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 분석을 통한 지리교육에서의 안전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afety Education Plan in Geography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Risk Perception of Nuclear Power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은주

Advisor
류재명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안전교육원자력위험인식낙관적 편향위험 통제가능성지도활용safety educationnuclear powerrisk perceptionoptimistic biasrisk control possibilitymap use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20. 8. 류재명.
Abstract
다양한 위험에 대비하여 사고예방행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이 필수적이다. 안전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위험에 내재되어 있는 속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위험상황에서 적절한 대응행동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따라서 스스로를 보호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에 근거한 합리적 판단이 중요하다.
학교에서의 안전교육은 각종 위험상황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돕고, 안전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태도 및 실천의지를 갖도록 한다.
그러나 2015 개정교육과정에 안전교육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 교육에서는 안전교육에 대한 부분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지리교과에서도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관련 단원에서 부분적으로 다루거나 내용에 대한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나 재해의 종류가 다르고 지역 사회의 구조와 지역의 생활환경에 따라 위험요소 및 대응방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전교육에서 지리교과의 역할과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리에서의 안전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차이를 갖는 위험의 종류를 파악하고 위험의 특성 및 위험 수준을 고려하여 지리교과의 특색에 맞는 안전교육 내용을 개발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기존 지리연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원자력의 위험에 주목하였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은 지역적 편재성이 두드러지고 과학적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개인 혹은 집단 간에 서로 다른 판단기준에 의해 위험을 인식하게 된다. 객관적 위험과 개인이 인식하는 위험 수준의 불일치는 위험을 과소평가하여 낙관적 편향을 유발하거나 위험을 과대평가하여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는 안전교육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상황에서의 합리적 판단과 올바른 대응행동을 위해서는 객관적 위험과 주관적 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개인의 위험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위험이 발생하는 공간 속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위험연구들은 공간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위험인식의 특성을 지리적 관점에서 공간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크게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은 연구 1-1과 1-2로 구분된다. 먼저 연구 1-1에서는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위험인식을 알아보았다. 후쿠오카, 오사카, 도쿄로 조건을 할당하고 해당 지역에 대한 방사능 위험성을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도쿄를 가장 위험한 곳으로 인식하고, 다음으로 오사카, 후쿠오카를 가장 안전한 곳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거리와 위험수준이 정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정도의 거리가 되면 위험인식 수준의 증가폭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1-2에서는 지속적으로 방사능 오염의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는 도쿄를 실제로 방문한 대학생들의 위험인식과 위험을 인식하는 공간의 범위와 경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도쿄를 방문한 대학생들은 방사능 위험성에 대한 낙관적 편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비해 일본을 방문하지 않은 대학생들과 도쿄를 제외한 일본을 방문한 대학생들은 낙관적 편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와 도쿄 간 거리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도쿄를 방문한 대학생들은 후쿠시마와 도쿄 간 거리를 정확히 모르고 있는 응답자가 많았으며 일본 방문 경험이 없는 대학생에 비해 두 지점 간 거리를 더 멀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방사능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현의 경계를 그어보도록 한 문항에서도 집단 간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쿄를 방문한 대학생들은 평균 7개 현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반면 다른 두 집단의 대학생들은 평균 16개 현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방문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방사능에 대한 위험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으며, 낙관적 편향이 높고, 방사능으로부터 불안감을 느끼는 영역의 범위도 좁았다.
