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쟁협주곡의 전개양상과 음악적 특징 : Development of the Ajaeng Concerto and Its Musical Characteristic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빛나

Advisor
양경숙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20. 2. 양경숙.
Abstract
Ajaeng is an instrument played for court music ensemble. Since the mid 1930s, along with the instrument redesign, Ajaeng has become more popular in other genres and forms of music. Especially, since the piece written by Kangduk Lee was released in 1968, Ajaeng concertos have mainly been Sanjo concertos for about 30 years. It was not until in the 2000s that Ajaeng concertos began including more diverse repertoires.
Recently, more concertos for Ajaeng solo are consistently released through ARKO contemporary music competition, which shows that the Ajaeng concerto has become a prominent repertoire in music performance fields. Therefore, this author deemed necessary for an academic approach to the Ajaeng concerto and analyzed its musical characteristics. The author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chestra and Ajaeng as a solo as well as the Ajaeng concertos musical development over time. This article studies the Ajaeng concertos musical development chronically by examining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s the early formation of the Ajaeng concerto, where the concerto form from the western music was applied but the most musical elements we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oncertos mainly included the unison melodies played by both Ajaeng solo and the orchestra as an ensemble, emphasizing a sense of uniformity, which shows similarity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nsemble form.
The second phase is when numerous Ajaeng concertos were written. This author noticed a trend that the composers would merge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musical elements in an attempt to express the theme melodies. Also,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jaeng solo and the orchestra can be observed as they support the theme melody by playing the harmony and the rhythm.
The third phase can be viewed as an experimental time for Ajaeng concertos with diverse tone changes. Various non-traditional music techniques were used to highlight contemporary sound. During this phase, Sanjo Ajaeng was preferred and some composers showed their intention to preserve traditions by using elements from folk songs and court music. Meanwhile, Ajaeng solo was written to play contrasting melodies from the orchestra to accentuate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illustrated melodic expression effectively.
This author observed that the Ajaeng concerto has shown different characteristics during each phase as well a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rchestra and Ajaeng as a solo instru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hopes to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Ajaeng concertos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more Ajaeng concertos that will reflect the unique features of Ajaeng.
아쟁은 궁중음악 합주에서 연주되던 악기로 1930년대 중반부터 악기 개량과 더불어 그 연주의 장르 및 형태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아쟁협주곡은 1968년 이강덕 작곡의 를 시작으로 이후 30여 년간 산조협주곡이 주를 이루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 다양한 레퍼토리의 아쟁협주곡이 창작되었다.
최근에는 아쟁을 독주악기로 한 협주곡이 ARKO 창작음악제를 통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이는 협주로서의 아쟁 연주가 음악계에서 주요한 레퍼토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는 점을 반증한다. 따라서 아쟁협주곡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며 아쟁협주곡의 음악적 특징 및 독주아쟁과 관현악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해 시대에 따른 전개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총 3시기로 구분하여 아쟁협주곡의 변화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제1기는 아쟁협주곡의 형성 초기로 협주곡이라는 서양음악의 형식을 차용하였지만 내용적으로는 전통음악 중심의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독주아쟁과 관현악이 동일한 선율을 합주 형태로 연주하는 양상이 주를 이루었고 작품의 통일감을 강조하여 전통관현합주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제2기는 아쟁협주곡이 다작되는 시기로 작곡가가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선율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전통적 요소와 비전통적 요소들을 혼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작품의 주제선율이 부각되도록 독주아쟁과 관현악이 화음 및 리듬으로 보조하는 상호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제3기는 아쟁협주곡이 다양한 음색 변화를 시도하는 시기로 현대적인 음향을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비전통적인 주법들을 사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산조아쟁을 위한 작품이 더욱 선호되고 있으며 민속악과 정악의 시김새를 활용하는 등 전통을 고수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독주아쟁의 이러한 음악적 특징이 강조될 수 있도록 관현악은 독주아쟁과 상이한 선율을 연주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선율을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아쟁협주곡은 시대마다 조금씩 상이한 특징이 나타났고 독주아쟁과 관현악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아쟁협주곡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아쟁의 특성이 더욱 부각되는 작품이 발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기초작업으로 활용되길 희망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0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0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