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Variabl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ers: Application of Multilevel 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윤정; 김지은

Issue Date
2012-06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2, pp. 81-106
Keywords
중·고등학생자기주도 학습태도진로교육 경험진로성숙도자아개념다수준 분석middle and high schoolers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career education experienceself-conceptioncareer maturitymultilevel analysi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이론과 관련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진로와 학업과의 연계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진로발달 관련 내외적 변인들을 학생 개인과 개인이 속한 학교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010년과 2011년에 시행한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과 진로교육 경험 및 학교 수준에서 제공되는 진로지도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추론하기 위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발달 관련 변인인 자아개념, 진로성숙도가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인식한 진로지도 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학교 1학년 때에는 학교 및 학과 안내,진로검사, 직업체험이 그리고 중학교 2학년에서는 진로강연과 직업체험이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유의미하게 정적 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에서는 진로검사, 학교 및 학과 안내, 교과를 통한 진로지도가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에서는 진로강연, 학교 및 학과 안내, 교과를 통한 진로지도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를 나타낸 반면, 고등학교 1학년에서 진로상담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생들이 속해 있는 학교의 특성이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중학교에서는 직업체험활동(1차년도만)이,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1, 2차년도 모두 자율학교 및 특목고 여부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등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er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10 and 2011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udent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various career development variables and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school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pplying Multilev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ception, career maturity were giving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Second, the student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had exhibited differe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ers. Three experiences during the first year in middle school, guidance about school and major, tests for career and job experience, and two experiences during the second year, lectures on career and job experi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high school, while tests for career, guidance about school and major and career guidance in school curriculum were positive in the first year, the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in the second year were identified the negative relation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ird, among the schoo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supply of job experience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middle school, and autonomous high school and special high school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career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discussed.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93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