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몸과 의미의 해체와 재구성 : Deconstruction and Reconfiguration of Body and Meaning - Focusing on Sasha Waltz and Guests' Performances
사샤 발츠와 게스트의 공연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송

Advisor
홍진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샤 발츠몸 연극연극 의미포스트드라마연극 기호학수행성퍼포먼스해체sasha waltzbody theatretheatre meaningpostdramatheatre semioticsperformativityperformancedeconstruc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20. 8. 홍진호.
Abstract
본고는 최근에 몸과 물질성을 강조하는 연극이 기존 연극에서의 재현적 의미 생성을 부정하는 경향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의미를 구현하는 사샤 발츠와 게스트(Sasha Waltz and Guests)의 작업들을 통해서 몸의 연극이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나체는 기본 조건으로, 호흡하고 땀 흘리는 등 몸의 생리적 특성이 부각되고, 신체적 고문이나 상해가 전시되는 등 현대 연극에서 물질적 몸이 전면화하기까지 몸은 연극사적인 변천사를 지나왔다. 연극의 초기 형태에서는 문학텍스트의 내용을 전달하는 도구적 존재에 머물렀던 몸은 현대 연극에서 실존적이고 생물학적인 물질 그 자체로서 나타난다. 몸은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후기구조주의 맥락에서 정신·신체, 이성·감성, 남성·여성 등 서구철학을 지배해온 이성중심주의적 위계가 해체되며 능동적인 주체로 그 위상이 제고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해체 이후의 공연예술을 전망하는데 있어 사샤 발츠와 게스트의 공연들을 텍스트에서 해방된 몸이 의미를 재구성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먼저 1장에서는 몸이 강조되는 연극계의 흐름과 의미를 발현하지 않는 비재현적인 몸을 중심 담론으로 하는 연극 이론들에 대해 살펴보고, 사샤 발츠를 몸을 강조함으로써 재현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독특한 작업을 하는 예술가로 소개한다. 동시대의 다수의 연극 공연들은 몸의 연극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몸을 필두로 한 공연에서의 물질적 현현이 중요시 되며 이는 재현이 아닌 현대 연극의 핵심 개념인 수행성(performativity)의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연극 현장과 이론, 특히 국내 학계와 소위 포스트드라마(postdrama) 현장에서의 몸에 대한 강조는 드라마적(dramatic) 연극에서의 재현적 의미 구성에 대한 부정을 발판으로 한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의미를 발현하지 않고 감각적인 물질로서만 존재하는 몸이 실질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해 반문하거나 이러한 공연의 연극으로서의 가치 상실을 우려하는 등, 의미 없는 몸에 대해 회의적 견해를 표한다. 이러한 연극계의 흐름 속에서 발츠의 작업들은 몸과 물질성이 강조되는 공연들이 감각적이고 현재적인 차원에서의 호소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심도 있는 내러티브, 정서,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담론들과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선험적 사례가 된다.
발츠의 작업들에서 몸과 의미가 재구성되는 양상을 규명함에 앞서, 2장에서는 몸이 어떠한 의미들과 결부되어 있었고 어떻게 이들에게서 해체되었는지를 연극사적 흐름 속에서 고찰한다. 나아가서 이러한 의미들에서 분리된 몸을 중심으로 하는 포스트드라마적 공연들이 어떠한 형식적 특질들을 가지는지 살펴본다. 서양 연극의 초기 형태인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부터 주류 연극으로 자리 잡은 사실주의 연극에 이르기까지 연행자의 몸은 기본적으로 문학텍스트상의 내용에 존재하는 종속적인 존재에서 20세기 초 역사적 아방가르드(historical avant-garde) 연극에 와서는 감정과 정신 즉, 인간 내면을 구현하는 주된 매체로 변모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을 지나면서는 텍스트를 떠난 하나의 실존적인 존재로 인정받게 됨에 따라 원초적이고 생물학적인 것으로서의 몸이 강조되었다. 이렇듯 해체된 몸을 중심으로 한 포스트드라마적 연극은 물질성을 강조함으로써 기호학적 의미 구현을 의도하지 않거나 방해함으로써 탈기호화 하고, 선형적 내러티브 대신 파편적이고 감각적인 이미지들로 이루어진다. 이렇듯 점차 반연극적 형식들을 띠며 퍼포먼스화 하는 몸의 연극 속에서 몸은 맥락을 떠날 뿐만 아니라 생각과 감정이 없는 무감각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발츠의 작업들은 이러한 포스트드라마적이거나 퍼포먼스적인 특징들을 공유하지만 그러한 형식들 속에서 의미를 구성한다. 따라서 3장에서는 사샤 발츠와 게스트의 작품 , , 그리고 의 분석을 통해서 몸과 의미가 재구성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에서 몸은 철저하게 생물학적으로 다뤄지며 그 물질성이 극대화하여 나타나지만, 이는 해체라는 개념을 주제화 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낼 뿐만 아니라 몸을 둘러싼 사회적 이슈의 비판을 촉발하는 매체가 된다. 또한 에서는 감각적이고 원초적인 몸의 이미지들이 언어적 기호작용을 통해서 선형적 내러티브를 구현하며, 은 사회문화적으로 각인된 연행자들의 몸을 퍼포먼스의 반연극적 양식 속에서 드러내며, 여기에서 발생하는 의미와 정서를 관객과 유희적으로 공유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식들은 물질성이 강조된 몸이 텍스트, 내러티브, 정서, 사회 비판 등 기존 연극에서 의미로 작용하던 것들과 재결합되는 흥미로운 양상을 보여주며, 전통적인 재현에서 벗어난 공연이 어떻게 의미를 구성하는지 보여준다.
