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아의 사회도덕적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적 규범의 우위: 관습적 규범과의 비교 : Young children prioritize moral norms over conventional norms in their sociomoral judg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현

Advisor
이강이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회도덕적 판단사회인지적 영역이론도덕적 규범관습적 규범규범 갈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2019. 8. 이강이.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preschoolers distinguish moral norms from conventional norms and what kind of norms they consider as priority rules in situations where moral and conventional norms conflict. Also, this study explored whether children differently compromise the moral and conventional norms when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the aspect of relative priorities between moral and conventional norm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ociomoral judgment.
Participants were 144 children in 3, 4, 5 years of age who were recruited from the mid-class area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sociomoral event interviews and analyzed in SPSS statistical package, us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one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s a mixed model, chi-squared test, and marginal homogeneity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distinguished moral norms from conventional norms following the criterion suggested by socio-cognitive domain theory, and there was no age difference. Children reported the moral transgressions are more impermissible and serious than personal and impersonal conventional transgressions. Also, they reported that moral norms are more independent from authority and rules than two types of conventional norms. However, they did not distinguish between personal and impersonal conventions in most indicators, and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y tend to recognize the violence of personal conventions as a moral transgression.
Second, children prioritized moral norms over conventional norms when they conflicted, and there was no age difference in this tendency. Children in all ages did not permit the moral transgressions that occurred to obey conventional norms, while they permitted the conventional transgressions that occurred to uphold moral values. They also reported that moral transgressions occurred to obey conventional norms were more serious transgressions than conventional transgressions which protected moral values.
Third, children compromised conventional norms in a larger extent than moral norms when they conflicted each other, and there was no age difference in this tendency. Childrens judgment was clearly more generous toward conventional transgressions that occurred to protect moral values, whereas their judgment did not change much upon the moral transgressions that occurred to follow conventional norms.
Forth, older children were generally more strict in their sociomoral judgment, justified their judgment using more deliberate reasons, and considered the context of transgressions to a larger extent. Older children less permitted transgressions and thought the transgressions are more serious in all domains. Also, older children justified their judgment based on the moral and conventional norms while irrelevant and unspecified justifications decreased with age. Four and 5-year-old children were more flexible in their sociomoral judgment,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of transgression, than 3-year-old children.
This study extends the current literature on preschool childrens sociomoral judgment by demonstrating that children not only distinguish between moral and conventional norms but also prioritize moral norms over conventional norms and adhere to the moral norms than conventional norms when they conflict each other. Older children were generally more strict to moral and conventional transgressions, more deliberately justified their judgment, and were more flexibly changed their judgment considering the context, but the relative priority of moral norms over conventional norms was regardless of age.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distinguish moral norms from conventional norms based on the principle of fair treatment to people rather than the interpersonal obligations and that from 3 years of age, children consistently hold priority on moral norms over conventional norms.
이 연구는 유아가 사회도덕적 위반 사건에 관해 판단할 때 도덕적 규범과 관습적 규범을 구분하는지 알아보고, 대인적 의무에 관한 관습의 위반을 도덕 위반과 유사하게 판단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두 규범이 서로 갈등하는 상황에서 유아가 어떤 규범을 상위 원칙으로 고려하는지 검토하고, 갈등하는 다른 규범 때문에 위반 행동에 대해 더 관대한 판단을 하는 정도가 위반된 규범의 영역에 따라 다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3, 4, 5세 유아의 사회도덕적 판단의 발달을 도덕적, 관습적 규범의 상대적 우위를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거주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8곳에서 3, 4, 5세 유아 총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회도덕적 사건 면접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유아의 사회도덕적 판단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일표본 t검정, 혼합모형 반복측정 변량분석, χ2 검정, 주변 동질성 검정을 이용하여 SPSS 20.0 프로그램에서 통계 처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도덕적 규범과 관습적 규범을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모든 연령에서 같았다. 유아는 도덕 위반을 관습 위반보다 더 허용할 수 없고 심각한 위반이라고 보았으며, 도덕적 규범이 관습적 규범보다 권위와 규칙으로부터 더 독립적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관습적 규범 내에서 유아가 대인적 의무에 관한 관습과 그렇지 않은 관습을 구분하지는 않았다. 또한, 유아는 대인적 의무에 관한 관습 위반을 도덕 위반과 유사하게 판단하지도 않았다.
둘째, 유아는 도덕적, 관습적 규범이 서로 갈등할 때 도덕적 규범을 관습적 규범보다 더 상위의 원칙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모든 연령에서 같았다. 유아는 관습적 규범을 지키기 위해 일어난 도덕 위반은 허용하지 않았으나 도덕적 가치를 준수하기 위해 발생한 관습 위반은 허용했다. 또한, 관습적 규범을 지키기 위해 발생한 도덕 위반이 반대의 경우보다 더 심각한 위반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갈등하는 다른 규범이 있을 때 유아는 도덕적 규범은 맥락과 비교적 무관하게 고수하지만, 관습적 규범은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였고, 이러한 양상은 모든 연령에서 같았다. 즉 유아는 도덕적 규범을 지키기 위해 일어난 관습 위반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맥락이었을 때와 비교하여 훨씬 관대한 판단을 했지만, 도덕 위반의 경우에는 그것이 관습적 규범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더라도 판단이 많이 바뀌지 않았다.
넷째, 3-5세 유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규범 위반에 대하여 더 엄격해지고, 더 정교한 근거로 판단을 정당화하며, 위반의 맥락을 더 많이 고려한 판단을 하였다. 유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영역과 상관없이 위반을 더 허용하지 않았고 더 심각한 위반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유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도덕적 판단의 근거를 도덕적, 관습적 규범에 비추어 진술하였으며, 규범과 무관한 진술은 적게 했다. 3세아보다 4, 5세아는 같은 위반이더라도 위반이 일어난 맥락을 고려하여 판단을 더 유연하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는 3, 4, 5세 유아가 도덕적, 관습적 규범을 구분할 뿐 아니라 도덕적 규범을 관습적 규범보다 더 상위의 원칙으로 고려하며 다른 규범과 갈등할 때에도 더 엄격하게 고수함을 밝혔다. 유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규범 위반에 대해 더 엄격해지고 사회도덕적 판단의 근거를 더 정교하게 진술하며 맥락을 고려하여 더 유연하게 판단하였으나, 도덕적, 관습적 규범을 구분하고 도덕적 규범을 더 우위에 두는 양상은 모든 연령에서 같았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유아가 대인적 의무보다는 타인에 대한 처우와 공정성을 기준으로 도덕적, 관습적 규범을 구분하며 3세부터 일관적으로 관습적 규범에 대하여 도덕적 규범의 우위를 가지고 있음을 새롭게 밝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20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