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meta-linguistic competence in linguistic application, and capability of linguistic culture for linguistic activity. Such language awareness can represent linguistic capacity required of self-directed and active learners.
Until rec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usually grounded upon function-oriented or skill-oriented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from the linguistic standpoi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pproach cannot generate dramatic educational effects on linguistic development of learners, particularly advanced learners. This is because learners have insufficient awareness about the language itself and application hereof due to their partial knowledge and technical execution of the language in terms of lexical, grammatical, and textual education. In case of educational materials, textual genres and types are confined to specific text aimed at information delivery and persuasion. Notwithstanding educational effects solely attributable to such educational materials, functional education through these materials poses the risk of arousing mechanical and typical activities from learners, particularly those at the advanced level. With the awakening of such educational reality, this study proposes utilizing context-based, content-based poetic text for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linguistics and literature. On the part of educational methods, such approach is grounded upon self-regulated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linguistic functions to galvanize learners into active and autonomous linguistic learning and activity.
Premised upon the aforesaid educational viewpoint, this study explores educational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which enable learners to comprehend Korean nuances through autonomous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It focuses on the interpretative process of poetic text by learners rather than their interpretative outcome. Based upon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nua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formed text in terms of lexicon, morph, syntax, and discourse, this study is specifically geared towards harnessing the poetic text for learners' autonomous nuance comprehension following adjustment of semantic nuances through contextual interpretation.
This study primarily examines such pattern of nuance comprehension through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in terms of lexicon, morph, syntax, and discourse. Pursuant to 'poetic grammar'—a unique linguistic system inherent in the poetic text, learners display the pattern of textual transformation across lexicon, morph, syntax, and discourse which is centered upon figure—a deviant device for linguistic form and meaning on the axis of selection and the axis of combination. Specifically, learners focus on similarity of feelings in nuances as a replacement for lexicon, compare morphic transformation with difference in tones, focus on intentions through syntactic bonding, and comprehensively organize nuances in terms of discourse. In this process, they can understand nuances through replacement, conversion, bonding, and organization of feelings, tones, and intentions.
Meanwhile, this study inductively seeks educational methods based upon such pattern of nuance comprehension through autonomous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by learners. The process of nuance comprehens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ages: nuance perception, nuance conversion, and nuance integration. With selective input sourced from the original text, this is embodied in comprehensive reorganization through contextual adjustment of nua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formed text.
This study produces specific educational principle under such design of educational model. Such educational principle of nuance comprehension via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follows the sequence of nuance focus, nuance adjustment, and nuance acception. They are respectively manifested in discovery of deviant expression device within the text, textual transformation, and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text. Learners discover morphic figure, syntactic figure, and thinking figure as a deviant device within the text, thereby focusing on nuances in terms of linguistic form and meaning surrounding the poetic text. They can attain conversion of feelings, tones, and intentions in terms of nuance through transformation across lexicon, morph, syntax, and discourse. Moreover, they can accept nuances by interpreting textual meanings with consideration for linguistic, psychological, and situational contexts.
The process of nuance comprehension through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can be construed as a continuation of autonomous nuance tuning by learners. Nuance tuning is grounded upon similarity, contiguity, and difference in nuances, and such nuances are manifested in contextual interaction among feelings, tones, and intentions. Learners can enhance their sensibility about the Korean language through Korean nuance comprehension education through transformation of poetic text can enhance. They can not only improve their linguistic processing and adjustment capability during their actual appl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successfully perform Korean linguistic activities in tune with the Korean linguistic culture.

Key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awareness, language-culture, meaning, nuance, poetic text, reading to writing, reading text transformation, poetic grammar, figure, autonomous adjustment, and textual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236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8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