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rvice utilization patterns among foreign spous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미

Advisor
강상경
Major
사회복지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Korea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families formed via international marriages are growing on a steady rate. Many changes have taken place both at policy and practice levels since mid 2000's with services be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these families. Despite such progress, utilization rates for certain services remain low among foreign spouses and literature investigating their service use remains scarc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ll the void in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factors associated with foreign spouses' service utilization patter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contributing factors of use of adjustment assistance and family services using Gelberg-Andersen's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differences in associated factors by foreign spouses' gender and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uses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09 for analyses. A total of 6,316 foreign spouses, both female and male are included for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edisposing, enabling, need factors and utilization of two services. Multiple group analyses are also conducted to identify group differences in paths leading to service use.
Findings show that differen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utilization of two domains of services. For adjustment assistance services, gender, country of origin, length of residence, and having childre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rvice use, and foreign spouse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status, place of residence, and having relationship with people from home country and with other foreigner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enabling factors affecting their service use. Perceived need for services and language ability are also important need factors determining their adjustment assistance service use that those with stronger needs and higher language proficiency level are more likely to utilize the services.
For family service use, however, only a handful number of factors are identified as predictors. Among predisposing factors, gender, country of origin, and status of having childre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mily service us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status, place or residence, and relationship with people from home country are significant enabling factors and spouses' perceived need for services i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use of this particular domain of services.
Multiple group analyses also revealed that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adjustment assistance and family services differed by spouses' gender and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carrie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known study to apply the Gelberg-Andersen model in studying the service utilization behavior of foreign spouses in Korea, providing an empirical evidence on applicability of the model. Second, it is the first study exploring the topic using large, national data gaining generalizatibility of the findings. Third, this study provides new insight into understanding service use patterns of foreign spouses as determinants of utilization have been identified. Findings provide an empirical ground for intervention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or example, findings show that language ability functions as a barrier in accessing the adjustment assistance, implying that services are not properly reaching the target population. Those who are not equipped with some knowledge of language are not likely to use the services, indicating that level-specific services need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 outreach effort is also needed as those in most need are not being serviced. Findings also indicate that relationships with people from home country function as a bridge between the service and the spouses. It is thus recommended for social workers and practitioners to target such informal social network in disseminating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s. Findings from multiple group analyses also reveal that differen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ervice use between male and female, Korean-Chinese and non Korean-Chinese groups. Such finding indicates that more gender and ethnic-specific services need to be in place. In sum, findings show that one size fits all approach towards service provis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s not effective and changes need to be made at the structural level to improve an overall accessibility of services.

keywords : The Gelberg-Andersen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Adjustment Assistance Services, Family Services, Multicultural Famil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ple Group Analyses
Student Number : 2006-30057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점에 서 있는 한국 사회는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한국인과 외국인의 결혼을 통해 형성된 다문화가정을 위한 제반의 노력을 꾀하여왔다.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정책이 모양을 갖추기 시작하였고 특히 외국인 배우자들의 적응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현재 다문화가정지원센터와 같은 기관에서 이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비스 이용률은 높지 않으며, 서비스 이용 행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여 이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내 외국인 배우자들의 서비스 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이들의 서비스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외국인 배우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적응지원서비스와 가족서비스로 구분하여 각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이용 행위모델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영향요인이 외국인 배우자들의 성별과 출신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 중 6,316명의 외국인배우자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종류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지원서비스의 경우 외국인 배우자들의 성별, 출신국가, 거주기간, 자녀유무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가능요인 중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여부, 거주지역, 모국인과 한국 사람이 아닌 다른 외국인들과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수준과 지각된 욕구수준 역시 적응지원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 배우자가 여성일수록, 조선족이 아니며 한국 내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자녀가 있고 기초보장 수급자이며 농촌에 거주할수록, 모국인 및 다른 외국인들과의 관계가 많을수록, 또한 한국어 수준이 높고 지각된 욕구수준이 높을수록 적응지원서비스 이용이 높았다.
가족서비스의 경우 배우자들의 성별, 출신국가, 자녀유무가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고 기초보장 수급 여부, 거주 지역, 그리고 모국인들과의 관계가 중요한 가능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지각된 서비스 욕구수준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배우자가 여성일수록, 조선족이 아닐수록, 자녀가 있고 수급대상자이며 농촌에 거주할수록, 또한 모국인들과의 관계가 많고 지각된 서비스 욕구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서비스 이용이 높았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배우자들의 성별과 출신국가에 따라 요인들의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남편의 경우 취업여부가 이들의 적응지원 및 가족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에게 취업여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조선족 배우자인 경우 언어실력이 낮을수록 서비스 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조선족 배우자들은 언어실력이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단편적이고 제한적 서비스 제공이 서비스 이용 대상을 특정 집단으로 제한하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보다 포괄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외국인 배우자들을 동질적 집단으로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성별과 출신국가, 거주 지역 및 언어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과 제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국내의 다문화가정 외국인배우자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기술적 수준에 머물러 있고 여성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적은 규모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외국인 배우자들의 서비스 이용 연구에 있어 최초로 전국데이터를 사용하고 남성․여성 배우자를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서비스 이용 패턴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국내 최초로 Gelberg-Andersen 모델을 사용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외국인 배우자들이 이질적인 집단이며 성별 및 출신국가에 따라 서비스 이용 형태가 다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다르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서 인과 관계 설명에 있어 부족함이 있으며, 2차 데이터 활용으로 인한 변수의 제한 등 방법론적 한계를 가진다.


주요어 : 다문화가정,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 이용 모델, 적응지원서비스, 가족서비스,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
학 번 : 2006-30057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366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3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