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인 지적장애인의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함양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색 : Exploring Development and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Enhance Life Skill and Self-Determination Skill for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상훈

Advisor
이용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성인 지적장애인생활기술자기결정기술신체활동 프로그램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2.2. 이용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and factor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ead their independent lif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ponent factors and the direction to develop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program to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Third, what factors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the program?
The study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was conducted for 15 months, from August 2020 to December 2021. In the study, a total of 19 participants (8 parents of the adul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 social workers working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5 adapted physical educator, and 3 former and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Meanwhile,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by recruiting 12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ween the age of 18 and 30(those who are preparing for a job or are engaged in work) and their parent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open surveys, in-depth interview, observation records, video records, pictures, and field docum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reswell (2015) spiral data analysis method.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and member check enhanced the integrity of the research, and the ethical approval for the research was granted.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need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self-selection and self-determination, will and motivation are necessar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opportunities for self-direction, opportunities for role performance, and opportunities for success and achievement should be provided. The principles for the program was derived as content-level relevance, integrity, and continuity, and the method-level spontaneity and repeatability. The program SMART means fast, clever, and witty in learning, understanding, judgment, and determination which are necessary to live as an adult.
In addition, the element appearing in the ecological curriculum for life skills suggested by Baek su-jin and Kim Jin-ho (2019) and the needs survey and development direction search derived from this study, as well as value of physical activity, were matched to create eight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calling name activity, warm-up exercises-static and dynamic stretching, tempo training, fitness activity, sports activity-modified golf, cool-down exercise, greeting and shouting slogan) were embodied. Finally, in order to manage the program effectively, it was divided into the program understanding stage, the program execution stage, and the program application stage.
Seco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ble to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whil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Life skill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are essential to living independently from the environment surrounding and individual.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either independently or comprehensively. However, this study defined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in terms of behavioral,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 aspect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ct and practice on their own,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situation on their own, and do together and go together.
Third, as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were the environment constituting the program, the contents of the program, leaders, colleagues, and people around the family. The environment factors of the program were the space where you could meet colleagues with similar function skills, educational materials that stimulate interest, and the class mood that was respec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goal implementation activity, calling name activity had a great influence as the program content factor.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effectively enhanced by the leaders who induced exemplary attitudes and behaviors, parents as strategist who induced active participation, and colleagues as helpers for growth.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able to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in an integrated wa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developed through the demand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is study induced active participation by transferring the initiative of the program to the participants, learning the difficulties they faced, and applying the learned contents. This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ch confirmed that active participation leads effectively. Thir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physical activity for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educ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field practice are as follows. First, leaders in the field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eed not only a functional skills approach, but also a chance in the perception of leaders who can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so that they can lead independent lives. Second, in order to enhanc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plan and manage the program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role of a leader but also the influence of parents and colleagu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changes in behavior, cognition, and attitude of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made through this study have long-term effects o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life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skills that appeared after the program transfers to daily life. Finally, based on the effec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research is needed to implement and evaluate this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with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이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 요로소라 할 수 있는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함양하기 위한 신체활동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효과 및 요인을 탐색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는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함양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과 개발 방향은 무엇인가, 둘째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가, 셋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했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20년 8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총 15개월 동안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및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을 위해 총 19명의 참여자(성인 지적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 8명, 장애인 복지관에서 근무중인 사회복지사 3명, 장애인 체육 지도자 5명, 전∙현직 특수교사3명)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한편, 개발된 프로그램은 만 18세~30세 사이의 성인 지적장애인 12명(취업을 준비하고 있거나 직장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자)과 그들의 부모 12명을 모집하여 실행되었다. 질적 자료는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 영상 및 사진 기록, 현장문서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Creswell(2015)의 나성형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 동료 협의,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결과의 평가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윤리를 준수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요구조사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은 대인관리, 건강관리, 자기선택 및 자기결정, 의지와 동기부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발 방향으로 인내와 규칙준수의 기회, 자기 주도의 기회, 역할 수행의 기회, 성공과 성취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원리를 도출하였는데 내용 수준에는 연계성, 통합성, 지속성, 그리고 방법 수준에는 자발성, 반복성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구성된 프로그램의 이름은 'SMART 이며, 이는 독립적인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학습, 이해, 판단, 결단 능력 등에서 빠르고 영리하며 재치가 있는 모습을 의미 한다. 그리고 백수진과 김진호(2019)가 제시한 생활기술을 위한 생태학적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요소들과 본 연구에서 요구조사 및 개발 방향 탐색으로 도출된 결과, 이와 더불어 신체활동의 가치를 대응시켜 8가지의(호명활동, 준비운동-정적 및 동적 스트레칭, 템포트레이닝, 체력활동, 스포츠활동-변형된 골프, 정리 운동, 정리인사 및 구호제창 활동) 신체활동으로 구체화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이해하기 단계, 프로그램 실행하기 단계, 프로그램 적용하기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둘째, 성인 지적장애인들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함양할 수 있었다.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독립적으로 또는 포괄적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는 바는 없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행동적, 인지적, 정의적(태도) 측면으로 용어를 정의하였다. 참여자들은 스스로 행동하고 실천하기, 스스로 상황을 인식하고 이해하기, 함께하며 더불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함양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하고 있는 환경, 프로그램의 내용, 지도자, 동료, 가족인 주변인이 있었다. 프로그램의 환경 요인에는 비슷한 기능을 가진 동료를 만날 수 있었던 공간, 흥미를 유발하는 활동 교보재, 존중 받는 수업 분위기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내용 요인으로 교학상장 활동, 목표 실천, 호명활동이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주변인은 모범적인 태도와 행동을 유발하였던 지도자와 능동적 참여를 유발한 전략가로서의 부모, 성장을 자아내는 조력자로서의 동료로부터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효과적으로 함양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종합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생태학적 환경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신체활동을 통해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역량을 통합적으로 함양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참여자들에게 프로그램의 주도권을 이양하여 이들이 처한 어려움을 학습하고 습득한 내용을 통해 적용함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성격을 띄는 것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 교육을 위해 신체활동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장실천을 위한 제언으로 첫째,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생활체육 현장에서의 지도자들은 기능적 측면에서의 접근뿐만 아니라 이들이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함양할 수 있는 지도자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을 함양하는데 지도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부모와 동료의 영향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의 행동, 인지, 태도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나타난 생활기술과 자기결정기술이 일상생활로 어떻게 전이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실행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국가 수준에서의 특수교육과정 안에서 본 프로그램을 중등학교 장애 학생에게 실행하고 평가해 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3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2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