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태 데이터에 반응하는 미디어 공간 작품연구 : A Study on the Works of Media Space Responding to the Ecological Dat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심윤선

Advisor
채정우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2020. 2. 채정우.
Abstract
Modern cities face various environmental crises, including climate change, ozone depletion, soil pollution, biodiversity reduction and air pollution. These environmental issu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daily living environment, especially in urban areas. Recently, as the environmental interest has been amplified in Korea,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researched. The response to this environmental crisis has been shown in the way of using the technology in various dimensions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relation to media technology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Conventional media spaces have been approached in terms of mechanical, instrumental, and functional aspects of digital media, but recently, the exploration of the ecological possibilities of media appears in an interdisciplinary way in all areas of architecture, art, design, and technology.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s a new media space design methodology in times of environmental crisis, and especially works on media spaces centered on ecological data, and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irstly, theories and case studies on ecological approaches, systems, and impacts have been made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The ecological approach established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aesthetic,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media and the direction of the works, focusing on the ecology of Félix Guattari based on three ecology of human ecology, social ecology and environmental ecology.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have studied the ecological system that can be analyzed in the media space. The ecological system was reviewed in detail, focusing on feedback loop systems, and expanded the scope of discussion of existing media, including mechanical systems as well as natural systems.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the system by the natural element and the system by the mechanical element has been considered. The ecological approach and the influence of the system at the urban level when the system is implemented in the media space can be explained by metaphor, network, and infrastructure.
Based on the theories, precedent studies, and examples, the three works, Moss-scape, Cloud Common, and Syn-cloud were conducted. All three work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the atmosphere, and were made through different materials and technology implementation methods. 'Moss-scape' is a work to visualize environmental data together with a metaphor of modern urban landscape. It is made by using real-time fine dust data of Seoul, and has a function to effectively reduce fine dust. In particular, natural materials called moss were directly borrowed as part of the system so that natural and mechanical systems could be connected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work, 'Cloud Common', is a work designed for a square that creates a constantly changing mist cloud in conjunction with environmental data. It is a way to extend the fine dust-related installation work to urban scale and apply it to real space. It is designed as a public space that can be produced differently in real time by air quality data and can have a practical environmental function. It is closely linked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place where the plaza is locate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media space to an urban scale. In the third 'Syn-cloud' work, the issue of carbon dioxide is link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 of cloud, and the cloud is interpreted and approached, being based on scientific, aesthetic, social and environmental discussions related to cloud. It is designed to create a media space that can experience the cloud formed by real-time data, and to naturally contain environmental issues and functions related to the atmosphere. To this end, a media space has been established in which software and hardware are connected, and the audience can participate and experience directly through augmented reality. As a result, the media experience is created using natural materials centering on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atmosphere, so that the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can be achieved in a holistic, simultaneous, and real-time manner.
In conclusion, in this work, natural materials are interpreted from the media point of view and re-contextualized on the spatial system to interact with artificial and natural systems. Based on this, the ecological possibilities of media space in terms of metaphors, networks, and infrastructures are considered. The media space created by real-time data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human / nature / machine in the continuous reversal of real and virtual, expands new networks through the relocation of time and space, and not only in the semantic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which can have an environmental impact. In particular, this nature-based media goes beyond the meaning and role of human-centered media through electronic media, and newly gives ontological value and meaning of media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risis of modern citie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a significant tie between the layers of semantic-function, virtual-reality, machine-nature relationships.
현대 도시는 기후변화, 오존층 파괴, 토양 오염, 생물 다양성 감소, 대기 오염 등 다양한 환경적 위기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환경적 이슈들은 특히 도시에서의 일상적인 생활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환경적인 관심이 더욱 증폭되면서 관련 기술개발과 연구들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적 위기에 대한 대응은 최근 ICT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술을 다양한 차원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건축, 예술, 디자인 전 분야에 걸쳐 미디어의 생태학적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 다학제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을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위기의 시대에 새로운 공간디자인 방법론으로서 자연 기반 미디어에 주목하여 미디어의 생태학적 가능성을 고찰하고 도시 공간에서의 확장적 구축방식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인 배경으로 생태학적 접근과 시스템에 대한 이론 및 사례고찰이 이루어졌다. 생태학적 접근은 인간생태, 사회생태, 환경생태라는 세 가지 생태학에 근거한 펠릭스 가타리의 에코소피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미디어에 대한 미학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서의 통합적 분석 및 작품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미디어 공간에서 분석될 수 있는 생태학적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드백루프 시스템을 중심으로 생태학적 시스템을 살펴보고, 기계적 시스템뿐만 아니라 자연적 시스템으로까지 기존 미디어에 대한 논의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연적 요소에 의한 시스템과 기계적 요소에 의한 시스템의 상호작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생태학적 접근과 시스템이 미디어 공간에 구현되었을 때 도시적 차원에서 가질 수 있는 영향력을 메타포, 네트워크, 인프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앞서 이루어진 이론 및 선행연구, 사례들을 바탕으로 세 개의 작품연구 이끼진경(Moss-scape), 클라우드 커먼(Cloud Common), 싱클라우드(Syn-cloud) 가 진행되었다. 세 작품 모두 대기와 관련된 환경적 이슈를 중심으로 진행된 작품으로 각기 다른 소재와 기술구현방식을 통해 진행되었다. 이끼진경 은 현대 도시경관에 대한 은유와 함께 환경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작품으로, 서울시의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실질적으로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이끼라는 자연소재를 시스템의 일부로서 직접적으로 차용하여 자연적 시스템과 기계적 시스템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작품인 클라우드 커먼 은 환경데이터와 연동되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스트 구름을 만들어내는 광장을 디자인한 작품으로, 앞서 이루어진 미세먼지 관련 설치작품을 도시 스케일로 확장하고 실제 공간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이 모색되었다. 대기질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다르게 연출되는 한편 실질적으로 환경적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공공공간으로서 디자인되었으며, 광장이 위치한 장소의 역사문화적 컨텍스트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미디어 공간의 도시적 스케일로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이루어진 싱클라우드 작품에서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이슈를 구름이라는 자연적 환경요소와 연결짓고, 구름과 관련한 과학적, 미학적, 사회적, 환경적 논의들을 바탕으로 구름을 미디어적 측면에서 해석하고 접근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구름에 대한 경험이 가능한 미디어 공간을 구축하고, 대기와 관련한 환경적 이슈와 기능들을 자연스럽게 담아낼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연계된 미디어공간이 구축되었으며 증강현실 등을 통해서 관객이 직접 참여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대기라는 환경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자연 소재를 활용하여 미디어 공간을 연출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경험이 총체적, 동시다발적,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한 가상 구현 디바이스와 실재하는 공간 구조물을 연계하여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본 작품연구에서는 자연 소재를 미디어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공간 시스템 상에서 재맥락화하여 인공적 시스템과 자연적 시스템을 상호작용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메타포, 네트워크, 인프라적 측면에서 미디어 공간의 생태학적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실시간 환경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미디어 공간은 실제와 가상의 반전 속에서 인간/자연/기계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시간과 공간의 재배치를 통해 새로운 네트워크를 확장시켜 나가고 의미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차원에서 환경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자연 기반 미디어는 전자적 매체로서의 인간중심적 미디어의 의미와 역할을 넘어, 현대 도시의 환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미디어의 존재론적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확장하며, 이는 가상-현실, 기계-자연, 의미-기능 간 중층적인 관계들을 유의미하게 엮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97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9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