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Determinants of bilateral aid to higher education : 고등교육 양자원조의 결정요인 연구
Focusing on the sociopolitical, economic & educational dimensions of recipi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성겸

Advisor
김종섭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higher educationhigher education aidODAaid determinantsbilateral aid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고등교육고등교육 원조원조 결정요인양자 원조고등교육 국제화장학금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글로벌교육협력전공, 2020. 8. 김종섭.
Abstrac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higher education through global development efforts and foreign aid is growing. Bolstered by effort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internationalize, the volume of foreign ai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world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increasing. Such phenomenon especially gives importance to aid modalities of international scholarships and subsistence support to international students. Even when commitments are made to aid types that are not scholarships, the frequency of institution-level involvement by both donor and recipient institutions in bilateral aid programs for higher education is increasing (Varghese, 2010).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bout the determinants and effectiveness of bilateral aid to highe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higher education aid by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bilateral higher education aid of DAC donors based on empirical bilateral ODA data provided by OECD from 2000 to 2017.
For the analysis of collective and individual determinants, this study has utilized explanatory variables that have been selected based on the donor-interest and recipient-needs (DI-RN model) to examine the impact of a recipients economic, humanitarian and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a donors political and economic needs on the amount of higher education aid a country receives. In addition, explanatory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ease of cross-border information flows have also been used in order to estimate the impact of a recipients conditions that facilitate international information flows on higher education aid.
A key finding is that even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iorities of donors considered, the amount of higher education aid that a country may receive in general is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DAC donors as a group indicated that several factors of recipient needs, donor interest, and the recipients social knowledge infrastructure were all considered in the allocation of higher education aid. While aid to higher education followed the basic principle of aid, wherein it is conceptualized by many that aid should be given to larger countries with low GDP, it was also revealed in the results that insufficiencies in a countrys labor force as well as gross tertiary enrolment rate were relevant to the amount of higher education aid. At the same time, it was estimated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more global ti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larger amounts of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support.
Second, in addition to an assessment of the composition of aid types committed for the purpose of higher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differ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to different donors as determinants for providing higher education aid. For instance, France, Germany and Austria would both allocate more higher education aid to encourag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through scholarships and student benefits to politically global yet poorer countries. However, ceteris paribus, it was estimated that France will most likely be preferential to francophone countries with good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higher needs in secondary education whereas Germany would more likely be open to accepti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ountries with a reasonably capabl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imilar to France, it can be assumed that Austria will also provide more aid to countries with better information infrastructure. However, Austria showed a tendency to provide such aid to countries with higher youth unemployment and lower primary education capacity. Furtherm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U.S will commit more aid to countries lacking in social infrastructure and a weaker labor market, while Japans will most likely support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in countries with low upper-secondary education achievement.
In summary, the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revealed that different needs and interests were considered by donors in allocating higher education aid. The allocation of aid to the subsector on a collective level was examined to be affected by normative determinants that include humanitarian, economic, and educational needs as well as political interests and the recipients infrastructural readines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However, individual don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specific need or interest that impacts the allocation of aid to higher education. Regardless, normative needs such as low GDP and different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to be key considerations for donors in allocating aid to higher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identification of such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existent within and across different needs and interests as well as infrastructural conditions extraneous to the DI-RN model. However, such findings further require us to conduct studies that are more contingent to individual donors in ord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and strategic drive of DAC donors within the higher education subsector. Additionally, studies about higher education aid allocation based on the recipients perspective, such as the evaluation of specific outcomes of the different types of aid provided by different donors, is also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higher education aid effectiveness.
국제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원조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고등교육기관 발전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세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등교육 국제화 노력과 더불어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원조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같은 원조는 고등교육의 특성상 국제 장학금과 국제 학생을 위한 자금 지원의 형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양자원조 프로그램의 경우 공여국과 수원국의 고등교육기관들이 직접적으로 사업에 참가하는 양상이 증가하고 있다 (Varghese, 2010). 다시 말해 고등교육 발전을 목표로 하는 원조는 수많은 학생이 혜택을 받게 되고, 다양한 대학기관들이 직접 참여를 하게 되는 반면, 아직까지 고등교육 원조의 결정 요인과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OECD DAC의 공여국들의 고등교육 원조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 원조의 담론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DAC 전체와 개별적인 공여국의 고등교육 양자 원조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고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양자 원조 약정액을 종속변수로 선택하고, Donor Interest-Recipient Needs (공여국의 이익-수원국의 필요) 모델을 바탕으로 독립변수를 선정하여 수원국의 경제적, 인도적, 교육적 요구와 수원국에 대한 공여국의 정치, 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 간 정보 흐름의 용이함을 나타내는 독립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정보의 흐름에 따른 약정액의 차이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에 따라 두 가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DAC에 속한 다양한 공여국들의 중점 협력국과 지역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각각의 수원국에 약정되는 고등교육 양자 원조 금액은 고등교육의 특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DAC 전체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원국의 요구, 공여국의 이익, 그리고 수원국의 사회적 정보 체계의 다양한 요인들이 고등교육 원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교육에 대한 원조는 수원국의 GDP와 반비례하며 인구수와 비례하는 등 전체적인 원조의 결정요인을 대체적으로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수원국의 노동력 및 3차 교육 취학률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원국의 정보 기반 시설의 수준이 높거나 수원국의 정부가 국제사회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할수록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지원을 더욱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여국들의 개별적인 분석 결과 각각의 공여국마다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양자 원조 약정액의 결정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로,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의 경우 자국으로 국제학생의 유학을 장려하기 위해 장학금과 학생 지원금 형태의 원조에 투자를 많이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1) 프랑스는 높은 정보 기반 시설을 가지고 있으나 중등교육 취학률이 낮은 구(舊) 식민지권 국가들과 프랑스어권 국가들에 대한 원조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독일은 비교적 역량이 있는 고등교육기관을 갖춘 수원국을 대상으로 고등교육 원조를 선호하며, 3) 오스트리아는 청년실업률이 높고 기초교육기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국가들에게 고등교육 원조를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경험적 분석을 통해 DAC 전체적으로는 고등교육을 위한 양자 원조가 인도적, 경제적, 교육적 필요성과 관심, 그리고 수원국 정보 체계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양한 공여국들이 각기 다른 요인을 바탕으로 고등교육 양자 원조를 집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요성은 공적개발원조(ODA)와 개도국의 고등교육 발전과 관련된 공여국과 수원국의 여러 가지 관점들이 고등교육 양자원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DI-RN 모델을 바탕으로 확인한 데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DI-RN을 바탕으로 한 분석틀로는 확인이 되지 않는 고등교육 양자 원조 결정요인들을 더욱 포괄적으로 분석하기가 어려웠고, DAC에 속한 공여국들의 특유한 사회정치적 맥락이 깊이 있게 고려되지 않은 점이 제한점이다. 추가로, 향후 수원국의 관점에서 공여국들이 시행한 고등교육 양자 원조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고등교육 ODA 및 원조효과성 담론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04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6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사범대학)Program in Global Education Cooperation (협동과정-글로벌교육협력전공)Theses (Master's Degree_협동과정-글로벌교육협력전공)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