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및 진로선택몰입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은선

Advisor
정진철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학생진로적응자원진로적응반응진로과업 실행의지진로탐색행동진로경험성찰진로선택몰입구조방정식모형undergraduate studentscareer adaptability resources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career exploration behaviorcareer experience reflectioncareer choice commitmentstructural equation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20. 8. 정진철.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과 진로적응반응 변인인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과 진로선택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진로구성이론과 진로적응모형을 중심으로 진로개발이론 및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변인 간 관계를 고찰하여 진로적응자원을 외생잠재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내생잠재변인으로는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진로선택몰입을 설정하였다.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은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진로선택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경험성찰을 매개로 진로선택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다. 이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도권 대학 4개교, 비수도권 대학 5개교를 무선으로 군집표집하고 대학별로 60명씩 전공계열, 성별의 비율을 고려하여 층화표집하여 540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진로적응자원, 진로과업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진로선택몰입, 일반적 사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활용하였다. 이 중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의 관찰변인 측정 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진로적응자원, 진로선택몰입의 관찰변인 측정도구는 이 연구의 조작적 정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 도구를 사용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진로과업 실행의지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797, 진로탐색행동은 .712~.816, 진로경험성찰은 .786~.825, 진로선택몰입은 .838~.859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조사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12일부터 5월 21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총 538부가 회수되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학사일정이 조정되고 비대면 수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1학년의 경우 개인의 진로개발이나 대학 차원의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 결과에 편향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되어 1학년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회수된 538부 중 1학년 및 이상치를 제거하고 총 385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수행하고, Mplus 6.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잠재조절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분석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과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및 진로선택몰입 간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은 진로과업 실행의지에 정적인 영향(β=.210),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β=.639), 진로경험성찰에 정적인 영향(β=.176), 진로선택몰입에 정적인 영향(β=.194)을 미쳤다. 대학생의 진로과업 실행의지는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β=.129), 진로경험성찰에 정적인 영향(β=.377)을 미쳤고,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은 진로경험성찰에 정적인 영향(β=.175), 진로선택몰입에 정적인 영향(β=.335)을 미쳤으며, 진로경험성찰은 진로선택몰입(β=.376)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에서 진로과업 실행의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진로탐색행동의 매개효과(β=.214), 진로경험성찰의 매개효과(β=.066)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진로과업실행의지와 진로탐색행동의 매개효과(β=.009), 진로과업실행의지와 진로경험성찰의 매개효과(β=.030),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의 매개효과(β=.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구성이론과 진로적응모형에 기반한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과 진로적응반응 변인인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및 진로선택몰입의 인과적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구조적 관계를 갖는다. 둘째, 대학생이 진로과업, 직업전환, 트라우마에 대처하기 위한 개인의 심리사회적 자원인 진로적응자원의 수준이 높아지면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진로선택몰입 수준이 높아진다. 셋째, 대학생이 개인의 진로 단계에서 요구되는 진로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인 진로과업 실행의지가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수준이 높아진다. 넷째, 대학생이 자신에 대한 탐색과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자아와 환경의 통합을 위한 진로대안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진로탐색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경험성찰과 진로선택몰입의 수준이 높아진다. 다섯째, 진로 관련 경험에 대하여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고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경험에 대한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 등에 대해 숙고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여 적절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는 내적 활동인 진로경험성찰은 진로적응반응 변인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 과정에 중요한 매개효과를 갖는다. 여섯째, 진로적응자원과 진로적응반응 변인들의 관계에서 진로구성이론 및 진로적응모형에서 가정하는 진로적응반응의 일련의 순서적 배열에 따라 다중매개효과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적응자원이 개발되고 축적되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탐색 지원을 위하여 자신에 대한 탐색,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 외에도 진로대안에 대한 탐색을 위한 개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목표 선택과 그에 대한 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진로경험성찰을 바탕으로 한 개입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지도 시 연구모형에 기반하여 진로과업 실행의지, 진로탐색행동, 진로경험성찰, 진로선택몰입의 진로적응반응 중 어떤 반응 과정에 있는지 확인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구성이론 및 진로적응모형에 기반한 연구에서는 이 이론 및 모형에서 상정한 개념에 입각하여 변인을 선정하고 측정하는 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적응자원을 구성하고 있는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4개 요인 각각의 특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적응반응의 지향, 탐색, 확립, 관리, 분리의 5가지 행동 세트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설정하여 진로적응자원과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적응 과정을 구명하는 심층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were set up as exogenous latent variable, and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were set up as endogenous latent variable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career adaptation model. It was assumed that the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will have a direct impact on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and have a indirect impact on career choice commitment by mediating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is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540 students were sampl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rom 9 universiti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2th of May, 2020 to the 21th of May, 2020. 53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only 385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ept for first grade data that is likely to be biased by COVID-19. For the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3.0 was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Mplus 6.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predicted appropriately. Second,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each of them;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β=.210), career exploration behavior(β=.639), career experience reflection(β=.176), career choice commitment(β=.194).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each of them; career exploration behavior(β=.129), career experience reflection(β=.377).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each of them; career experience reflection(β=.175), career choice commitment(β=.335).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career choice commitment(β=.376).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β=.214), career experience reflection(β=.066)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β=.009)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experience reflection(β=.00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Second, as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creases, each level of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increases. Third, as the level of willingness to implement career task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creases, each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increases. Fourth, as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creases, each level of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increases. Fifth,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has an important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areer adapt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as a variable for career adapting response.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and career adapting response variables, there is a multi-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career adaptation model.
Based on the conclusion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practice field of career guidance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re developed and accumulated as the school year gets high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intervention for career alternatives exploration as well as self exploration, and job explo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be emphasized intervention based on career experience reflection in order to increase career choice commit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adapting posi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support appropriate career guidanc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be paid attention to measuring variables based on the concepts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career adaptation model. Second, it is necessary to be focused on each of the four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and career confidence. Third, it is necessary to b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career adaptability resources and the five sets of career adapting variables: orientation, exploration, establishment, management, and disengage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for career adaptation process of first-year stude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62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3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