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의 문헌 『사의당지』에 나타난 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an Old House Recorded on 『Saeudangzi(四宜堂志)』 Written in Late Chosu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가현; 성종상

Issue Date
2011-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한국문화, Vol.53, pp. 97-123
Keywords
사가원림(私家園林)성시산림(城市山林)상의당『사의당지』재현SagawonlimSungsisalimSauidang(四宜堂)Ssuidandsi(四宜堂志)representation
Abstract
조선후기 사대부들의 원림문화는 성시산림(城市山林)의 의미에서 그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 주거에 관한 당시 양반 사대부들의 관심은 번잡한 도시 속에 조성된 원림에서의 한적한 삶에 있었다. 또한 이 당시 사대부들은 산림 속에 은거하는 이상적인 삶에 관한 염원을 실제 장원(莊園)의 조성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정원 설계에 관한 글을 짓거나 그림으로 남기기도 하였다. 이와 함께 집자체를 충실하게 기록하고 건축물의 의미를 해명하며, 주거생활의 내용을 충실하게 기록한 자료가 17세기 이후에 많아진다. 관암 홍경모(1774-1851)의 『사의당지(四효違志)』는 이러한 시대풍조 속에 저술된 해묵은 집에 관한 기록이다. 또한 이 책에는 건물재의 구성과 각각의 칸[間]수, 화계의 위치, 식물재료의 종류와 수, 태호석과 괴석 등 점경물의 위치와 수에 관한 매우 상세한 기록이 담겨져 었다. 그러므로 이는 당시의 전통가옥의 구조와 배치, 정원의 조영에 관해 살펴볼 수 있는 역사적 사료라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 우리의 정원과 주거문화에 관한 기존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과가 있었으며 집과 정원의 물리적인 형태와 구조, 작정가의 사상적 배경, 주거문화 등이 주된 내용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집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온 실제 사례는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사의당지』와 같은 상세한 기록의 분석은 이 당시의 주거문화의 일면을 들여다보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경모의 기록을 토대로 현존하지 않는 사의당의 공간구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bout a traditional house recorded on the book, 『Saeudagzi』, which was written by Hong, Kyungmo(1774-1851). Saeudang(四宜堂), the Hongs Seoul mansion[京邱],recorded on 『Saeudangzi』(四宜堂志)』, was one of the most typical house of Sadaebo(士大夫: nobleman) in Chosun dynasty and unfortunately it does not exist at this

time. It can be just imagined and analyzed through the record. 『Saeudnagzi』, one of 『Gwanamjunseo』 which has 32 different writings, has respectively contents such as Wonseo(原書: preface), Dangwoo(堂宇: house), Hyungseung(形勝: landscape), Jomang(跳望: perspective), Hwasuk(花石: flowers and stones), Seohwa( 書畵: writings and paintings), and Giwan(器玩: ceramics). In this research, I try to represent visual

ground plans and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mansion based on Dangwoo(堂宇), Hyungseung(形勝), Jomang(跳望), Hwasuk(花石) among these contents. The spatial composition, location, garden landscape and so on of Saeudang are as below.
ISSN
1226-83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57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