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윤리성 기반의 시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poet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Ethic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가연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20. 2. 윤여탁.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thics as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at allows the poetry readers to give impetus to the process of reflective self-perception through value-based judgment.
Unlike morals, where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is compulsory, ethics pursuing freedom is accompanied by the demand of practical responsibility for subjectiv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thics, poetry reading is an existential problem situation in which the reader encounters the other, and the reader proceeds to the reflection that renews his self-constructive perception through the differences captured from the other. The demand of responsibility that accompanies this process means the pursuit of the better thing', and it becomes a reality as the reader's answerability through judgment on value issu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erspective of poet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ethics in terms of such reflection and answerability are being realized at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
Poetry reading based on ethics is not a separate process of reflection and answerability. Rather, it is the process of taking the integrative principle that leads self-constructive perception on the difference and judgment on value issues together. The details of this principle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ers discerns superiority among values by rejecting the replacement of the other with familiar being, and setting the perspective of synchronization on the other as the selected events being a sharing point with poetry text. From the result of this judgment, the reader meta-cognitively understands the underlying value system of self-perception and proceeds to the imaginativ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existing value system.
From the principle above, ethical sensitivity and ethical negotiation were derived as a mechanism to operate poetry reading based on ethics. Ethical sensitivity is a perception ability that perceives the reader's and other's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involved in value issues through shared events at perceptive level. The responses perceived through such ethical sensitivity are embodied in described answerability through ethical negotiation as a mechanism at behavior level. Afterwards, this negotiated behavior gives impetus to the reflection as a self-construction by underlying the discernment of values and sign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objects.
In order to verify the consistency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ve, this study us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operational aspect of ethics in the actual student reader's poetry reading result.
The operational aspect of ethics in student readers poetry reading shares key operational momentum that appears in the reading by professional readers, yet differs in their specific aspects of realization.
First, student readers have established an agreement with poetry text, mainly by comparing themselves with the text or by setting up a value-oriented medium term. During the process of judgment of value issues, the aspects of judgment appeared by extracting a standard of value issues or concretizating the value issues. As a result of meta-cognitive understanding of self-perceptions involved in value judgments, student readers showed aspects of convergent modification that recognizes or partially refines existing perceptions, and gradual expansion that discovers the possibility of reorganization by imagining the boundaries of value systems and beyond.
However, when operation mechanisms are limitedly manifested and the difference that is the premise of ethical negotiation is eliminated, student readers response showed as a generalization or a reversion of an event or a transcendent position of poetry text. In addition, when value judgment is performed at an abstract point of view without connecting manifestation of the ethical sensitivity to answerability, the answerability demonstrated the aspects of rejection of applying standards of value judgment, establishment of an incompatible composition due to excessive application of a single criterion, appearance of cognitive gap towards boundaries, and so forth.
Next, this study suggests the objectives and the practice base of poet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ethics for educational action towards drawback of ethical operation in poetry reading.
Firs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imed for student readers to respond sensitively to distinctive markers of poetry text and to modify their own value system. Then, the practice base suggested setting up a student readers position on an event, establishing a criterion in the judgment of value issues, and proposing an imaginative rehearsal as an activity in order to stimulate consciousness of boundaries of value syste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of suggesting an educational orientation that intended to place the student reader as a subject of value judgment and reflection through cognitive experience that responds sensitively to the differences with the other in poetry reading by diverging from the limitation of solipsism, in which educational discussion on empathy focusing on similarity possesses exclusively and witnesses the other.
이 연구는 시를 읽는 독자가 가치에 기반을 둔 판단을 통해 반성적 자기 인식의 과정을 추동하도록 하는 교육적 관점으로서 윤리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법칙의 준수가 의무로서 강제되는 도덕성과 달리 자유를 추구하는 윤리성에는 주체화를 위한 실천적 책임의 요구가 함께 부여된다. 윤리성의 관점에서 시 읽기 행위는 독자가 타자와 대면하는 실존적 문제 상황이며, 독자는 타자로부터 포착되는 차이를 매개로 자기 구성적 인식을 갱신하는 성찰로 나아가게 된다. 이에 동반되는 책임에의 요구는 더 좋은 것에 대한 추구를 의미하며, 이는 가치 문제에 관한 판단을 경유하는 독자의 응답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성찰과 응답으로 실현되는, 윤리성에 기반을 둔 시 읽기 교육의 관점을 이론적·실천적 층위에서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과제이다.