연구 2에서는 위험에 대한 낙관적 편향을 개선하고 위험인식의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위험정보 제시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통제가능성과 지도활동유무에 따른 위험인식을 알아보았다. 통제가능성이 낮은 조건으로 후쿠시마산 쌀을, 통제가능성이 높은 조건으로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제시하여 여행에 대한 방사능 위험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위험은 덜 위험하다고 느끼고, 자신이 통제하기 어려운 위험은 더 위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활동을 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위험에 대한 민감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 연구내용을 지리교육에 적용하면, 안전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다양한 위험에 대해 개인의 주관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의 인식적 측면을 토대로 하여 학습방안을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자연재해 중심의 안전교육에서 벗어나 지리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재조직화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위험에 관한 교육 내용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리교과의 특색을 살린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해 읽기 도구로서의 지도가 아닌 문제해결 도구로서 지도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위험 정보를 탐색하고 공간적 관계 속에서 위험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Safety education is essential to practice accident prevention behaviors against various risks. It is difficult to elicit appropriate response behaviors in risk situations if the lack of knowledge of safety and the nature of risk are not properly understood.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yourself and maintain safety, it is important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isk situation and to make reasonable judgments based on it.
Safety education at school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knowledge of various risk situations and to have an attitude and willingness to practice safe behavior.
Despite the fact that safety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afety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In Geography,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was not properly recognized, and only the relevant units were partially dealt with or education mainly focused on knowledge transfer.
However, the role and importance of geography subject in safety education is very significant because the types of accidents and disasters that occur in each region are different, and the risk factors and countermeasures can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ommunity and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region. Accordingly, in order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in geograph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s of risks with regional differences, develop safety education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subject, and reflect them in the curriculum,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risks.
Under these concerns, this study focused on the risks of nuclear energy, which were not well dealt with in the previous geography research, to find ways to provide safety education in geography. After the nuclear accident in Fukushima, Japan,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have grown. However, nuclear power generation is perceived by different criteria of judgement, either by individuals or groups, because of its outstanding regional ubiquity and high scientific uncertainty. Discrepancies between objective risks and risk levels perceived by individuals can either underestimate risks, causing optimistic bias, or overestimate risks, amplifying anxiety. This could reduc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make a rational judgment in a risk situation and to act properly, an effort is needed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risk and subjective perception.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oblems and find solutions in the space where risk occurs. However, existing risk studies lacked a discussion of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uclear risk perception through a relationship with space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Study 1 was divided into study 1-1 and 1-2. First, Study 1-1 examined the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Conditions were allocated to Fukuoka, Osaka, and Tokyo to assess the radiation risk in the area. As a result,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recognized Tokyo as the most dangerous place, followed by Osaka and Fukuoka as the safest places. However, the distance and the level of risk were not directly proportional, and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risk perception was slowed when a certain distance was reached.
Study 1-2 examined the range and boundary of the space perceived as dangerous and the risk perception of radiation by university students who actually visited Tokyo, where the danger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was continuously raised. University students who visited Tokyo showed a high optimistic bias toward radioactive risks, whereas students who did not visit Japan and students who visited Japan except Tokyo showed low optimistic bias. In estimating the distance between Fukushima and Tokyo, man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visited Tokyo did not know the exact distance between Fukushima and Tokyo. In addition, they perceived the two regions as farther apart tha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visiting Japan. There was also a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questions that asked to draw the borders of the prefecture, which was anxious due to radioactivity.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visited Tokyo were anxious about 7 prefectures on average, while the other two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nxious about 16 prefectures. Group who have visited Tokyo was less aware of the risk of radia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had a high optimistic bias and a narrow range of areas that felt anxiety from radiation.
Study 2 examined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controllabil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p activities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to present risk information that can reduce the optimistic bias toward risk and increase the sensitivity of risk percep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radioactivity on travel, Fukushima rice was presented under conditions with low controllability and Fukushima seafood was provided under conditions with high controllability. Study has shown that people feel that the risks they can control are less dangerous, and that the risks they cannot control are more dangerou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map activity was more sensitive to risk than the group without it.
Therefore, if these findings are applied to geography education, when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learning plan based on the cognitive aspects of risks formed by the individual's subject to various risk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afety education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he geography, away from safety education centered on natural disaster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pth and extent of educational content on risk. Finally,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safety education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subjects, various programs using maps should be organized to enable learners to actively explore risk information and discover risk characteristics in spatial relationship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95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6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