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생 인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중등체육수업의 특징과 체육교사의 전인적 자질 : Explo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le Quality and Their Classes for Character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순정

Advisor
최의창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성교육체육수업의 특징체육교사의 전인적 자질character educationPE classeswhole quality of PE teacher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0. 8. 최의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인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중등체육수업의 특징과 체육교사의 전인적 자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1) 학생들이 체육시간에 보여주는 긍정적인 인성 변화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 학생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체육수업은 어떠한 특징을 띄는가? 3) 학생의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체육수업을 위한 체육교사의 전인적 자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2013년 12월부터 2014년 8월, 그리고 2020년 2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교사 5명, 학생 10명 (설문 200명)이며,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수업 비참여관찰, 개방형 설문, 현지 문서 수집, 현장 일지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Creswell, 2009), 기술, 분석, 해석의 순환 과정을 거쳤고(Wolcott, 1994),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며 개방적 코딩, 축 코딩, 선택적 코딩의 순으로 범주화하였다(Strauss, 1987). 연구의 전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 수집을 통한 검증을 하였고 연구참여자 및 동료들과의 검토, 협의를 통해 절차의 오류를 최소화했으며, 이 모든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에게 어떠한 불이익이나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인성의 긍정적인 변화는 인(사랑하기), 의(당당하기), 예(아껴주기), 지(지혜롭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그 하위 구분은 다음과 같다. 사랑하기(인)는 배려(희생하기, 양보하기, 헤아리기)와 존중(친구 격려하기, 교사 존경하기, 수업 충실하기)로 드러났다고 당당하기(의)는 인내와 책임(끝까지 하기), 노력과 성실(열심히 하기), 협동(마음 건네기, 힘 합하기), 긍정성(희망갖기), 자신감과 신뢰(믿음 갖기), 도전(시도하기)으로 나타난다. 아껴주기(예)는 예의(사람 아껴주기)와 스포츠맨십(체육 예갖추기)로 나누어지며 지혜롭기(지)는 관용과 수용(받아들이기), 신중(사려깊기), 공정과 정직(올바르기)로 드러났다.
둘째, 학생 인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체육수업의 특징은 내용, 방법, 학생, 그리고 환경의 측면으로 구분되어 살펴볼 수 있었다. 내용 측면에서는 다양한 종목과 활동을 다루고 스포츠 문화와 의식을 가르치며 인성을 직접 강조했고 방법 측면은 다양한 역할을 부여하고 간접교수행동을 활용하며 수업모형을 활용하고 평가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학생 측면은 존재감을 느끼는 학생이 존재하고 인성적으로 모범이 되는 학생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환경 측면은 인성 친화적 수업 환경이 조성되고 학교 문화 풍토적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인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체육교사의 전인적 자질은 체성, 지성, 감성, 덕성, 영성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분해 분석할 수 있었다. 체성적 자질은 운동 잘하기와 체육을 좋아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지성적 자질은 수업내용을 잘 알고 준비하는 것과 인성에 대해 잘 알고 수업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 자질은 학생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학생의 즐거움을 기뻐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덕성적 자질은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학생들에게 도덕적 모범을 보이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성적 자질은 학생의 인성발달을 중시하는 것과 자신의 나약함을 알고 감사하며 기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긍정적 학생인성 변화의 양상이 교사의 계획과 의도한 수준을 넘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통해 각각의 학생의 인성 변화와 연관된 배경과 맥락적 상황에 대한 세부적인 탐구가 이어지기를 제안한다.
둘째, 학생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체육수업의 특징은 체육 수업 준비, 실천, 반성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나타나고, 결국 교사의 핵심적 역할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또래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한 체육교사의 적극적인 준비와 고려가 요구된다.
셋째, 체육교사의 전인적 자질이 학생의 인성변화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고 있고 따라서 교사의 직무 수행 역량 뿐 만 아니라 교사 내면의 전인적 성장과 이를 위한 반성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비 교사 교육 및 현직 교사 교육에서 취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처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characters through PE classes, characteristics of PE classes that concerned character education, and PE teachers' whole quality promoting positive character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guiding this study were: (a) What are the positive changes occurring on students' characters during PE classes? (b)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E classes as it positively affects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and (c) What is PE teachers' whole quality positively affecting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The researcher adop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were based on constructivism research paradigm. This study included five PE teachers and 200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open-ended questionnaires, classroom observations, document collection, and field not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y development (Creswell, 2009), which includes a circular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meaning finding (Wolcott, 1994). In doing so, the researcher repeatedly examined the data and then categorized them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tauss, 1987). The authors sought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and minimize interest conflict through triangulation, member-checking, and peer-re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th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characters during PE classes were categorized into benevolence, righteousness, courtesy, and wisdom. The students' changes of benevolence, which is a matter of loving, appeared to be considering and respectful to others. In terms of righteousness, which is about being bold and confident, the students made an effort to their learning activities, holding themselves accountable; some of them even challenged themselves to a higher level. When it comes to courtesy, as being polite and careful, the students became more cautious about their own attitudes in a PE class and demonstrated such behaviors complying with sportsmanship. For wisdom, students displayed maturity controlling their emotions and making thoughtful decisions.
Second, characteristics of PE class aiming character education were found in diverse aspects encompassing contents, methods, engagements, and environments. The contents of such PE classes covered a variety that was not limited to physical activities but included cultural or ritual traditions of sports so that the class instruction emphasized character development, deliberately. As instructional methods, teachers assigned proactive roles to the students, used in-directive instructional behaviors, and adopted instructional models pertinent to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affective domain assessment. Students' engage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ir participation was more valued than usual. It was also noteworthy that some stude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other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The environmental aspec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ultivate students' character; and, it was supported by congregated efforts of all teachers in the PE department.
Third, PE teachers' whole quality was categorized into five elements: physicality, intellectuality, emotionality, morality, and spirituality. Physicality, as found in this study, was achieving excellence in physical performance and keeping in good shape. In terms of intellectuality, teachers were knowledgeable about the instructional matters and competent to character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in PE contexts. Emotionality appeared as teachers' attitude of valu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and being content with their students' enjoyment. Morality of PE teachers was their effort to become a whole person so that they could play a role model.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cherishing PE, students, themselves, and god; and pursuing students' development to become whole persons.
Depending up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came to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students' positive changes in their characters reached diverse forms surpassing a level that teachers ever intended to achieve. With that,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es will explore the contextual aspects of PE class as related to specific character development so as to facilitate a deeper understanding of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PE.
Second, characteristics of PE classes which led to character development encompassed series of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reflecting, in which a PE teacher played a remarkable role. On top of that, this study revealed influences brought by peers; therefore, PE teachers have to be mindful of the peer-group interaction.
Third, PE teachers' whole quality was recognized as influential; hence,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not only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but also to enhance character or quality as a whole. In that regard, it is expected for future research to study practical and systematic approaches in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professional develop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97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