윤리성에 기반을 둔 시 읽기는 성찰과 응답 각각에 상응하는 별개의 국면을 갖는 과정이 아니라, 차이를 전제로 한 자기 구성적 인식과 가치 문제에 관한 판단을 견인하는 통합적 원리를 작동 계기로 삼는다. 이는 독자가 타자를 익숙한 존재로 치환하는 것을 지양하고, 시 텍스트와의 공유 지점으로서의 사건을 매개로 타자에 대한 동기화의 관점을 정향함으로써 가치들 간 우위를 선별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판단 결과로부터 자기 인식의 기저를 이루는 가치 체계를 재편하는 상상의 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상기한 원리로부터 윤리성 기반의 시 읽기를 작동하도록 하는 핵심적 기제로 윤리적 감수성과 윤리적 교섭을 도출하였다. 윤리적 감수성은 인식 차원에서 공유된 사건을 매개로 가치 문제와 관련한 독자 자신과 타자의 인지적·정의적 반응을 지각하는 감지력을 의미한다. 윤리적 감수성을 통해 감지된 반응들은 행위 차원의 기제인 윤리적 교섭을 통해 기술된 응답으로 구현되며, 이러한 교섭 행위는 가치의 변별을 기반에 두고 대응된 대상들 간의 차이를 의미화함으로써 자기 구성으로서의 성찰을 추동한다.
이상의 이론적 논의의 정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독자의 시 읽기 결과에 나타나는 윤리성의 작용 양상을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학습 독자의 시 읽기에서 윤리성의 작용 양상은 전문 독자의 시 읽기에도 나타나는 주요한 작동 계기들을 공유하되, 그 구체적인 실현 양상에서 구별된다. 먼저, 학습 독자들은 주로 자신과 비교하거나 가치가 정향된 매개항을 설정함으로써 시 텍스트와의 접점을 마련하고, 가치 기준을 추출하거나 가치 문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쳐 가치 문제를 판단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학습 독자들은 가치 판단에 관여하는 자기 인식을 메타적으로 인지하면서 기존 인식을 재인하거나 부분적으로 정련하는 수렴적 조정의 방향과 가치 체계가 포섭하는 경계 및 그 너머를 상상함으로써 가치 체계 재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점진적 확장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다만, 작동 기제들이 제한적으로 발현되어 윤리적 교섭의 전제인 차이가 소거될 경우, 학습 독자들은 사건을 일반화하거나 매개항으로 환원하였고, 시 텍스트에 대한 초월적 입장을 견지하기도 하였다. 또한, 윤리적 감수성의 발현이 응답으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추상적 차원에서 가치 판단이 수행될 경우, 가치 판단의 기준 적용 자체를 거부하거나, 단일한 기준을 무리하게 적용하여 양립 불가능한 구도를 설정하였고, 경계에 관한 인식적 공백 상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살펴본 학습 독자의 시 읽기에서 나타나는 윤리성 작용의 지체 요인에 대한 교육적 처치를 위해 윤리성 기반의 시 읽기 교육의 목표와 실행 기반을 제시하였다. 먼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의 변별적 표지들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신의 가치 체계를 반성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았다. 다음으로, 사건에 대한 학습 독자의 위치 설정, 가치 문제의 판단에서의 기준 설정, 가치 체계에 대한 경계 의식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동으로서의 상상적 리허설을 교육적 실행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유사성에 초점을 둔 공감 논의가 타자를 전유하면서 목도하게 된 독아론(獨我論)의 한계에서 벗어나, 시 읽기 과정에서 타자와의 차이에 민감하게 응답하는 인식적 경험을 통해 가치 판단과 성찰의 주체로 학습 독자를 위치시키려는 교육적 지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5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