몸과 물질성을 강조하면서 의미를 부정하는 현 연극계의 경향은 우선은 몸을 텍스트에서 해방시키고 연극에서의 다양성을 허용하는 것 같아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의미 없음의 미학에 연극을 또 다시 가두는 기능을 한다. 또한 연극이 인류의 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서 사회의 구성원들과 의미를 공유하고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는 매체임을 상기할 때, 의미에 대한 부정이 아닌 적극적인 승인의 과정을 드러내는 발츠의 작업은 이러한 공연예술의 흐름 속에서 가치를 지니며 문학텍스트에서 해체된 몸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전망케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 alternative direction that theatre of body may take by analysing Sasha Waltz and Guests works which realize meaning in contrast to the tendency of current theatre to emphasize body and materiality while denying the formation of meaning in representational terms. Body had experienced numerous transformations throughout theatre history until reaching the current condition where with nudity as a given, not only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breathing, sweating and salivating but even torturing and harming the body are openly displayed on stage. The body which has stayed mainly as an instrument of conveying contents of literary texts, appears today as an existential and biological material itself. The body has renewed its status as an active subject, especially with the logocentric hierarchy which dominated western philosophical paradigm such as mind/body, reason/emotion, male/female dualism being deconstructed in context of poststructuralism during postmodern era. In this context, the thesis in providing the prospect of performing arts after deconstruction, casts light on the performances of Sasha Waltz and Guests in the aspect of how the body released from the text reconfigures meaning.
Chapter 1 examines the current trend in the theatre scene to highlight body and theatre theories that harbor as their central discourse the un-representational body that does not produce meaning,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Sasha Waltz as an artist whose original works emphasize body yet generate meaning within representational dimension. In many contemporary theatre performances, the manifestation of materiality with body at its center is widespread and treated importantly so as to be called theatre of body and this phenomenon occurs in context of not representation but performativity which has become one of the core concepts of theatre today. Nevertheless, the emphasis on material body in the fields of both theory and performance scene - particularly in the theatre academy and the so called postdrama scene of Korea – needs to be reexamined in that it is established upon the denial of representational meaning formation. In fact some researchers are skeptical of the concept of meaningless body with some questioning the plausibility of body that exists purely as a sensuous material without producing any meaning, while others show concern about such performances losing their value as theatre art. In such trend of theatre world, Waltz works become a precedent for the possibility of body-centered theatre to not only satisfy with appealing to senses in-the-moment but associate with diverse and complex narrative, sentiments, and sociocultural discourses.
Before analysing how body reconfigures meaning in Waltz works, Chapter 2 examines what meanings body was linked to and how it was deconstructed from them throughout theatre history. Furthermore, the chapt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these postdramatic performances in which the body separated from such meanings plays central role show in common. Performers body which fundamentally existed within the world of the literary text and was subordinated to it from the ancient Greek tragedy (the early form of western theatre) to the Realistic theatre (which still has its place in mainstream theatre today), transformed into the main agent of human expression particularly in emotion and spirit in the experiments of the historical avant-garde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Passing through postmodernism, the body was emphasized as the primal and biological material as it came to be accepted as an existential being freed from the text. Postdramatic theatre performances with the deconstructed body at its core desemanticizes as they do not intend or encumber the formulation of meaning on semiotic level and compose themselves of fragments of sensuous images instead of a linear narrative. In the theatre of body which gradually come to resemble performance art in its antitheatrical qualities, the body not only escapes contexts but even appears insensitive without any traces of thoughts or emotions.
Sasha Waltz and Guests, while 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postdrama or performance art, generates meaning within such forms. Thus, Chapter 3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ieces Body(Körper), S, and Insideout, shows in detail how the body reconfigures meaning. In Body, bodies are treated strictly in their biological aspects and the display of materiality is maximized but this provokes criticisms regarding various social issues surrounding body, on top of thematizing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and demonstrating it in various scenes. Moreover, in S, the sensual and primal body images generate linear narrative within the mechanism of linguistic semiotics, while the performance installation Insideout reveals the performers socioculturally inscribed bodies within antitheatrical forms and playfully share with the spectators the meanings and sentiments arisen. In summary, this shows the interesting aspects where the body accentuated in its materiality reconciles with what used to function as meanings in established theatre such as text, narrative, emotion, and social criticism, ultimately demonstrating how performances that eschew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formulate meaning.
Although the current trend of theatre that emphasizes body and materiality by negating meaning may initially seem to unchain the body from the text and allow diversity in terms of theatrical expressivity, functions again as a confining agent of theatre in the title of the aesthetics of no meaning in the end.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atre, as a way of communication of mankind, is a medium which provides opportunities for members of the community to share meanings and developments, Waltz works which feature not negation of meaning but enthusiastic approval of it, bears significance in such atmosphere of performing art world and provides a positive prospect of the infinite possibilities that body deconstructed from the text may lead to.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62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4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