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 수용 능력 평가 문항 분석 연구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Poetic Competence Assessment in NA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우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Citation
국어교육연구, Vol.30, pp. 107-140
Keywords
시 수용 능력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성취기준변화 추이poetic competenceNAEAachievement standardchanging trends
Abstract
이 논문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과 문항 가운데 시 수용 능력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평가 틀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고, 문항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분석 대상을 2004년에서 2008년에 시행된 평가에 한정하는 이유를 살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최근 있었던 교육과정 개정, 표집 검사에서 전집 검사로의 전환 등으로 인해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연속성을 상실하였다. 그리하여 연속성을 볼 수 있으며 어느 정도 항존적 성격을 띤 성취기준을 가지고 있었던 2004~2008년으로 연구 대상을 불가피하게 한정하였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포괄적으로 통합한 형태이다. 갈래별 특성이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문항 출제에서는 특정 성취기준이 특정 갈래로만 구현되는 한계를 보인다. 대부분의 포괄적 성취기준이 각 갈래별로 구체화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문항 수를 늘리고 과목에 따라 격년제 실시를 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해 볼 만하다 밝혔다.

구체적인 문항 분석 결과의 해석에 관해서는 5년간 변화 추이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예상정답률과 실제정답률 사이의 차이가 큰 문항들을 중심으로 그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개별 성취기준이 해당 학년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한지, 그리고 좋은 문항과 그렇지 못한 문항을 나누는 기준을 성취기준과 관련 지어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ult and assessment framework of poetic education in 2004-2008 NAEA(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has undergone changes of sampling method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ntinuity of changing trends of NAEA has decreased since 2009. I used the data from 2004 to 2008 NAEA test for such reas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NAEA are comprehensive form which integrated the o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Because the achievement standards dont include diverse genres,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re linked the questions of specific genres. Most comprehensive achievement standards need to be developed for all genres questions, poetry, novel, drama etc. And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increasing the number of questions and biennial test.

I reviewed the results of analysis questions which changing trends were unstable in the past 5 years and had a wide difference in the actua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he estimate ones. To the result of reviewing, we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graders, and the criteria dividing good and bad questions.
ISSN
1227-882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2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