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드로와 폴립 - 디드로의 과학 이론과 문학적 상상력 - : Diderot et le Polype - Les Penseˊes Scientifiques Diderotiennes et L imagination Litteˊ raire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충훈

Issue Date
2011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Citation
인문논총, Vol.66, pp. 141-178
Keywords
드니 디드로폴립아브라암 트랑블레르네 앙투안 페르쇼 드 레오뮈르피에르 루이 모로 드 모페르튀테오필 드 보르되다발 모양으로 무리를 짓는 꿀벌Denis DiderotpolypeAbraham TrembleyReneˊ -Antoine Ferchault de Reˊ aumurPierre-Louis Moreau de MaupertuisTheˊ ophile de Bordeuessaim d’ abeilles
Abstract
1740년에 주네브 출신의 수학자이자 자연사가였던 아브라암 트랑블레는 민물에 사는 작은 생물 폴립을 관찰하던 중 놀라운 발견을 했다. 그 전까지 식물로 알려져 있었던 이 작은 생물이 동물처럼 스스로 움직이고
먹이를 잡아먹고 소화를 한다는 점이 그 한 가지였다면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 생물을 둘로 자르면 곧 각 부분이 완전한 개체로 재생된다는 점이었다. 폴립은 넷으로 자르면 네 개로, 여덟으로 자르면 여덟 개의 완전
한 개체로 성장했다. 트랑블레는 자신이 발견한 사실을 당시 프랑스에서 가장 명망이 높았던 곤충학자 레오뮈르에게 알렸고, 레오뮈르는 트랑블레가 보내온 폴립 개체를 가지고 동일한 실험을 했다. 레오뮈르는 트랑
블레의 실험이 정확했음을 확인한 뒤 눈을 믿을 수 없었다.(레오뮈르: lv) 그는 역시 오랫동안 이 생물을 연구했던 베르나르 드 쥐시외와 함께 논의한 뒤, 이 기이한 생물에 폴립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때까지 폴립은 바다에 사는 히드라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트랑블레의 폴립은 이와 구분하기 위해 민물 폴립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트랑블레는 레오뮈르의 격려를 받아 4년 뒤, 『뿔 모양의 팔이 달린 민물 폴립에 대한 논문집 Meˊmoires pour servir aˋ lhistoire d un genre de polypesd eau douce, aˋ bras en forme de cornes』을 출판했다. 이 책이 나오기 전에 레오뮈르는 이미 『곤충의 역사에 대한 논문집 Meˊmoir pour servir aˋ lhistoire des
insectes』 6권 서문에서 트랑블레의 연구를 보고한 바 있고, 『주르날 데 사방 Journal des savants』지(紙)는 1743년 1월호에서 이 연구를 상세히 소개한
다. 트랑블레의 폴립은 런던과 파리의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살롱에 드나들었던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전 유럽의 학계와 사교계에 신속하게 알려졌다.

Au milieu du XVIIIe siècle, la découverte de la vie singulière du polype
d eau douce par un naturaliste genevois, Abraham Trembley, provoque une série de débats, divers et variés, parmi les scientifiques. Lorsque ce petit insecte est coupé en deux, en quatre et ainsi de suite, chaque partiese régénère entièrement en restaurant sa partie perdue. Les défenseurs dela préexistence des germes qui supposent que les petits êtres soient emboîtés dans l oeuf paternel ou maternel sont alors confus: la régénération parfaite du polype artificiellement et arbitrairement tranché ne peut s expliquer par leur hypothèse sur la génération des animaux. En revanche, à
la plupart des matérialistes qui essaient d expliquer cette génération par l épigenèse la regénération du polype sert de preuves indéniables pour soutenir leur théorie biologique et médicale.
Diderot, s appuyant sur des théories nouvelles et hardies proposées par Maupertuis et Bordeu, s intéresse aussi aux petits animaux ≪ régénérables.≫
Pour notre matérialiste athée, le polype ne présente pas d autres différences que les éléments ≪ semblables≫ avec d autres animaux dont les éléments sont différents les uns des autres. La régénération facile et spontanée, possible exclusivement chez les polypes, résulte donc des organes qui
agissent, se nourrissent et se développent avec une telle autonomie, que, chez cet insecte, on ne peut imaginer un ≪centre≫ despotique contrôlant les fonctions des parties subordonnées.
ISSN
1598-302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59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